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112263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6-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Part 1. 놀라운 생명의 신비
1 오래 사는 생물의 특징은 무엇일까?
2 미국에서는 똥만 싸도 돈을 벌 수 있다는데 사실일까?
3 모기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4 바퀴벌레는 왜 그토록 생명력이 강할까?
5 우주 최강의 생명체는 누구일까?
6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7 거미는 어떻게 집 짓는 방법을 아는 걸까?
8 식물이 듣고 말할 수 있다고?
9 버섯은 정말 곰팡이일까?
10 고대 바이러스가 깨어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11 무시무시한 미생물이 있다?
12 빈대는 왜 다시 나타났을까?
13 몸집이 큰 동물은 왜 느리게 움직일까?
14 가장 힘이 센 동물은 무엇일까?
15 바다가 모든 생명체의 기원이라고?
16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구독자들의 이런저런 궁금증 1
Part 2. 신기하고 쓸모 있는 내 몸 이야기
1 1kg 먹으면 몸무게도 1kg 늘어날까?
2 좀비가 실제로 존재할까?
3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있다, 없다?
4 한 알만 먹어도 배부른 알약이 있다면?
5 인간은 왜 오른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됐을까?
6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리는 실험을 했다고?
7 인류 역사상 가장 무서운 전염병은?
8 감기는 추워서 걸리는 게 아니라는데 사실일까?
9 인간은 우주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10 나이를 먹으면 뇌 기능이 떨어진다고?
구독자들의 이런저런 궁금증 2
Part 3. 새롭게 밝혀지는 우주의 비밀
1 우주의 끝은 있을까?
2 시간이란 무엇일까?
3 중력파는 시공간의 떨림이라고?
4 중력파가 왜 중요할까?
5 수억 광년 거리에서 머리카락 두께보다 작은 차이를 구분할 수 있을까?
6 달에 다시 사람을 보내는 이유는 뭘까?
7 달에서 사람이 살 수 있을까?
8 달 표면에서 발견되는 미스터리한 소용돌이?
9 어떻게 수십억 년 동안 태양은 이글이글 탈까?
10 태양이 블랙홀이 되면 어떻게 될까?
11 사람 손톱보다 작은 블랙홀이 있다던데 사실일까?
12 우리는 초신성 폭발의 결과물일까?
13 물이 필요 없는 외계 생명체가 있지 않을까?
14 우주에서 생명의 징후를 발견했다고?
15 지구의 자전이 멈추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16 우주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을까?
구독자들의 이런저런 궁금증 3
Part 4. 세상 만물의 과학
1 더울 때 선풍기를 틀면 왜 시원할까?
2 레이저 포인터의 빛은 어째서 퍼지지 않고 직진할까?
3 빛의 속도로 간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4 병원 엑스레이는 어떻게 몸속을 찍을까?
5 건강에 좋다는 게르마늄 팔찌, 사실일까?
6 미신을 믿습니까?
7 아직도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다고?
8 관상은 정말 과학일까?
9 모든 것이 고장 난다는 파울리 효과
10 우리는 두뇌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
11 귀신 때문에 가위에 눌리는 걸까?
12 죽기 직전에 나타난다는 증상은 사실일까?
13 세상에 존재하는 신기한 물질
구독자들의 이런저런 궁금증 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바이오미메틱스biomimetics라고 들어본 적 있나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온갖 생물의 구조나 특성을 이용해 신기술을 개발하는 분야입니다. ‘생체bio’와 ‘모방mimetics’이란 단어의 합성어인데, 오랜 세월 자연계의 생명체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진화해온 과학적 원리를 모방해서 활용하는 거죠. 비행기도 결국 새의 날개를 본뜬 거잖아요. 그런 식으로 물방울이 굴러다니는 연꽃잎의 원리를 이용한 저절로 깨끗해지는 직물이나, 모기 주둥이를 이용한 고통 없이 피부를 뚫는 주삿바늘 등 여러 신기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힘이 센 동물로 코끼리를 떠올리는 분이 많을 것 같은데요. 진정한 최강자는 바다에 있습니다. 바로 대왕고래입니다. 흰긴수염고래로도 불리고, 영어 이름은 몸의 푸른빛 때문에 ‘블루 웨일Blue Whale’인데요. 무려 33m 길이의 개체가 발견됐을 정도로 덩치가 큽니다. 공룡을 포함해서 아마도 지구상에 존재해온 모든 동물 중에 가장 큰 종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가 7m, 몸무게는 2.5톤에 달하고 성장기에는 하루 100kg씩 몸무게가 증가한다고 하니 정말 놀라울 따름이죠. 정확하게 대왕고래의 힘을 측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육상의 코끼리와 비교할 수는 없을 겁니다. 코끼리 몸무게가 평균 2톤 정도인데, 대왕고래는 입 안의 혀 무게만 4톤에 달하니까요.
혹시 ‘다른손잡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양손잡이와 구분되는 말인데, 일의 종류에 따라 더 숙련된 손이 따로 있는 사람을 부르는 말입니다. 양손잡이가 양쪽 손으로 같은 솜씨의 글씨를 쓸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다른손잡이는 글씨는 왼손으로 쓰지만 밥은 오른손으로 먹는 사람이죠. 이게 무슨 의미냐면, 사람은 엄마 배 속에서 어느 쪽 손을 더 잘 사용할지가 정해져서 태어나긴 하지만 나중에라도 훈련하면 원하는 만큼 충분히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