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사형통

만사형통

(중국 현대 소설선)

모옌, 톄닝, 샤톈민, 궈원빈, 판샹리, 스수칭, 류싱룽, 예미, 아청, 둥리보, 훙커, 판샤오칭, 츠쯔졘 (지은이), 박재우 (옮긴이)
민음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만사형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사형통 (중국 현대 소설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88937481819
· 쪽수 : 542쪽
· 출판일 : 2008-05-02

책 소개

테닝, 모옌 등 중국의 현대 대표작가 13인의 작품을 수록한 소설집. 13편의 작품들은 대개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에 발표되었다. 대부분이 문화대혁명이라는 시대적 그늘에서 벗어나, 개혁 이후 시장 경제 유입으로 인한 각종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다룬다.

목차

1. 도망
2. 한 쌍의 큰 양
3. 만사형통(吉祥如意)
4. 맹물 야채국
5. 먹는 일에 관한 이야기 둘
6. 안개의 달, 외양간 울타리
7. 맑은 물속의 칼
8. 봉황 거문고
9. 허물을 벗고 날아오르다
10. 착한 창기(良娼)
11. 미샹(米香)
12. 허풍(吹牛)
13. 가계부

저자소개

모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둥성 가오미(高密)에서 1955년에 태어났다. 2011년에 한국 만해문화대상(문예부문)과 중국 마오둔문학상을 수상하였고, 2012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66년에 학업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지었다. 1973년 8월에 가오미현 제5 면실유 가공공장에 들어갔다. 1976년 2월에 입대하여 해방군 병사, 분대장, 교관, 간사 등 직책을 역임하였다. 1978년부터 창작을 시작하였고, 1981년에 처녀작 「봄밤에 비는 부슬부슬 내리고(春夜雨)」를 발표하였다. 1984년에 해방군예술대학 문학과에 입학하였고, 1985년에 출세작인 「투명한 홍당무(透明的紅蘿蔔)」를 발표하였다. 1986년에 시리즈 소설인 『붉은 수수 가족(紅高粱家族)』을 발표하여 문단을 뒤흔들었다. 1988년 가을에 베이징사범대학과 중국작가협회가 공동으로 개설한 대학원에 입학하였고, 1991년 봄에 졸업하면서, 문예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에 검찰일보사로 이직하였다. 2007년에 문화부 중국예술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겨 문학원 원장을 맡았고, 현재 베이징사범대학 교수, 박사생 지도교수, 국제창작센터(國際寫作中心) 주임 등을 맡고 있다. 지금까지 장편소설 11편, 중편소설 20여 편, 단편소설 100여 편과 연극, 희곡, 텔레비전 드라마 극본, 산문, 시(詩)와 사(詞)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창작하였다. 중국 내외 많은 대학의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아울러 옥스퍼드대학, 미국 시애틀의 시티대학, 프랑스 마르세유대학, 홍콩, 마카오 등지 열몇 개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 혹은 원사 칭호를 받았다.
펼치기
톄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문화예술연합회 주석, 중국작가협회 주석. 중국을 대표하는 페미니즘 소설가이자 지한파知韓派 작가. 1957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1975년 지식청년 시절부터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허베이성 작가협회 주석을 거쳐, 2006년 11월 중국작가협회 주석의 자리에 올랐다. 중국 전역에 7,690명의 회원을 가진 작가협회 주석에 여성이, 그것도 40대 젊은 작가인 톄닝이 선출되면서 크게 화제가 되었다. 1949년 출범한 작가협회 57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장미의 문》玫瑰門, 《대욕녀》大浴女, 《분화》笨花 등의 장편소설과 《아, 샹쉐》哦, 香雪, 《이리나의 예모》伊琳娜的禮帽, 《영원이란 얼마나 먼 것일까》永遠有多遠 등의 중단편소설, 산문, 수필 등 400여 만 자의 작품을 발표했다. 1996년 다섯 권으로 된 《톄닝 문집》鐵凝文集을 비롯해 2006년 아홉 권으로 된 《톄닝 작품시리즈》를 출간하였다. 2001년 《영원이란 얼마나 먼 것일까》永遠有多遠로 루쉰魯迅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국가급 문학상을 수상했고, 많은 작품이 영화로 제작되었다. 일부 작품은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한국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튀르키예어, 태국어 등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2015년 5월 프랑스 예술문학기사 훈장, 2018년 폴란드 야니츠키Janicki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샤톈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윈난(雲南) 성 출생. 중편소설집 『과거시험장의 갖바치(鄕場上的皮匠)』, 『시골 소묘(鄕村雕塑)』 등과 수필집 『정의 바다에 배를 띄우다(情海放舟)』 등이 있다. 중편소설 「한 쌍의 큰 양」으로 루쉰문학상, 당대문학상, 윈난 성 정부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 쌍의 큰 양」을 각색한 동명의 영화는 캐나다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최우수 스토리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궈원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닝샤(寧夏) 성 시지(西吉) 현 출생. 1986년부터 작품을 발표하여 산문집 『빈 편지 봉투(空信封)』 등과 시집 『내 눈이 나를 망쳤습니다(我被我的眼睛帶?)』가 있다. 많은 작품이 중국소설학회, 중국산문학회, 베이징문학 등의 차트에 오르고 전 중국 올해의 우수작품에 들어가기도 했다. 단편소설 ?만사형통(吉祥如意)?으로 인민문학상, 소설선간상, 루쉰문학상 전국우수단편소설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판샹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푸젠(福建) 성 취안저우(泉州) 출생. 1988년부터 작품을 발표하여 상하이문학 우수작품상, 문회보 펜클럽 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상하이 문화 신인’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연속하여 중국 소설 순위 차트에 올랐다. 청년문학창작상과 좡중원문학상을 받았으며 「맹물 야채국」으로 루쉰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스수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닝샤(寧夏) 성 출생. 소설집 4권 중 『산화 마그네슘/마그네시아/고통의 대지(苦土)』와 『복날(伏天)』로 전국소수민족문학상 준마상을 두 번 수상했다. 단편소설 「맑은 물속의 칼(淸水裏的刀子)」로 소설선간상과 루쉰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 밖에 다수의 단편소설로 10월문학상, 닝샤예술평론상, 닝샤예술평론상, 닝샤청년문예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류싱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후베이(湖北) 성 황저우(黃州) 출생. 1984년부터 작품을 발표하여 루쉰문학상 중편소설상과 청년문학창작성취상 등을 다수 수상했다. 소설집 『배추와 무(白菜蘿卜)』, 『짝퉁 도시(冒牌城市)』 등이 있으며, 「봉황 거문고」는 영화화되어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펼치기
예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장쑤(江蘇) 성 쑤저우(蘇州) 출생. 1994년부터 작품을 발표하여 소설집 『빌로드(天鵝絨)』, 『가, 자줏빛으로 변했다(去?, 變成紫色)』 등이 있다. 「허물을 벗고 날아오르다」로 1997년도 전국최우수소설상을 수상했으며, 그 밖에 쯔진산문학상과 푸쑹링세계중국어단편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아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헤이룽장(黑龍江) 성 출생. 1979년부터 작품을 발표하여 장편소설 『부끄러움(??)』 등 7권, 소설집 20여 권, 수필집 10여 권 등이 있다. 장편소설 『연관육부(年關六賦)』로 전국우수단편소설상을 수상했고 단편소설 「자오이만 여사(趙一曼女士)」로 루쉰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중단편소설 「착한 창기(良娼)」로 동북문학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둥리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산둥(山東) 성 룽청(榮城) 출생. 1981년부터 작품 활동을 하여 장편소설 『내리쬐는 햇볕(烈日)』 등과 소설집 『흑토홍토(黑土紅土)』 등이 있다. 장편소설 『흰콩』으로 문예잡지 《당대(當代)》의 최우수소설상과 톈산문예상을 수상하면서 ‘2003년 중국소설 베스트 순위’ 2위에 올랐다. 「미샹」으로 문예잡지 《당대》 올해의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펼치기
훙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산시(陝西) 성 치산(岐山) 현 출생. 1983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하여 장편소설 『서역으로 간 기수』로 2001년도 중국장편소설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소설학회 장편소설상과 산시성문예대상을 수상했다. 다수의 작품 활동으로 펑무문학상, 좡중원문학상, 중국 10대 소설상, 산둥성문학상, 상하이문학상 등을 두루 수상했다. 「허풍(吹牛)」으로 루쉰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판샤오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발표하는 작품마다 중국 대륙을 뒤흔드는 신사실주의 대표작가. 1955년 장쑤성 쑤저우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부터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82년 자신이 졸업한 장쑤사범학원 중문과에서 문예이론을 가르쳤으며, 그동안 소설, 산문, 드라마 극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해왔다. 단편소설 <가계부>로 제4회 루쉰문학상을, 여성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뤄 파장을 일으킨 장편소설 《여동지》로 제12회 소설월보백화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백일 햇볕》, 《도시 표정》, 《도시의 빛》, 《서운》, 《우리들의 투쟁 생활상》 등이 있으며, 영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에 소개되기도 했다. 현재 장쑤성 작가협회 부주석, 쑤저우시 문학예술계연합회 주석을 맡고 있다. 2007년 발표한 장편소설 《맨발의 완 선생》은 중국 휴머니즘 문학의 계보를 잇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펼치기
츠쯔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중국 헤이룽장성 모하에서 출생해 다싱안링사범대학을 졸업했다. 대학생 시절인 1983년부터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100편에 가까운 작품을 발표했다. 북방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생명력 넘치는 사람들의 풍경과 아름다운 인성을 소박하고 순수한 필치로 가장 잘 표현해내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단편소설 「무월의 외양간」 「세상의 모든 밤」 「깨끗한 물」 등으로 루쉰문학상을 수상했고 장편소설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으로 제7회 마오둔문학상을 수상하는 동시에 호주에서 ‘제임스 조이스 창작기금’ 수혜자로 선정되었다. 대표작으로 『위만주국』 『뭇 산들의 꼭대기』 등이 있다. 현재 헤이룽장 작가협회 주석직을 맡고 있다.
펼치기
박재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문과 졸업 후 대만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3년부터 한국외대 중국언어문화학부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또한 2020년 중국교육부 장강학자(長江學者) 석좌교수로 선임되어 산시사대(陝西師大) 인문사회과학고등연구소에서 중국문학 연구와 번역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루쉰(魯迅)연구회 회장, 한국세계화문문학협회 회장, 세계한학연구회(마카오) 이사장 등을 겸하고 있다. 저서에 『사기한서비교연구(중문)』와 『20세기 중국한인제재소설의 통시적 고찰』 등 공저 포함 60여 종이 있고, 『애정삼부곡』(바진),『만사형통』(모옌 등) 등 공역 포함 25종 이상을 번역하고, 『한국루쉰연구논문집(韓國魯迅硏究論文集)』1,2(중문) 등을 주편하였으며,『중국루쉰연구명가정선집』10권(소명출판)의 한국어판 번역 출판을 주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들의 집은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화이트골드 가정이다. 화이트 골드의 의미는 돈도 있고 화이트칼라라는 뜻이다. 여기서 화이트칼라는 지식이 있고 교양이 있으며 준칙을 중요시하고 지식과 지혜로 돈을 번 것이라는 광범위한 의미를 지닌다. 결코 손에 여러 개의 보석 반지를 끼고 있는 벼락부자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 본문 128쪽에서

문화대혁명 기간에 종 선생은 고깔모자를 쓰고 비판을 받았던 반면, 우리 어머니는 누구에게도 꿀릴 것 없는 좋은 시절을 보냈다. 어머니는 코웃음을 치며 말했다.
"성질 내 봤자지. 공산당은 이제 당신들 같은 사람들을 처리할 것이거든. 무슨 할 말이 있다는 건지. 조상 3대가 다 냄새나는 지식인인 주제에."
얼마 지나지 않아 가을바람이 쓸쓸하게 불던 어느 날, 우리는 전 가족이 시골로 하방되었다가 한참 만에야 신문지로 벽지를 바른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두 집안이 모두 십 년이 너는 세월 동안 갖은 고생을 겪었지만 둘 사이의 불화는 개선되지 않았다. 다만 나이를 먹었으므로 쌍방 모두 더 이상 격하게 서로를 공격하지 않을 뿐이었다. 그들은 모두 역경을 겪으며 인생의 부침에 적응했다. 모두 강인하고 삶에 대한 믿음을 가진 이들이었다. - 본문 38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