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교수로 사회학을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 학부 시절 공부보다 노는 것과 여행을 더 좋아했지만, 질풍노도의 시대를 거치며 데모 말고 제대로 해보지 못한 채 졸업했다. 20세기 말 세계사의 격변을 가까이 보기 위해서 유럽으로 건너갔다가 영국 캠브리지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회도서관장, 독일 베를린자유대학 초빙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엔젤레스 캠퍼스(UCLA)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정치, 문화, 사회이론에 관한 책과 논문을 출간했으며, 문학과 예술에서 역사와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두루 관심이 많다.
사회학이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개선할 수 있는 무술이 되어야 한다고 믿으며, 정부, 정당, 경제단체, 노동조합, 다양한 시민단체와 독서회 등에서 대중 강연에 참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교육부 K-MOOC 최우수강의상, 블루리본강의상, 교육부장관상을 받았다. 네이버 열린연단,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KNN 최강 1교시 등에서 강연을 했다. 학술 저서로 『한국의 발전국가와 재벌』,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불평등이 문제다』(문화부 세종도서), 『정치사회학』, 『문화사회학의 이해』(공저) 등을 출간했다. 대중을 위한 교양서로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문화부 우수교양도서),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사회적 인간의 몰락』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한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공학도를 위한 독서 모임을 이끌고 있으며, 좋은 책을 읽고 의견을 나누고 번역하고 소개하는 새로운 재미에 빠져 있다. 젊은 엔지니어를 위한 사명감 하나로 평생에 걸친 공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최대치를 최대한 쉽게 이 책에 담아냈다.
연세대 화학공학 학사, KAIST 석사, 미국 리하이 대학교 박사이며 LG화학 기술원, 현대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 연구소에서 근무했다. 미국 플로리다 태양에너지 연구소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방문연구원으로 일했고, 한화와 OCI, 대림, SK에너지 등 대기업 기술자문 과제를 다수 수행했다. 주요 전공은 신재생 에너지(태양열 저장 및 수소 생산)이며, 한국에너지공단 평가위원, 자문위원, 기획위원, 국가고시 출제위원으로도 일했다. 지은 책으로 『한 페이지의 우주』, 『세상을 움직이는 힘, 에너지』, 옮긴 책으로 『새로운 사고의 엔지니어 성공학』, 『지구 온난화의 모든 것』, 『여성 공학자로 산다는 것』 등이 있다.
펼치기
이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JTBC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썰전》에 출연했고, TBS 라디오《퇴근길 이철희입니다》를 진행하는 등 한동안 방송인으로 지냈다. 2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으로 일했다.
대한민국이 이룩한 자랑스러운 성취에 자부심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지키기보다 바꾸기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치가 사회경제적 약자들의 고단한 삶을 바꾸는 데 강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소신이 있다.
《1인자를 만든 참모들》, 《뭐라도 합시다》, 《이철희의 정치 썰전》, 《정치가 내 삶을 바꿀 수 있을까?》 등을 썼고, 《민주주의의 정치적 기초》, 《진보는 어떻게 다수파가 되는가》를 번역했다.
현재 CBS 라디오《이철희의 주말 뉴스쇼》를 진행하고 있고, 한겨레에 연재 칼럼《이철희의 돌아보고 내다보고》를 쓰고 있다. 지식디자인연구소장, 우석대 석좌교수,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객원연구원이다.
이 책은 2020년에 썼던 정치학 박사 학위 논문《대통령 탄핵 결정 요인 분석 : 노무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 과정 비교》를 바탕으로 현 정국에 관한 생각을 덧붙여 새로 쓴 것이다.
한국의 두 차례 대통령 탄핵 사례를 정치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뒤 ‘왜 한 번은 실패하고 한 번은 성공했을까’와 ‘탄핵이 민주주의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탄핵 이슈에 대해 단순 찬반을 넘어 더 넓은 관점에서, 더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하고 균형감 있게 접근하기를 바란다.
펼치기
최태욱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리버럴아츠센터(KLAC) 센터장. 대학에서는 한국의 합의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운동을 지속해 왔다. 현재는 인문학 교육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한동대학교 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계간 『창작과 비평』 편집위원, 참여연대 상집 위원, 비례대표제포럼 운영위원장,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 대표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세계화시대의 국내정치와 국제정치경제』,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청년의인당』 등이 있고, 편서로 『신자유주의 대안론』,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사회 개선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인문학 교육 방안』 등이 있다.
펼치기
이준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선거와 정당, 의회, 민주화, 비교정치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개헌과 동시 선거: 선거 주기의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2011), <개헌과 민주주의: 한국적 정치제도의 비교연구>(2007)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External Crisis, Information Cues, and Presidential Popularity in Korea, 1993-2008”(2014), “Partisan Effects of Voter Turnout in Korean Elections, 1992?2010”(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원이다. 한국정치연구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에서 “시민교육”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정치, 정치이론, 정치사회학, 정당과 시민운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인문 정치와 주체>(공저, 2012), <다시 보는 한국 민주화 운동>(공저,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윤희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MIN) 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 겸 수석전문위원, 경기개발연구원 정책분석팀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대중 심리의 형성과 표출 과정에 주된 관심을 두고, 선거와 여론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다양한 언론 매체에 정치, 선거, 여론분석 글을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활정치연구소 상임이사 겸 연구실장이다. 한국사회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민주정책연구원 미래기획실장으로 활동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당정치, 정치과정, 선거, 일본정치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정치 과정에서의 NGO>(공저, 2004)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