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447365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10-02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왜 한국에서 인종주의와 그리스도교를 함께 논의해야 하는가 _ 김나미 ? 조민아
한국 사회에 인종주의가 존재하는가?
인종과 인종주의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인종주의와 그리스도교는 무슨 관련이 있는가?
1장?유대와 갈릴리, 남한과 북한에 인종이 있는가? _ 최진영
들어가는 말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인종적 사유
유대와 갈릴리
인종주의, 신인종주의, 인종화
북한의 인종화
북한과 탈북민의 타자화
글을 맺으며
2장?일본의 이단아,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 이민진 장편 소설 [파친코]와 자이니치 문학의 경우 _ 김응교
백제에서 조선통신사까지
왜 ‘자이니치’인가
디아스포라와 자이니치
부산항 제1부두와 자이니치
오사카 ‘이카이노’와 오사카교회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제노사이드
자이니치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나눈다면
변혁적 이방인 작가의 가능성: 양석일의 경우
평화의 줄로 연결되어서 함께 가리라: 현재의 자이니치 디아스포라와 기독교
3장?‘빨갱이’의 인종화: 제주4.3사건과 그 ‘여파 속에서’ _ 김나미
‘빨갱이’ 소환
제주4.3
빨갱이의 인종화
빨갱이의 인종화와 신학적 정당화
제주4.3의 ‘여파 속에서’
경야 작업
4장?한극 극우의 인종화 프로젝트와 ‘그리스도교국가론’ ― 이승만과 한경직을 중심으로 _ 김진호
3.1절, 1946과 2003
3.1절, 극우주의적 기억의 거점
이승만의 극우주의, 절름거리는 인종주의적 주체
또 다른 극우주의, ‘한경직의 종교’
개신교 극우주의, 능동적 주체의 종교
21세기, 극우주의의 부활, 그런데…
5장?한국 인종주의와 차별 주체로서의 한국교회 다문화 목회 _ 이보영
들어가는 말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의 역사와 배경: 인종화의 과정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단일민족주의와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충돌: 한국적 인종화와 인종주의의 근저
한국적 공동체 문화의 내집단/외집단 역학: 인종화된 다문화주의
한국교회의 다문화 목회: 타자화, 인종화와 인종주의 강화의 통로
한국교회 다문화 목회의 구조적 문제: 단일민족주의, 인종화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교차점
한국교회의 다문화 목회: 긍정적 기여와 그 한계
나가는 말: 대안을 생각하며
지은이 알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