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5827053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0-05-31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5
머리말·10
핀란드 교육 현황·18
제1부 핀란드 교육의 성공과 그 배경
01 핀란드 교육 개관 24
02 핀란드의 역사와 오늘 29
03 오늘날 핀란드 교육의 모습 52
04 정치적·경제적 맥락에서 본 핀란드 교육 65
05 지속 가능한 리더십과 교육 74
06 핀란드 교육 성공의 여섯 가지 요인 79
제2부 교육개혁의 원칙과 실제
07 종합학교 개혁 106
08 개혁의 진전과 변화하는 교육 시스템 128
09 고등학교 개혁 159
10 변화하는 사회 188
11 교육개혁의 미래 228
* 핀란드 교육의 성공과 개혁정책의 특징_ 안승문 235
* 저자 에르끼 아호와의 인터뷰_ 안승문 260
제3부 한국 교육의 미래
12 한국의 교육혁명을 제안한다_ 심상정 272
13 새로운학교 운동의 현황과 과제_ 이용관 293
14 인간 교육을 위한 노동계의 역할_ 강수돌 310
15 한국 교육개혁의 과제_ 안승문 323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준 높은 교사에서 독서를 권장하는 문화까지, 핀란드의 교육 성과에 이바지한 요인들은 무수히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해외에 널리 알릴 만한 요인은 간과되곤 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입니다. 오늘날 핀란드의 뛰어난 교육적 성과는 40년 전부터 진행되어온 교육정책과 교육개혁의 직접적인 결과물입니다. 1970년대의 발 빠른 정책 결정이 옳았고, 그것이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이제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입니다…
우리는 이 책에서 40년에 걸친 핀란드 교육정책과 개혁원칙의 전개 과정을 보여줄 예정입니다. 우리에게 1960년대와 1970년대는 급격한 변화의 시기였습니다. 핀란드가 농업사회에서 스칸디나비아 복지국가로 변모한 때였으니까요. 우리는 이런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 계급사회의 불평등을 존속, 유지시키는 교육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정비해야 했습니다… 구조적인 변화는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핀란드가 지금의 탈공업/후기산업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이 핀란드 교육 시스템을 떠받치고 있는 사회적ㆍ정치적 발전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또한 핀란드 교육 정책과 개혁 원칙의 개발 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력도 얻기를 희망합니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