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여성

신여성

(한국과 일본의 근대 여성상, 청년학술 49)

문옥표, 박용옥, 이배용, 이상경, 김경일, 송연옥, 이노우에 가즈에, 요네다 사요코, 이시자키 쇼오코 (지은이)
청년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여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여성 (한국과 일본의 근대 여성상, 청년학술 49)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2783794
· 쪽수 : 325쪽
· 출판일 : 2003-10-20

책 소개

이 책에는 한국 여성사, 일본 근대 여성사, 문화인류학, 한국 문학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한국과 일본의 학자 아홉 명이 쓴 여덟 편의 글이 실려 있다. 이 글들은 조금씩 다른 시각에서 일제 식민지 시대 일본과 조선 신여성들의 개인적인 삶과 활동, 그들이 처해 있던 사회적·정치적 상황의 차이, 그리고 그러한 차이가 양국의 독자적인 신여성 운동의 전개 과정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다.

목차

편저자 서문 : 한국과 일본의 신여성 비교를 위한 시론 / 문옥표

일제 시기 신여성의 역사적 성격 / 이배용

신여성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비판 / 박용옥

조선 '신여성'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 송연옥

식민지 조선의 여성교육과 신여성 / 김경일

조선 '신여성'의 연애관과 결혼관의 변혁 / 이노우에 가즈에(井上和枝)

신여성의 자화상 : 여성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상경

조선과 일본의 신여성 : 나혜석과 히라츠카 라이초우의 생애사 비교 / 문옥표

<청탑> 이후의 새로운 여자들 : 히라츠카 라이초우와 '신부인협회'의 운동을 중심으로 / 요네다 사요코(米田佐代子)·이시자키 쇼오코(石崎昇子)

_표 차례

저자소개

문옥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 인류학과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From Paddy Field to Ski Slope: The Revitalisation of Tradition in Japanese Village Life』,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공저), 『조선양반의 생활세계』(공저), 『교토 니시진오리의 문화사』 등이, 역서로 『문화의 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박용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중국 심양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경력을 시작한 후 세종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여성사 연구에 기여했다. 한국여성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미국 버클리대학교 객원교수로도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조여성사』, 『한국여성독립운동사』,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김마리아 :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하였다』등이 있으며, 여성 독립운동과 항일운동, 근대 여성사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펼치기
이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억력이 특출한 역사학자, 감동적인 문화해설가, 한국의 사찰과 서원을 유네스코(UNESCO)에 등재시킨 문화 대사, 여성계의 대표 리더, 저자에게 붙여진 수식어이다.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서강대학교에서 한국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장, (사)코피온 총재(해외봉사단체),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 단장을 역임했다. 현재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학학술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 광업침탈사 연구』(1989, 일조각),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2005, 어진이),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공저)』(1997, 이대출판부), 『브랜드 코리아(공저)』(2011, 나남출판), 『Women in Korean History』(2008, 이대출판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강경애 연구'로 석사를, '이기영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있다. ‘강경애전집’(소명출판, 1999)과 ‘나혜석전집’(태학사, 2000), ‘일제 말기 파시즘에 맞선 혼의 기록’(역락, 2009)을 펴냈고, ‘한국근대민족문학사’(공저, 한길사, 1993), ‘이기영-시대와 문학’풀빛, 1994), ‘강경애, 문학에서의 성과 계급’(건국대 출판부, 1997), ‘인간으로 살고 싶다’(한길사, 2000),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소명출판, 2002)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김경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에서 정년을 맞았다. 뉴욕주립대(빙햄턴)와 파리 인간과학연구소(Maison des Sciences de L’Homme)에서 수학했고(박사후과정), 도쿄대학 경제학부 객원연구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과 워싱턴대학 교류교수 등을 역임했다. 긴 시간 한국 사회사, 사회사상, 역사사회학, 동아시아론 등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주요 저서로 『일제 하 노동운동사』, 『이재유 연구』, 『지역 연구의 역사와 이론』,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동아시아의 민족 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기 만주의 조선인』(공저), 『한국노동운동사 2, 일제 하의 노동운동: 1920-1945』,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Pioneers of Korean Studies(편저), 『이재유, 나의 시대 나의 혁명』,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연대』,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노동』, 『한국 근대 여성 63인의 초상』(공저), Modern Korean Labor: A Sourcebook(공편), 『신여성, 개념과 역사』, Korean Women: A Sourcebook(공편), 『동아시아 일본군 위안부 연구』(공저), 『근대 여성 12인, 나를 말하다: 자서전과 전기로 본 여성의 삶과 근대』,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비교 역사의 시각』,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서 노동과 여성: 노동의 서사와 노동자 정체성』 등이 있다.
펼치기
이노우에 가즈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고시마국제대학 조교수로 있다. 논문으로 '근대 조선 여성의 자아 형성의 역사 - <여자계> <여자시론> <신여자>를 중심으로'가 있으며, 지은책으로 <한국의 역사>(공저) <역사에 인권을 각ㅇ인시킨 여자들>이 있다.
펼치기
이시자키 쇼오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도쿄 女學館대학교 강사로 있다. 논문으로 '생식의 자유와 산아제한 운동' <일본여성사논집 9 - 性과 신체> '명치유신과 생식윤리' <에스니시티와 전데로 본 일본의 역사>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