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1232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함정과 부족
1.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2. 장기경제성장의 결정요인
3. 경쟁력 결정요인의 국가 간 비교와 한국의 경쟁력
4. 한국에서 제도의 함정 원인
5. 제도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길
제2장 사회 발전과 사회적 갈등 해소 능력
1. 갈등 해소 능력, 왜 중요한가
2. 갈등 해소 능력과 사회발전
3. 잠재적 갈등원과 해소 능력
4. 갈등의 양상과 특징
5. 전환기의 증상: 신뢰의 하락과 지체된 투명성
6. 맺으며
제3장 한국의 중견국 외교전략과 대외경쟁력
1. 기업의 경쟁력과 외교
2. 한국 외교전략의 변천 과정
3. 복합 거버넌스 시기 한국의 대외전략
4. 향후 한국의 외교전략과 경쟁력
제4장 한국인의 문화 능력: 사회적 통합과 경쟁력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생각
1. 문화 능력
2. 문화결정론의 허와 실
3. 실천 차원의 유교문화 재검토
4. 한국과 중국의 유교 실천 구조 비교
5.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징
6. 세련해야 할 문화 능력
7. 열린 결론
제5장 사회 인식과 한국 기업의 경쟁력
1. 인식과 사회갈등
2. 복잡성과 사회 인식의 오류
3. 조직유형이론과 그 적용
4.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 그리고 기업경쟁력의 증진은 정책의 부족과 제도의 함정을 극복하는 데서 출발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제도가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점은 한국의 발전 동력을 제도의 변화에서 찾아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제도의 뿌리가 되는 문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이 제도적 함정에서 속히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기관, 특히 입법부와 사법부에 대한 낮은 신뢰수준은 사회 내 존재하는 갈등을 줄일 수 있는 기제가 취약함을 의미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제도를 만들어나가는 사회적 역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사회적 역량의 강화는 물질 이외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수용과 소통, 정부 정책에 대한 충분한 논의, 시민 개인의 지식과 소통, 신뢰도 제고에서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정당성을 갖추고 사회갈등을 조정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으려면 청렴성과 공정성, 그리고 수월성을 갖추어야 하고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법개혁, 고위공직자의 비리를 처벌할 수 있는 독립적 기구의 도입, 시민적 참여와 풀뿌리 결사를 촉진시킬 다양한 지원방안 등이 필요하다.
한국의 외교전략을 결정하는 요인은 비단 기업경쟁력 제고와 같은 경제적 고려뿐 아니라 실로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대통령 개인의 외교철학은 물론, 행정부의 성격, 국내정치적 고려를 넘어 주변국들과의 외교관계, 지구 거버넌스에 대한 한국의 전략방향, 그리고 여론 등이 함께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이 향후 어떠한 외교전략을 추구할 것인가, 이러한 외교전략을 결정하는 데 어떠한 요소들이 작용할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 한국 경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볼 때 꼭 필요한 요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