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5872909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17-08-25
책 소개
목차
0. 들어가며
1. 섹스/젠더의 구별
1-1. 생물학적 결정론
1-2. 젠더 용어
2.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의 젠더
2-1. 젠더 사회화
2-2. 여성적 남성적 인격으로서의 젠더
2-3. 여성적 남성적 섹슈얼리티로서의 젠더
3. 섹스/젠더 구별에 따르는 문제들
3-1. 젠더는 단일한가?
3-1-1. 특수성 논변
3-1-2. 규범성 논변
3-2. 섹스 분류는 생물학의 문제이기만 한가?
3-3. 섹스와 젠더는 구별되는가?
3-4. 섹스/젠더 구별은 유용한가?
4. 집단으로서의 여성
4-1. 젠더 유명론
4-1-1. 젠더화된 사회적 계열
4-1-2. 유사성 유명론
4-2. 신 젠더 실재론
4-2-1. 사회적 종속과 젠더
4-2-2. 젠더 통합본질주의
4-2-3. 위치성으로서의 젠더
5. 결론
참고 문헌
기타 인터넷 자료
스탠퍼드 철학백과 내 관련 항목
감사의 말
미주
후원자 목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잠시 단순화하자면 일단 ‘섹스’는 생물학적 특징(염색체, 생식기, 호르몬을 비롯한 여러 신체적 특징)에 의거하여 인간 여자와 남자를 지칭한다. ‘젠더’는 사회적 요인(사회적 역할, 위치, 행동, 정체성)에 의거하여 여성과 남성을 지칭한다. 페미니즘이 이와 같은 구별을 내리는 주요 동기는 생물학적 결정론, 즉 생물학적 특징이 곧 운명이라는 견해에 대항하는 데 있었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인과적으로 구성된다. 사회적 영향은 젠더화된 개인을 생겨나게 하는 인과적 역할을 맡거나, 우리가 여성과 남성으로서 존재하는 방식을 (상당한 의미에서) 형성한다. 그리고 이 구성의 메커니즘이란 곧 사회적 학습이다. (…) 그러나 여성적·남성적 젠더 규범에는 문제가 있다. 젠더화된 행동이 여성의 종속에 딱 맞아떨어질 뿐만 아니라 여성의 종속을 강화하여, 여성으로 하여금 종속적인 사회적 역할로 사회화되게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여성 범주를 통합하는 것은 실천적 타성태 현실practico-inert realities, 즉 여성의 삶과 행동이 어떤 대상 및 일상 현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버스 통근자들은 버스라는 동일한 실천적 타성태 대상과 대중 교통이라는 실천을 중심으로 조직된 개별 행동을 통해 통합된 계열을 형성한다. 여성은 그들을 여성으로 지정하는 실천적 타성태 대상 및 현실을 중심으로 조직된 여성의 삶과 행동을 통해 통합된 계열을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