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방법으로서의 중국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6545670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9-0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6545670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9-01
책 소개
미조구치 유조는 2010년에 타계하기 전까지 동아시아 지식인의 교류를 선도하며 중국의 중국근대사상사 연구가인 왕후이, 쑨거에게도 영향을 줬다. 그런 미조구치 유조의 논문집 <방법으로서의 중국>이 그의 서거 10주기를 맞아 개정판으로 다시 독자를 만난다.
목차
1부
제1장 | ‘중국의 근대’를 보는 시각
제2장 | 근대 중국상(中國像)의 재검토
제3장 | 중국의 ‘봉건’과 근대
제4장 | 천하와 국가, 생민(生民)과 국민
2부
제5장 | 방법으로서의 중국
제6장 | 쓰다(津田) 지나학과 지금부터의 중국학
제7장 | 프랑스 지나학과 일본 한학(漢學)과 중국 철학
제8장 | 유교 르네상스에 즈음하여
3부
제9장 | 근대 중국상은 왜곡되지 않았는가? 양무와 민권, 그리고 중체서용과 유교
제10장 | 어떤 반양무(反洋務)
후기
역자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아시아는 커다란 지각변동을 느긋하게,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일으키고 있다.
동경은 객관적인 중국에 대해서가 아니라 주관적으로 자기 안에 결상(結像)된 ‘우리 안의 중국’으로 향했던 것이다. 따라서 그 ‘중국’은 철두철미 일본 근대의 반(反)정립이며 그래서 동경해야만 하고 동경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전후 중국관·중국인식에는 많든 적든 이 선험적인 중국상이 관념적으로 선행하며, 이 선험적인 관념의 선행이 일부에서는 더욱 사회주의 중국, AA(아시아·아프리카)연대의 중국에 대한 새로운 자기부정적(자본주의 일본, 대미종속의 일본을 부정한다는 형태로) 동경구조를 재생산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