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47540384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5-10-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05
PART 1 심리학자 아들러, 그는 누구인가
보통 사람 ………………………………………………………… 17
글을 쓰는 것에 대해 …………………………………………… 19
아들러가 말하는 실천…………………………………………… 21
세상을 변혁하다 ………………………………………………… 22
PART 2 타인을 어떻게 볼 것인가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27
타인을 어떻게 볼 것인가 ……………………………………… 27
동지의 존재 ……………………………………………………… 32
타인에 대한 공헌………………………………………………… 34
전체의 일부 ……………………………………………………… 37
공동체 감각 ……………………………………………………… 38
‘ Social Interest(공동체 감각)’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 ……42
이상주의자, 아들러 ……………………………………………… 52
PART 3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인간은 의미를 부여한 세계를 산다…………………………… 61
목적론과 원인론 ………………………………………………… 67
과학으로써의 개인심리학 ……………………………………… 74
PART 4 어떻게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하나
목표를 향한 움직임……………………………………………… 79
목표 추구 ………………………………………………………… 80
개인의 주체성 …………………………………………………… 83
유전과 기관 열등성……………………………………………… 86
형제 관계 ………………………………………………………… 88
부모자식관계 …………………………………………………… 91
문화의 영향 ……………………………………………………… 93
생활양식을 바꾼다 ……………………………………………… 93
PART 5 애정 부족이 야기한 콤플렉스도 극복 가능하다
애정 부족이 아니다……………………………………………… 97
자립에 대한 저항………………………………………………… 101
어른이 된 응석받이 아이 ……………………………………… 107
응석받이 아이의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과의 결혼……………108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111
PART 6 나만의 장점을 찾아라
보편적인 욕구인 우월성 추구…………………………………… 117
개인적인 우월성 추구 …………………………………………… 118
선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 선의 히에라르키…………………… 123
방향이 잘못 설정된 우월성 추구 ……………………………… 125
올바른 방향의 우월성 추구 …………………………………… 131
PART 7 예민할 필요가 없다
신경증적 생활양식 ……………………………………………… 135
신경증적인 생활양식의 기원…………………………………… 136
신경증의 논리 …………………………………………………… 138
충격에 대해 ……………………………………………………… 141
신경증으로 인한 고통보다도…………………………………… 146
좋은 의도만으로는 ……………………………………………… 148
배재된 행복 ……………………………………………………… 149
세계상(世界像)과 자기중심성…………………………………… 150
미래를 향한 원인론……………………………………………… 153
PART 8 용기를 줄 수 있는 칭찬과 격려가 답이다
교육 ……………………………………………………………… 159
육아와 교육 방침………………………………………………… 160
야단치지 않는다 ………………………………………………… 162
응석을 받아주지 않는다………………………………………… 164
대등함 …………………………………………………………… 165
칭찬하지 않는다 ………………………………………………… 167
격려 ……………………………………………………………… 171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할 수 있는 것이다 ……………… 174
응석받이로 자란 아이 격려하기 ……………………………… 178
공헌할 기회를 빼앗지 않는다 ………………………………… 179
공헌감 …………………………………………………………… 180
타인을 동지로 여길 수 있게 한다 …………………………… 181
치료 장면에서의 격려…………………………………………… 182
타인에게로 관심을 돌리다……………………………………… 183
동지로서 대치하다 ……………………………………………… 184
PART 9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89
그대로 있어도 괜찮은 걸까 …………………………………… 189
타인의 시점에서 이야기하는 것 ……………………………… 191
남이 실제보다 자신을 좋게 보도록 노력할 필요는 없다 … 195
그냥 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다………………… 196
공헌하기 ………………………………………………………… 197
인생의 과제에서 도망치지 않는다 …………………………… 199
어떤 경우라도 자유로울 수 있다 …………………………… 204
책임 ……………………………………………………………… 206
스스로 결정하는 것……………………………………………… 209
목표에 집중한다 ………………………………………………… 211
여기서 도약하라 ………………………………………………… 215
에네르게이아로서의 삶 ………………………………………… 217
죽음에 관하여 …………………………………………………… 222
지금, 행복해질 수 있다 ……………………………………… 228
인생과의 관련을 놓치지 않는다 ……………………………… 230
낙관주의 ………………………………………………………… 236
인생을 즐기다 …………………………………………………… 238
맺음말 …………………………………………………………… 242
감수자의 말 ……………………………………………………… 246
리뷰
책속에서
보통 사람
작가 필리스 보텀은 아들러의 친구였고, 아들러에게 개인심리학을 배웠다. 보텀은 아들러를 만나기 전 아들러가 ‘소크라테스와 같은 천재’일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었다(‘아들러의 생애’ 243쪽).
하지만 그가 만난 아들러는 평범한 사람이었다. 보텀은 특별한 것에 대해 아무 말도 해주지 않는 아들러에게 크게 실망한다.
아들러에게 소크라테스와 같은 면모를 기대했다가 크게 실망했지만, 보텀은 훗날 자신이 받았던 첫인상을 안전히 바꿀 만한 결정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그가 아들러에게서 기대했던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청년들을 상대로 토론을 벌이곤 했던 사람이었다. 아들러 역시 대학이라는 학문의 상아탑 대신에 길거리에서 사상을 키워나갔다. 아들러는 진료가 끝나면, 카페에서 친구들과 밤늦게까지 토론을 벌이곤 했다. 아무도 자정이 되기 전까지는 아들러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없었다.
보텀은 아들러가 특별한 이야기는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그런 점 역시 소크라테스의 이미지와 겹쳐진다. 아들러의 책은 전문용어가 많이 나오지 않아서 예비지식이 없는 사람이 읽어도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난해하지는 않다.
소크라테스는 청년들과 철학에 대해 토론을 벌일 때, 특별한 표현을 사용하는 대신, 일상의 언어를 사용했다. 설득력이나 미사여구는 소크라테스에게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의 관심사는 오직 하나,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부디 제 말투는… 그냥 신경 쓰지 말아 주십시오. 그리고 제가 하는 이야기의 내용이 옳은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만 집중하여 곰곰이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소크라테스의 변명’ 18a).”
오늘날에도 알맹이 없는 공허한 내용을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해 가며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지만, 소크라테스는 가차 없이 그런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무지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해주었
다. 소크라테스에게 그런 일을 당한 사람의 기분은 유쾌하지만은 않았을 것이고, 결국 소크라테스는 고소를 당해 사형을 언도받는다. ‘아들러의 생애’에는 아들러의 성격적인 특성 중 하나로 걸핏하면 싸우려 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문자 그대로 자주 싸움을 벌였다는 의미가 아니라 논쟁을 벌이는 상대방에게 소크라테스처럼 예리하게 질문하고 추궁했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