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문학의 길찾기

인문학의 길찾기

최희봉, 황희숙, 김용규, 이재봉, 김성민, 박만준, 류지석, 하용삼, 이기흥, 이상엽, 신응철 (지은이), 류의근, 대동철학회 출판기획위원회 (엮은이)
교육과학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000원 -0% 2,500원
420원
16,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문학의 길찾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문학의 길찾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25412634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인문학의 정신과 가치는 예나 지금이나 인류 문명의 유구한 발명이요 전통이다. 작금 한국 사회의 인문학이 자본 세계화의 추세와 그 질곡 속에서 헤어나지를 못하는 상황에서 인문학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 3

제1부 세계 인문학 11
Chapter_ 1 현대성 비판과 인문학의 전망 13
1. 들어가는 말 15
2. 현대의 이미지 16
3. 현대성 비판 22
4. 현대성과 인문학의 전망 28
5. 나가는 말 32

Chapter_ 2 과학주의와 인문학의 재정위 35
1. 『두 문화』 그 이후 37
2. 과학주의 40
3. 과학의 이미지 45
4. 과학기술 시대의 인문학 51

제2부 지역 인문학 59
Chapter_ 3 로컬리티와 인문학 61
1. 들어가는 말 63
2. 인문학의 정의 64
3. 로컬과 로컬리티의 의미 69
4. 로컬리티의 철학적 인식과 전개 73
5. 나가는 말: 로컬리티의 인문학의 미래 77

Chapter_ 4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과제 83
1. 로컬리티라는 것 85
2. 왜 로컬, 로컬리티인가? 86
3. 로컬, 로컬리티란 무엇인가 92
4. 지역을 넘어 로컬로 97

Chapter_ 5 로컬리티의 타자화와 로컬공동체 105
1. 서론 107
2. 로컬리티의 타자화 108
3. 근대와 세계화시대의 로컬리티 118
4. 로컬공동체 122
5. 결론 128

제3부 대학 인문학 133
Chapter_ 6 독일 전통의 도야 이념 소고 135
1. 들어가는 말: 논의의 배경 137
2. 독일 전통의 초기 도야 이념 141
3. 독일 신인문주의의 도야 이념 144
4. 역사주의의 도야 이념 150
5. 비판이론 전통의 도야 이념 153
6. 비판이론 이후의 도야 이념 158
7. 결론을 대신하여 159

Chapter_ 7 니체와 대학 교육의 목적 167
1. 문제의식 169
2. 대학의 형성과 목적 172
3. 니체 당대의 대학 상황과 비판 174
4. 속물교양 178
5.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181
6. 교양교육의 목적과 교양의 이상 183
7. 대학 교육의 미래 188

Chapter_ 8 대학의 변화와 지금-여기의 인문학 191
1. ‘지금-여기’의 인문학이 처한 아이러니 193
2. 우리가 알고 있는 인문학과 교양 개념의 변화 196
3. 자기계발과 경제논리로서의 인문학을 넘어 214
4. 미래 인문학의 새로운 역할 219

제4부 실천 인문학 225
Chapter_ 9 철학 상담을 통해서 본 치료 인문학 227
1. 들어가기 229
2. 철학상담 231
3. 인문치료 240
4. ‘치료’라는 용어의 문제 245
5. 나가기 247

Chapter_ 10 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한 문화비평 인문학 251
1. 머리말 253
2. 인문학의 위기와 현실 그리고 대응 254
3. 매체 시대의 해석학적 문화비평 259
4. 맺음말 272

Chapter_ 11 분단과 통합에 관한 담론으로서 통일 인문학 275
1. 들어가는 말 277
2. 분단과 통일의 인문학적 초점화 280
3. 인문학의 자기 성찰적 기능의 회복 283
4. 한국의 인문학이 사유해야 할 분단과 통일 287
5. 나가는 말 293

에필로그 299
출전 303
찾아보기 304

저자소개

최희봉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인문학부(철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영국 노팅엄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흄의 철학》, 《서 양근대철학》(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마음에 관한 흄의 견해〉, 〈비판적 사고와 철학적 논증〉, 〈비판적 사고와 철학상담: 코헨의 LBT 5단계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황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명예교수다. 은유, 회의론, 인지주의 감정론, 토착 지식, 생태론, 공동선, 공감 등의 주제에 대해 논문을 썼다. 저서 『비트겐슈타인, 두 번 숨다』, 『전문가와 전문지식의 생태학』, 공저 『여성과 철학』, 『처음 읽는 영미 현대철학』, 『인문학의 길찾기』, 『에코테크네 페미니즘』, 『장소 철학 1, 2』,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도시 현상학』, 『통합과 번영의 환상도시 사회학』이 있고, 역서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젊은 과학의 전선』, 공역서 『이것이 생물학이다』, 『생물학이 철학을 어떻게 말하는가』, 『현대 자연주의 철학』이 있다.
펼치기
김용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영문학과에서 가르치며 문화비평이론, 탈식민주의, 유럽지성사, 세계문학론 등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혼종문화론』(2013), 『문학에서 문화로: 1960년대 이후 영국 문학이론의 정치학』(2004)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인류: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연대』, 『멀리서 읽기: 세계문학과 수량적 형식주의』, 『문화연구 1983』, 『글로벌/로컬: 문화생산과 초국적 상상계』 등이 있으며, 『경계에서 만나다: 디아스포라와의 대화』, 『번역과 횡단: 한국 번역문학의 형성과 주체』, 『세계문학의 가장자리에서』, 『대담집: 재일디아스포라의 목소리』를 공동 편집했다.
펼치기
이재봉 (엮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 근대문학, 재일조선인문학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은 책으로 『근대소설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 근대문학과 문화체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말이라는 환영-근대 일본의 언어 이데올로기』, 『그녀의 진정한 이름은 무엇인가』, 『버젓한 아버지에게』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정치/사회철학, 역사철학, 문화철학, 미디어 철학 등의 과목을 주로 강의했고, 현재 명예교수이다. 그동안 문과대학 학장과 인문학연구원 원장을 지냈고, (사)한국철학회 회장과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통일인문학’이라는 아젠다를 제시하고, 인문학적 패러다임을 통해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방법론을 연구했다. 주요 저(역)서로는 『통일인문학』(건국대학교 출판부), 『영화가 된 철학』(인간사랑), 『마르크스의 자본론』(삼성),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동녘) 등이 있고, 『매체철학의 이해』(인간사랑), 『문화와 철학』(동녘), 『역사가 우리에게 남긴 9가지 트라우마』(패러다임북), 『영화 속 통일인문학: 대중문화로 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씽크스마트), 『세계화와 민족,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성』(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을 포함해 다수의 저작에 참여했다.
펼치기
박만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철학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욕망과 자유의 변증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여러 환경단체의 상임대표를 지냈고 지금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 환경포럼 전문위원, 부산시 환경정책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생물학적 인간, 생태학적 인간에 대한 관심을 평생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서는 <철학>(공저), <욕망과 자유>, <상생의 철학>(공저), <인성론>(공저),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21세기 다윈혁명>(공저), <마음학: 과학적 설명과 철학적 성찰>(공저), <고전의 반역>(공저), <레이먼드 윌리엄스>, <철학의 향기와 역사 이야기>(공저), <청춘의 책탑>(공저), <인문학의 길 찾기>(공저), 『신경미학, 뇌와 아름다움의 진화』 등이 있다. 역서는 <마르틴 하이데거>(존 맥쿼리),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E. 후설), <그리스인의 이상과 현실>(G. L. 디킨슨, 공역), <헤겔 철학개념과 정신현상학>(N. 하르트만), <의식과 신체>(P. S. 모리스),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라이너 그룬트만), <하버마스의 사회사상>(미첼 퓨지, 공역), <헤겔의 변증법>(N. 하르트만), <논리학 입문 14판>(어빙 코피), <대중문화와 문화이론(8판)>(존 스토리),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존 스토리), <대중문화의 이해>(존 피스크),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레이먼드 윌리엄즈), <영화의 이해(13판)>(루이스 자네티),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A. 겔렌), <신경과학의 철학>(M. 베넷 외), <대중과 대중문화>(존 피스크) 등이 있다.
펼치기
류지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릴 제3대학(샤를 드골)에서 베르그손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과 부산대학교 HK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부경대학교 학부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문화공간 봄’ 대표를 맡고 있다. 영국 사회학자와 학제 간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며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하용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철학 전공.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독일 브레멘대학교(Univ. Bremen)에서 박사학위(Dr. phil.)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의 관심 분야는 G. 아감벤, J. 랑시에르, M. 하트, 공통적인 것(the common) 그리고 공동체이다. 주요 연구성과로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공저, 2013), <자율과 연대의 로컬리티>(공저, 2016), 「(비)기능적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2013), 「목적의 나라와 이소노미 공동체」(2015), 「비물질적 노동에 의한 공간의 재전유」(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교수
펼치기
신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펼치기
류의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버팔로 뉴욕주립대학교 객원 교수 역임 •전) 신라대학교 철학과 교수 지금은 철학과 제국, 기독교와 제국, 성경과 해방을 주제로 하는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실천』 『비판적 사고와 철학논술교육』 『현대사회와 철학』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공저) 『서양의 자아철학』(공저) 『서양철학의 수용과 탈식민철학의 가능성』(공저) 『현대사회와 기독교의 대응』 『도여서-예수의 도를 위한 서신』 [역서] 『신의 죽음과 삶의 의미』 『예수와 철학』 『기독교 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성도들이 일으킨 혁명』 『하나님 나라의 권력투쟁』 [논문] 「주체의 사망과 부활」,「 반제국적 주체성: 예수」, 「지젝과 기독교」
펼치기
대동철학회 출판기획위원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류의근(신라대 교양과정대학) 박종원(건국대 연구교수 역임) 이재봉(부산외대 만오교양대학) 오용득(동아대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손향구(동국대 다르마칼리지) 김성동(호서대 문화기획학과) 이을상(부산대 교양교육원) 윤용택(제주대 철학과) 김상득(전북대 철학과) 최경석(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김진경·이상목(동아대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펼치기
대동철학회 출판기획위원회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