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91195601080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9-11-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사유 논리 도식
무의식의 정의
서술적 관점에서의 무의식의 정의
체계적 관점에서의 무의식의 정의
역동적 관점에서의 무의식의 정의: 억압의 개념
경제적 관점에서의 무의식의 정의
윤리적 관점에서의 무의식의 정의
인간 행위의 성적인 의미
성애의 정신분석학적 개념
욕구, 욕망 그리고 사랑
성충동의 세 가지 중요한 운명: 억압과 승화, 환타즘. 나르시시즘 개념
승화
환타즘
나르시시즘 개념
유아 성애 국면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아의 오이디푸스: 아버지의 본질적인 역할
삶의 충동과 죽음의 충동. 과거의 활동 욕망
전이는 환타즘, 환타즘의 대상은 정신분석가의 무의식이다
프로이트 저작 발췌문
프로이트 연보
참고문헌
◦산도르 페렌치
산도르 페렌치,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편지를 쓰다
철자의 시니피앙 놀이가 프로이트와 페렌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다
산도르 페렌치의 생애
어린 시절의 페렌치는 정서적 안정감이 결여되었다
액체적 요소가 페렌치 저서의 특징을 이루다
프로이트와의 만남
프로이트와 융 사이에서
유혹과 정신적 트라우마
페렌치, 프로이트가 선택한 대화 상대
산도르 페렌치와 게오르그 그로데크의 상호분석
관대함과 이완 기법을 위해 적극적 기법을 포기하다
네오-카타르시스. 신경증자들은 치료자에 의해 진실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완법: 치료시의 수용은 환자를 회상에 몰입하도록 한다
결론
페렌치 저작 발췌문
페렌치 연보
참고문헌
◦게오르그 그로데크
게오르그 그로데크의 생애
그로데크, 슈베닝거의 제자
임상 의사 그로데크
상징 세계의 발견
그로데크의 치료법 강의
프로이트와의 첫 번째 서신 대면
프로이트의 이원론과 그로데크의 일원론
그로데크와 정신신체의학
질병의 성적 기원
모든 질병은 창조물이다
당시의 정신분석 운동에서 그로데크의 위치
그로데크의 그거le Ça와 그거들les Ça
결론
그로데크 저작 발췌문
그로데크 연보
참고문헌
◦멜라니 클라인
멜라니 클라인의 생애
놀이의 정신분석적 기법과 그 발견
초자아의 태고적 형성 혹은 쾌의 당위성
때 이른 오이디푸스의 갈등 시기. 가학증의 “정수”
어머니의 우위성 세 가지
전이와 거세
클라인의 메타심리학과 그 발견들
우울증적 위치의 세 형태
편집-분열증적 국면
우울증적 위치
선망
결론
클라인 저작 발췌문
클라인 연보
참고문헌
◦도널드 위니코트
위니코트의 생애
위니코트의 업적
절대적 의존 시기
모성의 세 가지 기능
충분히 좋은 엄마
참 자기
충분히 좋지 못한 엄마
절대적 의존 시기에 그 원인이 있는 정신심리 장애. 치료적 지향성
상대적 의존 시기
이행적인 현상들
위니코트 저작 발췌문
위니코트 연보
참고문헌
◦프랑수아즈 돌토
프랑수아즈 돌토의 생애
서론 및 주요 주제
어머니-아동 관계와 삼각관계
2자구도
아기주체의 형성
삼각관계의 개념
상징생성적 거세들
거세의 돌토식 정의
탯줄거세
구강거세
항문거세
상징생성적 거세
무의식적 신체상
무의식적 신체상의 정의
무의식적 신체상의 세 가지 측면
신체상의 병리학
예비면담 및 아동의 정신분석에 대하여
예비면담
장소 및 기술양식
결론
돌토의 주요 어휘 해설
돌토 저작 발췌문
돌토 연보
참고문헌
프랑수아즈 돌토의 임상에 대한 회고 (J.-D. 나지오)
◦자끄 라깡
양식의 문제: 자끄 라깡의 광기
인격이란 무엇인가?
거울 단계의 기적
타자의 욕망 속에 깃든 소외
소외로부터 벗어나기: 정신분석
상징적 부채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큰타자의 담론이다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도표
라깡 저작 발췌문
라깡 연보
참고문헌
주(註)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신분석학은 사랑과 미움, 욕망과 법, 고통과 즐거움, 우리들의 언어, 꿈, 환상 등을 연구한다. 또한 그렇게 정신분석학은 단순하기도 하고 복잡한, 그러나 언제나 실재하는 일들을 맡는다. 정신분석학은 단지 추상적 사고와 이론의 수단뿐만 아니라, 분석가와 분석수행자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받는 두 당사자 간의 구체적인 관계에서 우러나는 인간 경험에도 열중한다.
자신이 먼저 자기 문제의 원인에 대한 해결의 길을 재고하는 분석가의 이런 자기반성의 재능은 분석수행자의 난해한 수수께끼를 알아맞히려는 욕망에 안주하지 않고, 그 욕망을 분석가 자신 속으로 끌어들인다. 말하자면 분석수행자가 말하는 고통의 근원을 밝히기 위한 도구로 분석가 자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행위에 부딪혀서 무의식의 존재를 공증한다. 그것은 이 행위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본질, 정신심리의 본질, 정신심리 자체로서 무의식이란 존재를 증명한다. 그때 의식은 무의식 과정의 부수적 결과요, 인식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