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129512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0-08-15
책 소개
목차
서문 지속가능한 평화의 구축을 위하여 (김성철/이찬수)
1부 평화의 토대
1장 생태 (구도완) 1. 생태와 평화
2. 지속가능한 발전
3. 생명평화
4. 녹색평화
5. 생태민주주의
6. 생태평화의 사례
7. 생태의 관점에서 본 안보, 법치, 대화
8. 생태평화를 향하여
2장 공정성 (김석호/박효민)
1. 들어가는 말
2. 초기 공정성 이론의 비례성proportionality 규칙
3. 공정성 인식의 요인
4. 공정성의 다차원적 속성
5. 공정성과 평화
6. 맺음말
3장 공공성 (조성환)
1. 들어가는 말
2. 공공성의 정의
3. 공공성을 둘러싼 문제들
4. 공공성의 조정
5. 맺음말: 공공성의 새로운 차원
4장 신뢰 (김성철)
1. 신뢰란 무엇인가
2. 신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3. 평화를 위한 길: 특수신뢰에서 보편신뢰로
4. 신뢰, 민주주의, 공정성, 법치
5. 신뢰의 사례
6. 맺음말
2부 평화의 구축
5장 공존 (천경효)
1. 들어가는 말
2. ‘우리’ vs. ‘그들’: 자문화 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
3. 공존을 바라보는 시각: 과정적 접근
4. 공존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 통합과 부과
5. 공존의 방식: 공유, 인정, 보상
6. 평화의 다른 가치들과 공존의 연관성
7. 공존의 실천: 공존의 현실적 사례
8. 평화를 향한 공존: 지향에서 실천으로
6장 대화 (이찬수)
1. 들어가는 말
2. 대화의 정의와 논리
3. 소통적 행위와 전략적 행위
4. 생활세계와 체계
5. 듣기의 평화론
6. 숙의민주주의, 아일랜드 헌법회의의 경우
7. 대화의 종류와 중재자의 역할
8. 북미 대화와 한반도
9. 대화의 평화적 구조와 평화다원주의
10. 남북공동성명의 의의와 정치적 대화의 한계
11. 평화의 중층성, 제네바 합의와 햇볕정책
12. 회복적 정의의 평화학적 의미
7장 합의 (최규빈)
1. 들어가는 말
2. 합의의 중요성과 방법
3. 합의의 지속가능한 조건
4. 미이행 합의: 남북기본합의서
5. 맺음말
8장 화해 (김병로)
1. 왜 화해인가
2. 화해는 어떻게 가능한가: 화해를 설명하는 이론
3. 화해의 공간과 구조
4. 화해의 쟁점과 성찰적 논의
5. 화해의 사례와 현장
9장 안보 (정승철)
1. 들어가는 말
2. 안보 개념의 확장과 평화
3. 새로운 안보 개념을 둘러싼 쟁점과 비판
4. 다른 가치와의 연계
5. 안보의 사례
6. 맺음말
3부 평화의 공고화
10장 법치 (이효원)
1. 평화와 법의 관계
2. 법치의 탄생과 발전
3. 법치의 조건
4. 법치의 한계
5. 헌법적 차원의 평화
6. 평화적 기본권
11장 민주주의 (정동준)
1. 들어가는 말
2. 대표성의 문제와 대안으로서의 국민투표: 간접민주주의 대 직접민주주의의 충돌
3. 포퓔리슴의 대두와 대안으로서의 사법심사권: 절차적 민주주의 대 실질적 민주주의의 충돌
4. 맺음말
12장 통합 (김학재)
1. 들어가는 말
2. 통합의 개념과 차원
3. 통합의 개념적 분류와 쟁점
4. 한반도 분단의 다층성과 통합 프로세스 사례
5. 지역경제 통합과 지정학적 갈등의 사례
6. 맺음말: 비교지역주의적 이해, 포스트 지구화 현상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흔히 평화를 국가와 같은 거대 집단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가치들은 인종, 계급, 성 등 세부 단위에서부터 평화를 다시 생각하게 해준다. 평화가 국가나 거대 집단 사이의 문제이기 이전에 인간 본연의 문제라는 사실을 되돌아보게 한다. 갈등을 아래로부터 더 실질적인 차원에서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런 점에서 기존 갈등 이론의 대안적 개념이기도 하고, 갈등의 근원을 드러내고 교정하는 동력이기도 하다.
이 장에서는 적극적 평화의 핵심 가치로서 생태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 생명평화, 녹색평화, 생태민주주의 등을 검토한다. 이어서 생태평화와 관련된 사례로서 우리나라의 동강댐, 4대강 사업 사례와 인도의 칩코chipko 운동 그리고 독일 녹색당 사례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안보, 법치, 대화 등 다른 개념들과 생태의 관계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생태평화를 이루기 위한 원칙들을 논의한다.
개인마다 공정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 것과 같이, 각 학문 분야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공정성에 접근을 한다. 이 중 사회학의 이론들, 특히 교환이론적 공정성 이론은 주로 적은 수의 사람들이 일상에서 일어나는 교환관계 내에서 나타나는 공정성 인식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하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현대 공정성 이론이 태동한 1960년대 이후 최근까지의 이론 발전 과정을 되짚어 보고, 특히 공정성 이론이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발견해 내는 과정을 통해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