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도서]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큰글자도서]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철학의 개념과 번역어를 살피다)

신우승, 김은정, 이승택 (지은이)
메멘토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도서]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철학의 개념과 번역어를 살피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2099149
· 쪽수 : 225쪽
· 출판일 : 2023-01-20

책 소개

철학 전공자들에게는 익숙한 용어겠지만 일반인은 도통 이해하기 힘든 철학 번역어다. 저자는 이 번역어들이 현대 한국어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뿐더러 철학의 추상성을 모호함으로 오해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한다.

목차

들어가며

1 논변이 타당하고 건전할 수 있을까?: validity and soundness
2 필요한 것과 필수적인 것의 차이: sufficient and necessary condition
3 ‘명석판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clear and distinct
4 ‘객관적’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objective validity
5 형식에 의미가 있다니요?: significant form
6 한 단어를 여러 철학자가 다르게 쓸 때: transcendental
7 현실적인 것의 반대말은?: potentiality/actuality
8 형이상학은 ‘형이상’을 다루지 않는다: metaphysics
9 ‘-이다’가 개념어로 그렇게 이상한가요?: be/ought
10 있는 것과 존재하는 것이 다를까?: be/exist
11 ‘인식하다’는 너무 많은 뜻으로 쓰인다: epistemology
12 ‘공리’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utilitarianism
13 철학에도 함수가 나온답니다: argument
14 추함이 미적 속성이라니: aesthetic

마치며
부록

저자소개

신우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기가오리’(www.philo-electro-ray.org)의 운영자이다. ‘전기가오리’는 사회정치적인 주제의 철학적 측면에 주목하고, 반엘리트주의를 주창하며, 철학을 둘러싼 격차 문제의 해소에 기여하고자 하는 학문 공동체, 공부 모임이자 출판사이다. <보르헤스와 열한 개의 우물>은 ‘전기가오리’에 연재되었던 글을 전면수정한 것으로, 이러한 ‘전기가오리’의 정신이 오롯이 담겨있는 책이다. 쓴 책으로는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공저), 옮긴 책으로는 <헤겔의 영혼론> 등이 있다. <있는 것에 관하여>(공역)를 포함한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 및 서양 철학의 논문도 여럿 번역했다.
펼치기
김은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과 철학을, 동 대학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했다. 현재 본(Bonn) 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초기 그리스 철학』(공역) 등이 있으며, 「헤겔의 변증법」(공역)을 포함한 스탠퍼드 철학백과 항목 및 서양 철학 논문 여러 편을 번역했다.
펼치기
이승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현재 UCLA 철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언어철학』(공역)이 있으며, 「지칭에 관하여」(공역)를 포함한 스탠퍼드 철학백과 항목 및 서양 철학 논문 여러 편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 부제가 ‘의식의 경험의 학’입니다. ‘의식의 경험의 학’이라는 표현을 이해할 수 있나요? 저는 해당 한국어 구문 자체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의식의 경험에 관한 학문’이라고 하면 그나마 나을 것입니다. ‘직관의 잡다’라는 표현을 이해할 수 있나요? 이 표현만으로는 ‘직관’과 ‘잡다’의 관계를 알 수 없습니다. 이렇듯 현재 사용하는 번역어들이 현대 한국어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수도 없이 했습니다.


‘명석판명’ 같은 낯선 한자어는 철학 개념 같고, ‘명료함과 구별됨’ 같은 일상어는 철학 개념이 아닌 것처럼 느껴질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우리가 일상 언어로 철학 개념을 다루는 시도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그냥 차라리 영어 문헌으로 읽어.”라는 말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어려운 첫째 이유는 그 이름에 있습니다. 분과 학문의 이름은 해당 학문의 대상으로 결정됩니다. ‘사회학’은 사회를 다루니까 사회학이고, ‘동물행태학’은 동물의 행동을 다루기에 동물행태학입니다. ‘형이상학’은 ‘형이상’을 다룰까요? 당연히 그렇지 않습니다. ‘형이상학’의 한자 표기인 ‘形而上學’은 ‘형태 너머의 것을 다루는 학문’이라는 의미를 가질 뿐, ‘형태 너머의 것’이 무엇인지를 규정하지 않기에 분과 학문의 이름으로는 사실상 실패작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