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김광억, 홍기현, 이재열, 전재성, 김병연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1232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한국은 더 발전할 수 있을까?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에 교수로 재직 중인 다섯 명의 저자들이 '한국과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주제 아래 경쟁력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한국사회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을 제시한다. 한국의 발전 경험을 돌아보고 미래의 발전 역량을 모색하는 '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 연구 총서'의 세 번째 책이다.

목차

제1장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함정과 부족
1.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2. 장기경제성장의 결정요인
3. 경쟁력 결정요인의 국가 간 비교와 한국의 경쟁력
4. 한국에서 제도의 함정 원인
5. 제도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길

제2장 사회 발전과 사회적 갈등 해소 능력
1. 갈등 해소 능력, 왜 중요한가
2. 갈등 해소 능력과 사회발전
3. 잠재적 갈등원과 해소 능력
4. 갈등의 양상과 특징
5. 전환기의 증상: 신뢰의 하락과 지체된 투명성
6. 맺으며

제3장 한국의 중견국 외교전략과 대외경쟁력
1. 기업의 경쟁력과 외교
2. 한국 외교전략의 변천 과정
3. 복합 거버넌스 시기 한국의 대외전략
4. 향후 한국의 외교전략과 경쟁력

제4장 한국인의 문화 능력: 사회적 통합과 경쟁력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생각
1. 문화 능력
2. 문화결정론의 허와 실
3. 실천 차원의 유교문화 재검토
4. 한국과 중국의 유교 실천 구조 비교
5.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징
6. 세련해야 할 문화 능력
7. 열린 결론

제5장 사회 인식과 한국 기업의 경쟁력
1. 인식과 사회갈등
2. 복잡성과 사회 인식의 오류
3. 조직유형이론과 그 적용
4.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들

저자소개

김광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독문학 및 인류학), 영국 옥스퍼드대학 석사 및 박사(사회인류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하버드대학·베이징대학 강좌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중국산둥대학 특임일급교수. 한국과 중국의 사회와 문화 전공. 『혁명과 개혁 속의 중국 농민』,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광억의 다른 책 >
이재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지냈고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세월호가 우리에게 묻다』『아픈 사회를 넘어』 등이 있다.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후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에섹스대학, 서강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을 맡고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체제이행과 응용계량경제학이며 주로 구사회주의 국가들과 북한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등이 있다. 영국경제사학회 T. S. Ashton Prize, 한국경제학회 청람상,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대한민국 학술원상, 니어재단 학술연구상 등을 수상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을 역임했으며 통일부의 통일미래기획위원회 경제분과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 그리고 기업경쟁력의 증진은 정책의 부족과 제도의 함정을 극복하는 데서 출발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제도가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점은 한국의 발전 동력을 제도의 변화에서 찾아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제도의 뿌리가 되는 문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이 제도적 함정에서 속히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기관, 특히 입법부와 사법부에 대한 낮은 신뢰수준은 사회 내 존재하는 갈등을 줄일 수 있는 기제가 취약함을 의미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제도를 만들어나가는 사회적 역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사회적 역량의 강화는 물질 이외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수용과 소통, 정부 정책에 대한 충분한 논의, 시민 개인의 지식과 소통, 신뢰도 제고에서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정당성을 갖추고 사회갈등을 조정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으려면 청렴성과 공정성, 그리고 수월성을 갖추어야 하고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법개혁, 고위공직자의 비리를 처벌할 수 있는 독립적 기구의 도입, 시민적 참여와 풀뿌리 결사를 촉진시킬 다양한 지원방안 등이 필요하다.


한국의 외교전략을 결정하는 요인은 비단 기업경쟁력 제고와 같은 경제적 고려뿐 아니라 실로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대통령 개인의 외교철학은 물론, 행정부의 성격, 국내정치적 고려를 넘어 주변국들과의 외교관계, 지구 거버넌스에 대한 한국의 전략방향, 그리고 여론 등이 함께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이 향후 어떠한 외교전략을 추구할 것인가, 이러한 외교전략을 결정하는 데 어떠한 요소들이 작용할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 한국 경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볼 때 꼭 필요한 요소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