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258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목차
1부 총론
01 포스트 코로나 지속가능발전, 상생과 환경화 (이영한)
02 감염병의 역사와 포스트 코로나 (이규원)
03 대중으로부터의 자유 그리고 자연이 주는 자유를 찾아서 (양명수)
04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미래 (한상진)
05 코로나19 이후 한국경제의 진로 (표학길)
2부 세계 각국의 방역성과 평가
06 코로나19 방역과 국가 이미지 탈바꿈 (한상진)
07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성과의 국제비교 (김태종)
3부 방역과 치료
08 코로나19로 인한 의료시스템 및 제약산업의 전망 (강건욱)
09 포스트 코로나와 공중보건 (강은정)
10 코로나19와 심리방역 (장은진)
4부 문화와 교육
11 코로나19의 도전과 바뀌는 문화예술 (김규원)
12 코로나19와 지속가능한 문학 (김소임)
13 포스트 코로나와 지속가능한 디자인 싱킹 (이혜주)
14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와 교사의 재발견 (홍미화)
5부 사회와 환경
15 코로나19로 바뀐 일상과 미디어 소비 행태 (김명중)
1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투표 (지재식·심선영)
17 포스트 코로나와 치안 (서진석·이상훈)
18 코로나19 이후 환경법제의 변화 (고문현)
6부 경제와 IT
19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계 위기와 혁신 (김성엽)
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산업 전망 (김수욱)
21 언택트 혁명 (문형남)
7부 외교와 남북
22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 (김연규)
23 북한의 코로나19 현황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 (김흥광)
8부 가족과 집
24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가족 (함인희)
25 코로나19 이후 집, 개인화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 (두주연)
26 코로나19 이후, 사회 양극화와 주택시장 (김우진)
27 새로 쓰는 지속가능발전 주택정책 (이영한)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인류의 고질적 병증, 은폐된 탐욕증, 정신병적인 분열증 등이 고스란히 스캔되고 있다. 이 책은 인류가 위기를 이겨내왔으며, 이겨낼 수 있다는 작은 응답이라고 할 수 있다. _집필위원회, ‘서문’ 중에서
코로나 팬데믹의 키워드는 거리(Distance), 디지털(Digital), 거주지(Dwelling), 격차(Differential)의 4D라고 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사람들(People), 공원(Park), 평화(Peace), 번영(Prosperity)의 4P가 중요하다. _이영한(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1부 총괄_지속가능발전’ 중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는 문명을 되돌아보게 만들고 인간의 자유와 사랑을 위해 진리가 무엇인지 묻게 만든다. 독립된 내면의 존엄성을 확보한 개인들 간의 참된 교통과 의사소통을 통해 형성되는 민주적 공동체를 바라보아야 한다. _양명수(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1부 총괄_문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