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나혜석 × 노천명이 쓰고, 프리다 칼로 × 마리 로랑생이 그리다)

나혜석, 프리다 칼로, 노천명, 마리 로랑생 (지은이), 권호 (엮은이), 안젤리카 카우프만,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세라핀 루이, 수잔 발라동, 암리타 쉐어 길, 마리 빅토와 르모앙 (그림)
Muse(뮤즈)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000원 -10% 500원 8,500원 >

책 이미지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나혜석 × 노천명이 쓰고, 프리다 칼로 × 마리 로랑생이 그리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사진/그림 에세이
· ISBN : 9791197296918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1-02-15

책 소개

과거 남성 중심의 시대 속에서 예술가로 이름을 날렸던 여성 예술가들의 글과 그림을 한 권에 모은 그림 에세이 or 시화집이다. 오늘날 신여성의 아이콘이 된 나혜석과 노천명, 그리고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와 프랑스 화가 마리 로랑생 등 다양한 국가의 여성 화가의 그림을 만날 수 있다.

목차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나혜석(글, 명화) / 프리다 칼로(명화)

1. 뱀의 유혹, 그리고 이브의 호기심 ─ 땋은 머리의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012
2. 독신자의 사랑 ─ 드러난 삶의 풍경 앞에서 겁에 질린 신부 / 프리다 칼로 • 015
3. “정조는 취미다” ─ 핑크 드레스 / 베르트 모리조 • 019
4. 나를 잊지 않는 행복 ─ 자화상 / 나혜석 • 023
5. 이상적 부인 ─ 자화상 / 안젤리카 카우프만 • 030
6. 유럽 밤거리의 축하식 ─ 앵무새가 있는 정물 / 프리다 칼로 • 035
7. 젊은 부부 ─ 프리다와 디에고 리베라 / 프리다 칼로 • 039
8. 홀로 사는 여성의 생활기 ─ 두 명의 여인 / 수잔 발라동 • 046
9. 독신 여성의 정조론 ─ 목걸이를 한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051
10. 이혼 고백장_청구 씨에게 ─ 화장하고 있는 여자 / 베르트 모리조 • 084
11. 이혼 고백장_약혼까지 내력 ─ 타히티 여성처럼, 자화상 / 암리타 셰어 길 • 090
12. 이혼 고백장_주부이자 화가 생활 ─ 밀짚모자를 쓴 자화상 /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 096
13. 이혼 고백장_유럽과 미국 여행 ─ 숲속의 두 누드 / 프리다 칼로 • 098
14. 이혼 고백장_시어머니와 시누이의 대립 ─ 나무 / 수잔 발라동 • 104
15. 이혼 고백장_C와 관계 ─ 무함마드 더비쉬 칸의 초상화 / 엘리자베스 비제르 브룅 • 110
16. 이혼 고백장_집안 운수는 역경 속으로 ─ 무제 / 암리타 셰어 길 • 114
17. 이혼 고백장_이혼 ─ 시빌 /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 120
18. 이혼 고백서_이혼 후 ─ 테후아나 의상을 걸친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133
19. 이혼 고백서_과연 어디로 향할까 ─ 원숭이와 함께 있는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146
20. 이혼 고백서_모성애 ─ 줄리 르 브룅 거울을 보며 /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 152
21. 이혼 고백서_금욕생활 ─ 자화상 / 암리타 셰어 길 • 155
22. 이혼 고백서_ 이혼 후 소감 ─ 벨벳 드레스를 입은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159
23. 이혼 고백서_ 조선 사회의 인심 ─ 헝가리 집시 소녀 / 암리타 셰어 길 • 164
24. 이혼 고백서_청구 씨에게 ─ 삶이여 영원하라 / 프리다 칼로 • 172
25. 노라 • 176
26. 냇물 ─ 두 마리 새에게 먹이를 주는 소년의 초상화 · 화분을 들고 있는 소녀의 초상화 / 마리 빅토와 르모앙 • 178
27. 인형의 집 ─ 가시목걸이를 한 자화상 / 프리다 칼로 • 182
28. 시 ─ 식당 안에서 / 베르트 모리조 • 186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
노천명(글) / 마리 로랑생(명화)

1. 검정 나비 ─ 마놀라 / 마리 로랑생 • 190
2. 고독 ─ 두 명의 여자와 기타 / 마리 로랑생 • 192
3. 고별 ─ 코코 샤넬의 초상화 / 마리 로랑생 • 194
4. 감사 ─ 국화꽃 / 마리 로랑생 • 198
5. 곡 촉석루• 200
6. 교정 ─ 서커스 / 수잔 발라동 • 202
7. 구름같이 • 206
8. 귀뚜라미 ─ 헬레나 루빈스타인의 초상화 / 마리 로랑생 • 208
9. 그대 말을 타고 • 210
10. 길 • 212
11. 가을의 구도 ─ 두 여자 / 암리타 셰어 길 • 214
12. 꽃길을 걸어서 ─ 불멸의 요정 · 실비아 / 안젤리카 카우프만 • 216
13. 남사당 ─ 여름날 / 베르트 모리조 • 220
14. 포구의 밤 ─ 풍요의 여신을 데리고 오는 평화의 여신 /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 224
15. 당신을 위해 • 228
16. 돌아오는 길 ─ 잎사귀 · 데이지 / 세라핀 루이 • 230
17. 동경 ─ 빨래 널기 / 베르트 모리조 • 234
18. 동기 • 238
19. 만가 • 240
20. 망향 ─ 두 친구 / 마리 로랑생 • 242
21. 개 짖는 소리 • 246
22. 바다에의 향수 ─ 천국의 나무 · 포도송이 / 세라핀 루이 • 248
23. 박쥐 • 252
24. 별을 쳐다보며 ─ 모르꾸르의 정원에서 / 베르트 모리조 • 254
25. 봄의 서곡 • 258
26. 비련송 ─ 흰 장미를 든 여자 / 마리 로랑생 • 260
27. 사슴 ─ 두 명의 어린 소녀 / 마리 로랑생 • 262
28. 사월의 노래 • 264
29. 푸른 오월 ─ 고양이 / 마리 로랑생 • 266
30. 산염불 ─ 분홍색 옷을 입은 여성 / 마리 로랑생 • 268
31. 성묘 • 272
32. 소녀 ─ 젊은 초상화 / 마리 로랑생 • 274
33. 수수 깜부기 ─ 기타를 든 여성 / 마리 로랑생 • 276
34. 슬픈 그림 ─ 여인의 머리 / 마리 로랑생 • 278
35. 아-무도 모르게 ─ 엘리스 / 마리 로랑생 • 280
36. 출범 ─ 자화상 · 유리 속의 꽃들 / 수잔 발라동 • 282
37. 아름다운 새벽을 ─ 테세우스에게 버림받은 아리아드네 / 안젤리카 카우프만 • 286
38. 아름다운 얘기를 하자 ─ 다섯 명의 어린 소녀 / 마리 로랑생 • 290
39. 춘향 ─ 목욕 · 백인소녀 / 베르트 모리조 • 294
40. 어떤 친구에게 • 298
41. 여인부 ─ 세 명의 어린 소녀 / 마리 로랑생 • 300
42. 오월의 노래 ─ 레이디 해밀턴 /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 304
43. 호외 ─ 푸른 침실 / 수잔 발라동 • 306
44. 유월의 언덕 ─ 삶의 기쁨 / 수잔 발라동 • 310
45. 자화상 ─ 기대 누운 여인 / 수잔 발라동 • 314
46. 장날 ─ 과일 그릇 / 수잔 발라동 • 318
47. 장미 ─ 거울 속의 장미 / 수잔 발라동 • 320
48. 저녁별 ─ 강아지와 어린소녀 / 베르트 모리조 • 322
49. 추성 ─ 레옹 리즈네의 딸 루이즈 리즈네 / 베르트 모리조 • 324
50. 창변 ─ 바이올린 케이스 / 수잔 발라동 • 326
51. 추풍에 부치는 노래 ─ 자매들 / 베르트 모리조 • 330
52. 희망 ─ 백작 고워의 가족 / 안젤리카 카우프만 • 334
53. 춘분 ─ 흰 옷을 입은 어린 소녀 / 마리 로랑생 • 338

저자소개

나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은 한국 근대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여성 지식인 중 한 명으로, 화가이자 작가, 여성운동가, 독립운동가로서 복합적인 정체성을 지닌 인물이다. 그녀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라는 격변의 시대를 살아가며 한국 여성으로서 최초로 여러 영역에서 선구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전통적인 여성상에 대한 도전과 사회적 억압 속에서도 자아를 찾으려 했던 그녀의 삶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깊은 영감을 준다. 문필가로서 나혜석은 ‘신여성’ 담론의 중심에 서 있었다. 《조선일보》《동아일보》《여자계》《신여자》 등 각종 신문과 잡지에 여성의 권리와 해방을 주장하는 글을 기고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녀는 「이혼고백서」「부인문제와 결혼관」「여자도 사람이다」와 같은 저술을 통해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임을 역설했다. 당시 그녀의 글은 보수적인 조선 사회에서 도전적이고 파격적인 발언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녀의 그림과 글은 일제강점기 조선 여성의 억압된 현실과 그 속에서의 저항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나혜석은 끝까지 “여자도 사람이다.”라는 신념을 굽히지 않았고, 개인의 비극적인 삶에도 불구하고 여성 해방과 민족 해방의 가치를 위한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나혜석의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녀의 삶은 비극과 투쟁, 창조와 저항으로 점철되어 있다. 사후에도 오랫동안 역사 속에서 잊혀졌던 그녀는 1980년대 이후 한국 페미니즘의 부흥과 함께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나혜석은 한국 근대 여성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미술, 문학, 사회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여준 그녀의 활동은 당시 조선 사회에 큰 울림을 주었으며,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그녀의 이름은 이제 ‘신여성’이라는 말과 함께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여성으로 기억되고 있다.
펼치기
노천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1년 9월 1일 황해도(黃海道) 장연군(長淵郡) 전택면(專澤面) 비석리(碑石里)에서 출생한다. 본래 이름은 항렬자를 따른 기선(基善)이었으나, 여섯 살 때 홍역을 심하게 앓고 소생한 후 하늘의 명(天命)으로 살았다는 의미로 이름을 고쳐 올렸다고 한다. 아버지 노계일(盧啓一)은 무역업을 통해 상당한 재산을 모은 소지주였으며, 어머니 김홍기(金鴻基)는 서울 태생의 양반 가문 규수로 교양 있는 여성이었다. 1917년 일곱 살 때 장연에 있는 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다음 해 아버지의 죽음으로 어머니의 친정인 서울로 이주한다. 아버지의 죽음과 낯선 환경으로의 변화는 이후 노천명 문학에서 드러나는 ‘향수’의 근원이 된다. 1920년에 비로소 서울 생활의 근거지(창신동 81번지 2호)를 정하고 진명보통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5학년 때 검정고시에 합격해 1926년 진명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한다. 4년간의 여고보 생활 동안 항상 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했고 이미 이 시절부터 시작(詩作)에 능했으며, 몸이 약한데도 달리기 선수로 활약했다. 성격은 예민한 편으로 특히 자존심이 강했으나, 평생 지우 이용희와는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1930년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전 영문과에 입학하게 되는데, 이 겨울 모친이 57세로 죽는다. 이화여전 재학 중에 김상용, 정지용, 변영로의 가르침 속에 시작(詩作)에 집중해 교지를 비롯해서 ≪신동아≫ 등 여러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한다. 1934년 이화여전을 졸업한 노천명은 ≪조선중앙일보≫ 학예부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한편, ≪시원≫ 창간호(1935. 2. 10)에 <내 청춘의 배는>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단에 데뷔한다. 1937년 조선 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북간도의 용정, 연길 등을 여행했으며, 1938년 49편의 시를 수록한 ≪산호림(珊瑚林)≫을 자비 출판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자리를 공고히 한다. 이화여전 은사들인 김상용, 정지용, 변영로 등과 남산의 경성 호텔에서 화려한 출판 기념회를 열었으며, 진달래빛 옷을 곱게 입고 참석한 노천명은 ‘한국의 마리 로랑생’, ‘앨리스 메이넬’로 불린다. 이후, 다시 조선일보사에서 운영하는 ≪여성≫지의 편집 기자 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벌인다. 그러나 1942년부터 총독부 정책에 호응하는 친일시를 창작하고 ‘조선문인협회’에 모윤숙, 최정희 등과 함께 간사로 참여한다. 1945년 29편의 시를 수록한 두 번째 시집 ≪창변(窓邊)≫이 매일신보 출판부에서 간행된다. 해방 후 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가 서울신문으로 이어지면서 노천명은 문화부에 근무한다. 1947년 노천명의 형부 최두환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것에 이어 극진히 사랑하던 조카딸 최용자마저 맹장 수술 후 스물두 살 젊은 나이에 죽게 된다. 연이은 가족의 죽음, 특히 각별한 사이였던 최용자의 죽음은 깊은 슬픔과 허망함을 주는 사건이 된다. 이러한 면면들은 여러 편의 수필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948년 10월 38편의 수필이 수록된 첫 번째 수필집 ≪산딸기≫가 정음사에서 간행된다. 또한 같은 해 3월에는 동지사에서 출간한 ≪현대 시인 전집≫ 제2권에 55편의 <노천명집>이 수록된다. 한국 전쟁기는 노천명에게 큰 시련이었다.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한 노천명의 부역 행위는 부역자 처벌 특별법에 의해 20년 형이 선고되어 노천명은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부산으로 이감된다. 김광섭 등의 구출 운동으로 1951년 4월 출옥하게 되며, 가톨릭에 귀의하고 공보실 중앙 방송국 촉탁으로 일하게 된다. 이러한 시련은 노천명에게 일생의 굴욕으로 다가왔으며 옥중의 심정은 여러 시편으로 형상화된다. 1953년 3월 세 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가 간행된다. 1954년 7월 두 번째 수필집 ≪나의 생활백서≫를 출간하고, 1955년 12월 ≪여성 서간문 독본≫을 출간한다. 서라벌 예술대학에 강사로 출강하는 한편, 1956년 5월 ≪이화 70년사≫를 간행하는데, 이 일에 몰두했던 노천명은 건강에 무리가 온다. 결국 1957년 3월 7일 오후 3시 거리에서 쓰러진 노천명은 청량리 위생병원 1호실에 입원한다. 재생 불능성 뇌빈혈 판정을 받고, 요양과 입원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되어 1957년 6월 16일 새벽 1시 30분에 종로구 누하동 225번지의 1호 자택에서 운명을 다한다. 노천명의 장례는 6월 18일 천주교 문화회관에서 최초의 문인장으로 치러졌다. 이헌구가 식사를, 오상순, 박종화, 이은상, 김말봉이 조사를, 최정희가 약력을 소개하고, 전숙희는 유작을 낭독했으며, 중곡동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 후에 천주교 묘지 이전으로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으로 이장되었는데, 묘비는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하고, 서예가 김충현이 시 <고별>의 일부를 새겼다. 사후 1년에 42편이 수록된 유고 시집 ≪사슴의 노래≫가 한림사에서 간행되고, 1960년 12월 김광섭, 김활란, 모윤숙, 변영로, 이희승 등의 발행으로 노천명의 3주기를 기념한 ≪노천명 전집 시편≫이 간행된다. 또한 1973년 3월 시인의 유족이 주선하고 박화성이 서문을 쓴 수필집 ≪사슴과 고독의 대화≫가 서문당에서 간행되며, 1997년 7월 이화여자대학교 문인 동창회와 시인의 유족, 솔 출판사가 힘을 합해 노천명의 시와 산문(유고 포함)을 수록한 ≪노천명 전집≫1, 2권이 간행된다.
펼치기
프리다 칼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멕시코를 대표하는 여성 화가입니다. 1920년 멕시코 혁명이라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태어나, 여섯 살 때는 소아마비를 앓았습니다. 교통사고로 생긴 육체적 고통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극복하고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작품으로 승화시켰습니다. 독특한 화풍으로 자신과 관련된 소재들을 즐겨 그려 자화상이 많은 화가입니다.
펼치기
마리 로랑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라보 다리 아래 센 강은 흐르고’로 시작되는 천재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의 명시(名詩) ‘미라보 다리’의 실제 주인공인 마리 로랑생(1883~1956)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여성화가 이다.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태어난 마리 로랑생은 제1·2차 세계대전 소용돌이 한가운데 살았다. 무자비하게 몰려드는 전란의 시기에도 그녀가 품은 절대가치는 사랑이었다.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로부터 뜨거운 애정의 헌사를 받았으며 피카소와 샤넬, 장 콕도, 까뮈 등과 예술적, 지적 영감을 교류했다. 그녀는 무엇보다 색채에 대한 자신만의 매혹적인 감각으로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황홀한 핑크와 옅은 블루, 청록, 우수가 감도는 회색 등은 마리 로랑생의 작품을 누구나 보면 한 번에 알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 마리 로랑생의 그림에는 한 여성의 내면에 여리고 앳된 소녀와 열정을 앓았던 처녀, 삶을 관조하는 중년 시기 등 시간대별 이미지들이 중첩돼 있다. 마리는 부드럽게 어루만져주고 감싸 안아주는 여성을 그려 자신의 고통이 치유되는 느낌을 받았다. 죽음이 도처에 있고 고통이 세상을 잠식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마리의 내면은 평화와 생명의 세상을 간절히 바랐을지 모른다.
펼치기
안젤리카 카우프만 (그림)    정보 더보기
스위스를 대표하는 여성 화가로, 로코코풍의 섬세함과 신고전주의적 양식을 결합한 개성있는 작품이 특생이며 괴테와 빈켈만의 초상화를 그렸고, 영국 왕립미술원 창설자 중의 한 사람이다.
펼치기
엘리자베스 비제 르 브룅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 화가. 18세기 말부터 프랑스 혁명을 거쳐 왕정복고까지 엘리자베스는 자신의 예술과 특출난 화가 경력을 통해 격동기를 살아온 그 시대의 특별한 산증인이다.
펼치기
세라핀 루이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화가이다. 세라핀은 천재성에 비해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한 화가로 그림을 단 한 번도 배운 적이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완성하며 빈 센트 반 고흐에 비견되는 천재 여류 화가로 불려지기도 했다.
펼치기
수잔 발라동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여성화가.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난 자화상과 여성 누드화를 통해 화가로서의 자기주장을 드러냈다.
펼치기
암리타 쉐어 길 (그림)    정보 더보기
191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20세기 초의 가장 위대한 아방가르드 여성 예술가 중 한 사람"이며 “현대 인도 예술의 개척자"라고 불린다.
펼치기
마리 빅토와 르모앙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고전주의 화가로 그녀의 자매들도 화가가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매들과는 달리 미혼 인 채로 회화를 통해 생계를 꾸려가는 현대 미술계의 몇 안되는 여성 중 한 명이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조는 취미다" -나혜석
정조는 도덕도, 법률도 아무 것도 아닙니다. 오직 취미일 따름입니다. 밥을 먹고 싶을 때 밥을 먹고, 떡을 먹고 싶을 때 떡을 먹는 것과 같이 임의대로 하는 것이지, 결코 마음을 구속할 수 없습니다.


별을 쳐다보며 - 노천명
나무가 항시 하늘로 향하듯이
발은 땅을 딛지만 우리
별을 쳐다보며 걸어갑시다.

친구보다
좀 더 높은 자리에 있어 본댔자
명예가 남보다 뛰어나 본댔자

또 미운 놈을 혼내 주어 본다는 일
그까짓 것이 다- 무엇입니까.

그저 술 한 잔만도 못한
대수롭잖은 일들입니다.

발은 땅을 딛지만 우리
별을 쳐다보며 걸어갑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7296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