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산문)

베이다오, 시시, 예쓰, 옌훠, 차이이화이, 둥챠오, 거량, 황허량, 뤄푸, 리쾅 (지은이), 김윤진, 박재우 (옮긴이)
푸른사상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산문)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8895640939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2-08-25

책 소개

'홍콩문학선집' 2권. 산문 28편이 수록되어 있다. 홍콩의 산문은 초현대적이고 국제적인 도시 홍콩에서 바쁜 일상에 허덕이는 다양한 계층의 독자에게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형식이자, 발 빠르게 홍콩 사회의 모습과 현실생활을 반영하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아버지(父親) | 베이다오(北島) 김윤진 역
대사막의 혼백(大漠魂) | 차이이화이(蔡益懷) 박재우 역
중년은 오후의 차다(中年是下午茶) | 둥차오(董橋) 김윤진 역
거울상의 대리만족(鏡像之魅) | 거량(葛亮) 김윤진 역
- 메이드 인 홍콩의 ‘올드 상하이’ 영화
고향의 용수나무(故鄕的榕樹) | 황허량(河浪) 박재우 역
진융에 대한 세 가지 이야기(說話金庸) | 뤄푸(羅浮) 김윤진 역
홍콩의 추억 세 가지(三個香港) | 리쾅(李匡) 김윤진 역
예링펑을 추억하며(記葉靈鳳) | 류이창(劉以) 박재우 역
양서 읽기(讀好書) | 류이창(劉以) 박재우 역
구랑위의 마지막 신사(鼓浪嶼的最後紳士) | 수페이(舒非) 김윤진 역
고도의 유적지(故都點滴) | 수샹청(舒巷城) 박재우 역
이별 이야기(離的故事) | 타오란(陶然) 박재우 역
카이탁 공항의 마지막(絶響) | 타오란(陶然) 박재우 역

제2부
홍콩 이야기(香港故事) | 샤오쓰(小思) 박재우 역
교하고성(交河) | 시시(西西) 박재우 역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那一身燦爛的紅) | 옌훠(彦火) 박재우 역
사람 죽이는 봄날(要命的春天) | 옌훠(彦火) 박재우 역
천 일 동안의 이야기(一千零一夜) | 예후이(葉輝) 박재우 역
봄비(春雨) | 예후이(葉輝) 박재우 역
아름다운 봄 삼월에 양저우에 내려가 | 예링펑(葉靈鳳) 박재우 역
(煙花三月下揚州)
거꾸로 달리는 기차(逆行的火車) | 예쓰(也斯) 김윤진 역
- 상투를 벗어난 이창동(李滄東)의 영화
소설의 예술(小說的藝術) | 예쓰(也斯) 박재우 역
내 가상의 적 네 명(我的四個假想敵) | 위광중(余光中) 김윤진 역
개와의 인연(狗緣) | 중링(鐘玲) 박재우 역
미식 생활(美味人生) | 저우미미(周蜜蜜) 박재우 역
수이웨이 마을에서의 아침식사(早餐, 在水圍村) | 황웨이량(維樑) 박재우
대형서점이 없는데 어디서 책향내가 날까(沒有書城, 來書香?) | 황웨이량(維樑) 박재우
어린 시절의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 | 한산비(寒山碧) 박재우 역
(寄給童年時代的戀人)

해제 | 어두운 이면의 소통과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해

저자소개

베이다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작가, 홍콩 중문대학 교수. 본명은 자오전카이趙振開, 1949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1970년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고 1976년 톈안먼 시 운동 때 행동파 시인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1978년 ‘베이징의 봄’ 열기를 타고 전위적 시인들과 함께 시 잡지 <오늘今天>을 발간했다. 1989년 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인 웨이징성의 석방 운동에 참여한 후 이국을 유랑하게 되었다. 이후 유럽과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2007년경부터 홍콩에 머물고 있다. 시와 소설, 산문 등 작품이 30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1990년부터 여러 차례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었다. 시집으로 『베이다오 시선』『한밤의 가수』『영도 이상의 풍경』『자물쇠를 열다』 등이 있다.
펼치기
시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장옌(張彦)으로 조적은 광둥(廣東) 중산(中山)이다. 1938년에 상하이(上海)에서 태어나 1950년에 홍콩으로 이주했다. 거량홍(葛量洪)교육대학을 졸업하고 교편을 잡으면서 문학창작을 시작했다. 홍콩 <소엽(素葉)문학> 동인으로서 시, 소설, 장편소설 등 30여 권의 작품집을 출간했다. 1983년에 타이완 <연합보(聯合報)> 소설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에는 왕안이(王安憶), 천잉쩐(陳暎眞)에 이어 세번째로 세계화문문학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나의 조지아>, <집을 보다> 등의 작품으로 타이완국제도서전 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예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쓰(也斯)는 1948년 중국 광둥성(廣東省) 신후이(新會)에서 태어나서 그 이듬해인 1949년에 부모님을 따라 홍콩으로 이주했고 네 살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비록 출생지는 중국 대륙이지만 홍콩에서 성장하고, 홍콩에서 살고 있는 그는 자신이 홍콩에서 태어났다고 말할 정도로 홍콩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예쓰는 홍콩뱁티스트칼리지 영문과를 졸업한 후 1970년에서 1978년 사이에 언론사에서 일했다. 1978년 여름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이고에 유학해 비교문학을 전공하고 1984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에 돌아온 후 홍콩대학의 영어학과와 비교문학과에서 재직했으며, 지금은 홍콩의 링난대학(嶺南大學)에서 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쓰의 본명은 룡빙콴(梁秉鈞)이다. 예쓰라는 필명은 중국 고문에서 자주 쓰이는 문법적 기능만 가진 두 개의 허사 ‘예(也)’와 ‘쓰(斯)’로 되어 있는데, 그에 따르면 필명에 대한 독자의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특별한 의미가 없는 이 두 개의 허사를 선택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독자라면 금세 ‘yes’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될 것이며, 사실 그의 인품과 작품 역시 상당히 낙관적·긍정적이라는 점에서 잘 어울리는 필명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독서를 무척 좋아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삼국지≫, ≪수호전≫ 등의 고대소설과 루쉰(魯迅), 선충원(沈從文) 등의 중국 현대소설 그리고 셰익스피어 등의 서양 소설을 읽었다고 한다. 어린 그로서는 세상의 이치를 깊이 있게 이해하지는 못했겠지만, 이러한 문학작품을 통해 직접적 체험에 국한된 현실의 생활을 더 넓은 삶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동시에 인간 삶에 대한 그의 지적 호기심을 더욱 고양시켜 주었다. 성장 과정에서 그의 독서 범위는 더욱 넓어졌는데, 특히 잭 케루악의 ≪길 위에서≫라든가 프랑스의 누보로망,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 등 그가 대학 시절에 받은 미국·프랑스·남미 문학의 영향은 지금까지도 그의 창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대학 재학 중이던 1968년부터 홍콩의 각종 간행물에 칼럼 산문을 쓰기 시작했고, 시·소설·수필·평론·번역·이론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하면서 각종 간행물의 편집까지 맡는 등 홍콩 문단의 만능인으로 평가된다. 사실 예전부터 홍콩의 작가는 특정한 한 장르만을 다루기보다는 여러 장르에 걸쳐 활동하는 사람이 많았고, 이에 따라 장르 간의 상호 영향이나 중첩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그중에서도 예쓰는 특별히 주목할 만하다. 그는 오랜 기간 주제·소재·체재·언어 등 모든 면에서 혼종을 시도하고 강조해 왔다. 예쓰의 혼종적 면모가 가장 먼저 드러나는 것은 그의 장르 파괴 내지 장르 혼종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장르에 상관없이 모든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의 홍콩에 대한 시각과 묘사다. 그는 겉으로 보기에는 산만하기 짝이 없는 단편적 이미지와 이야기들을 통해서, 홍콩이라는 도시의 혼잡성과 산만성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문화가 혼재하고 혼융된 세계인으로서의 홍콩인과 세계 도시로서의 홍콩을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예쓰는 소설이 사람의 욕망에 대해, 그리고 문화적 배경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그는 소설을 통해서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호 감정과 사고가 소통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의 소설 작품으로는 ≪용을 키우는 사람(養龍人師們)≫(1979), ≪종이 공예(剪紙)≫(1982), ≪섬과 대륙(島和大陸)≫(1987), ≪프라하의 그림엽서(布拉格的明信片)≫(1990), ≪기억의 도시·허구의 도시(記憶的城市·虛構的城市)≫(1993), ≪포스트식민 음식과 사랑(後殖民食物與愛情)≫(2009) 등이 있다. 그 외 산문집으로는 ≪비둘기의 아침 인사(灰?早晨的話)≫(1972), ≪신화의 오찬(神話午餐)≫(1978), ≪산수 인물(山水人物)≫(1981), ≪산수 풍광(山光水影)≫(1985), ≪도시의 노트(城市筆記)≫(1987), ≪쿤밍의 붉은부리갈매기(昆明的紅嘴鷗)≫(1991) 등이 있고, 시집으로는 ≪천둥소리와 매미 소리(雷聲與蟬鳴)≫(1979), ≪유시(遊詩)≫(1985), ≪박물관(博物館)≫(1996), ≪물건(東西)≫(2000) 등이 있으며, 평론집으로 ≪책과 도시(書與城市)≫(1985), ≪홍콩의 문화 공간과 문학(香港文化空間與文學)≫(1995), ≪홍콩 문화(香港文化)≫(1995) 등이 있다. 예쓰는 일찍이 1960년대부터 문단 활동에도 참가했으며, 1970년대에는 동료들과 함께 ≪문림(文林)≫, ≪사계(四季)≫, ≪중국학생주보 시의 밤(中國學生周報詩之夜)≫, ≪엄지(大拇指)≫를 간행했고, 1989년부터 홍콩비교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수상 경력 역시 남 못지않은데 그중 두어 가지만 소개하면 1991년에는 ≪프라하의 그림엽서≫로 홍콩행정부의 중문문학격년상(소설 부문)을 받았고, 1992년에는 시집 ≪도중에서―룡빙콴 시선(半途: 梁秉鈞詩選)≫으로 중문문학격년상(시 부문)을 받았으며, 특히 2011년에는 소설집 ≪포스트식민 음식과 사랑≫으로 홍콩중문문학상 대상을 받았다. 예쓰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폐암으로 투병 직전까지 거의 매년 한국의 학술 대회나 문화 행사에 초청되었으며, 한국의 많은 학자, 문학가, 문화인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작품에서는 한국과 관련된 부분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물론 옮긴이들과도 아주 오랜 시간 꾸준히 인연을 이어 왔는데, 그를 아는 한국 사람들의 공통된 평가는 그가 사람들과 소통하기를 좋아하고, 여행을 좋아하며, 다양한 음식을 좋아하고, 매사에 호기심이 많으며, 그의 작품을 읽어 보면 그의 소탈한 성격, 은근한 유머, 따스한 품성이 저절로 떠오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예쓰 자신이 바로 그의 소설이고, 그의 소설이 곧 예쓰 자신인 것이다.
펼치기
예쓰의 다른 책 >
옌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판야오밍(潘耀明)이고 다른 필명으로 아이훠(艾火)가 있다. 푸젠(福建)성 난안(南安)현 출신으로 10세에 홍콩으로 이주하였다. 산문 창작과 당대 중국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는 데 전념하였고, 1994년 베이징 제6회 ‘해협정(海峽情)’ 원고공모특별상을 수상하였다. 산문, 수필 10여 종을 출판하였는데 산문, 수필에는 『생명, 끝없는 흐름(生命, 不盡的長流)』, 『이끼-옌훠 산문선(苔綠-彦火散文選)』, 『물고기 화석의 도장(魚化石的印記)』 등이 있고 문학평론집에는 『당대중국작가의 풍격과 면모(當代中國作家風貌)』와 그 속편이 있다. 2012년 현재 홍콩작가연합회 회장과 『명보월간(明報月刊)』의 편집인을 맡고 있다.
펼치기
차이이화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가 신위앤(心遠)이고 호는 난산(南山)이며, 늘 쓰는 필명은 쉬난산(許南山)이다. 지난대학교(?南大學)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콩작가연합회 부회장과, 『홍콩작가(香港作家)』 부편집인, 홍콩예술발전국 문학위원회 주석 등을 맡고 있다. 작품으로는 소설집 『지나간 풍류(前塵風月)』, 『정의 그물(情網)』, 『바람 따라 사라지다(隨風而逝)』 등이 있고, 문학평론집으로 『홍콩인 서사(港人敍事)』, 『홍콩을 상상하는 방법(想像香港的方法)』, 『마음 속의 티끌을 떨치고(拂去心中的塵埃)』 등이 있다.
펼치기
둥챠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이 둥쭌쥐에(董存爵)이다. 본적은 푸젠(福建) 진쟝(晉江)이다. 1964년에 타이완 청궁(成功)대학 외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 1975년에 영국 런던대학 아시아아프리카연구소에서 여러 해 동안 연구에 종사했다. 1965년부터 홍콩의 신문에 평론 수필과 논문이나 외국 문학을 번역한 작품을 게재했다. 작품으로 『두 도시에서 붓 가는 대로(雙城雜筆)』, 『또 다른 마음(?外一種心情)』, 『차이나드림을 쫒아 달리기(?中國的夢賽?)』 등 10여 편이 있다.
펼치기
거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난징 사람이다. 홍콩대학 중문과 박사를 졸업했으며, 2012년 현재 홍콩침례대학(Hong Kong Baptist University, HKBU)에서 강의하고 있다. 『수확(收穫)』, 『각인(刻印)』, 『홍콩문학』등의 간행물에 작품을 게재했으며, 저서에 『주작(朱雀)』, 『수수께끼 같은 삶(Life of puzzle)』, 『칠성(七聲)』, 『서로 잊어버린 강호의 물고기(相忘江湖的魚)』 등이 있다. 또한 홍콩예술발전상을 수상했으며, 제1회 홍콩도서상(Hongkong Book Award)을 수상했다. 작품은 『21세기 중국문학대계(21世紀中國文學大系)』에 수록되었다.
펼치기
황허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황스롄(黃世連)이다. 다른 필명으로 훙황(洪荒)이 있다. 원적은 푸젠성 장러(長樂)이다. 1964년 푸젠사범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1975년 홍콩으로 이주했다.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문학창작에 종사한다. 작품으로 시, 산문, 산문시, 평론 등이 있다. 1979년 홍콩시에서 주관하는 중국문학창작 1등상을 수상하였다. 저서에 시집 『해외의 물보라(海外浪花)』, 『샹장의 밀물과 썰물(香江潮汐)』, 산문집 『요원한 사랑(遙遠的愛)』 등 10여 종이 있다.
펼치기
뤄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이 뤄청쉰(羅承勳)이며, 쓰웨이(絲韋), 류쑤(柳蘇) 등의 필명을 쓰기도 한다. 광시(廣西) 꾸이린(桂林) 사람이다. 40여 년 동안 신문 언론계에 종사하였다. 주간(週刊) 『신생대(新生代)』의 「주말의 이 생각 저 생각(週末雜感)」이란 칼럼을 연재했고, 「꽃이 피지 않는 장미(無花的薔薇)」, 「태평한 사람의 말(太平人語)」 등의 문화란을 편집했다. 저서에 『풍뢰집(風雷集)』, 『서창소품(西窓小品)』, 『번화집(繁花集)』등이 있다.
펼치기
리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정졘바이(鄭健柏)이며, 또 다른 필명은 바이무(百木)다. 광둥 원창(文昌, 지금의 하이난다오) 사람이다. 1950년에 홍콩에 왔고, 중학교 교사였다. 홍콩의 『싱다오석간(星島晩報)』에 투고했다. 문예간행물 『인인문학(人人文學)』과 『하이란(海瀾)』의 주필이었다. 산문집 『북창집(北窓集)』, 시집 『제비소리(燕語)』, 소설집 『길고 긴 밤(長夜)』과 『성스러운 도시(聖城)』, 수필집 『시 창작에 대하여(談詩創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외국어대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타이완 사범대학 번역연구소에 몸담고 있었으며, 현재 톈진天津 외국어대학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며 옮긴 책으로 장쉰의 『고독육강』, 츠쯔젠의 『어얼구나강의 오른쪽』, 한샤오궁의 『산남수북』, 자핑와의 『즐거운 인생1·2』과 『친구』, 궈징밍의 『무극』을 비롯하여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인재를 파멸시키는 게임의 법칙』 『소설 사마천』 『왕도』 등이 있으며, 공저로 『베이징 이야기』 『중국어문법 무작정 따라 하기』, 저서로 『황제의 꿈 베이징』이 있다.
펼치기
박재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문과 졸업 후 대만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3년부터 한국외대 중국언어문화학부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또한 2020년 중국교육부 장강학자(長江學者) 석좌교수로 선임되어 산시사대(陝西師大) 인문사회과학고등연구소에서 중국문학 연구와 번역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루쉰(魯迅)연구회 회장, 한국세계화문문학협회 회장, 세계한학연구회(마카오) 이사장 등을 겸하고 있다. 저서에 『사기한서비교연구(중문)』와 『20세기 중국한인제재소설의 통시적 고찰』 등 공저 포함 60여 종이 있고, 『애정삼부곡』(바진),『만사형통』(모옌 등) 등 공역 포함 25종 이상을 번역하고, 『한국루쉰연구논문집(韓國魯迅硏究論文集)』1,2(중문) 등을 주편하였으며,『중국루쉰연구명가정선집』10권(소명출판)의 한국어판 번역 출판을 주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텐(沙田)의 디이청(第一城) 아파트 구역과 비타오화위앤(碧桃花園) 아파트 구역이 마주보고 있는 청먼(城門)의 강변공원에는 불꽃같이 붉은 부겐빌레아가 한 무리 활짝 피어 있었다. 나는 매일 아침 조깅을 하였다. 리위앤(瀝源) 공원에서 출발하여 자동차가 다니는 청먼강 다리를 가로질러 맞은편 강변에 이를 때까지 뛰었다. 뛰면서 눈길에 닿는 것은 모두 온몸에 타오르는 불덩어리를 걸치고 있는 것 같은 새빨간 부겐빌레아였다. 더욱이 몽롱하게 떨어지는 봄비 때문에 부겐빌레아는 더욱 아름답고 우아하게 보였다. 부겐빌레아는 마치 진홍색 원피스를 입은 스페인 여인 같았고 활활 타오르는 불덩어리가 바람을 따라 춤추는 것 같았다. 부겐빌레아는 사람의 마음을 들뜨게 했고 기분을 고조시켰다.
부겐빌레아는 마치 용기 있게 사랑할 줄 알고, 동시에 과감하게 증오할 줄 아는 여인 같다. 제멋대로이며 온몸에서 원시적인 기운을 뿜어낸다. 부겐빌레아는 생기 넘치는 시대를 노래하는 한 편의 시이며 그 시의 행간에는 시대의 격동과 광풍 같은 아름다운 전설이 출렁거리고 있다. 부겐빌레아는 “담장을 넘는 붉은 살구나무”처럼 한 뙈기 땅에 감금당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고 울타리를 벗어나 높은 담장을 뛰어넘어 한들거리는 자신의 자태를 인간세상에 드러내려 하는 것 같다. 부겐빌레아, 그녀는 분명 나쁜 여자는 아니고, 단지 용감하게 세상으로 뛰쳐나오려는 로라일 뿐이다.
부겐빌레아의 향기로운 흔적은 곳곳에 있다. 중국 푸젠 사람들이 저우푸(州府)라고 부르는 필리핀의 한 산 정상에는 중국인의 외딴 널판지 집 혹은 필리핀 사람의 높이 엮어 세운 집들이 있는데, 이곳에는 모두 부겐빌레아가 한두 그루 심어져 있다. 부겐빌레아는 중국인 집이든 가난한 사람의 집이든 상관하지 않고 번화하게, 찬란하게 피어난다.
- '눈부시게 새빨간 부겐빌레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