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 ISBN : 9791195872992
· 쪽수 : 134쪽
· 출판일 : 2017-01-20
책 소개
목차
1.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주제
2. 범주
3.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데에서 실체가 맡은 역할
4. 근본 원리: 공리
5. 실체란 무엇인가?
6. 실체, 질료, 기체
7. 실체와 본질
8. 질료형상 복합체로서의 실체
9. 실체와 정의
10. 실체와 보편자
11. 존재의 원인으로서의 실체
12. 현실태와 가능태
13. 재고찰된 통일
14. 아리스토텔레스 용어집
참고문헌
기타 인터넷 자료
스탠퍼드 철학백과 내 관련 항목
감사의 말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한 주석
부록: 비실체적 특수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존재로서의 존재에 관한 연구'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술은 쉽사리 오해되는 때가 잦은데, 그 말이 (특별하기는 하지만) 단일한 탐구 주제-존재로서의 존재-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 같아서 그렇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술에 담겨 있는 것은 (1) 연구와 (2) 주제(존재로서의 존재)라는 두 가지가 아니니, 그는 '존재로서의 존재'라는 주제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기술에는 세 가지가 담겨 있다. (1) 연구, (2) 주제(존재), (3) 주제가 (존재로서) 연구되는 방식이 그 셋이다."
"7권 12장은 정의에 관한 새로운 문제-이른바 '정의의 통일성'-를 제시한다. 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정의는 복합체이다. (한 정의항은 항상 몇 개의 낱말을 결합한 것이다.) 그렇다면 피정의항이 여럿이 아니라 하나임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 어떤 형상과도 분리되어 존재하는 동이 있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는 그 종과 독립해서는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일례로 동물이라는 유는 가능적으로 어떤 특수한 종류의 동물인 한에서만 존재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종적인 질료와 형상은 동일하다. 하나는 가능태이고, 다른 하나는 현실태이다. (...) 가능태와 현실태는 어떠한 뜻에서는 하나"(1045b17-21)라는 결론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