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명의 위기

생명의 위기

구승회, 금교영, 김상득, 맹용길, 임종식, 김일순, 이상헌, 윤정로, 박병상, 이동익, 구인회, 조용길 (지은이)
푸른나무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명의 위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명의 위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7414829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1-08-20

책 소개

이 책은 21세기 화두인 생명 윤리에 관한 쟁점을 과학적 지식과 함께 쉽게 소개하고 있다. 생명 공학은 의학, 농업, 식량, 환경, 에너지, 전자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과 동시에 인류의 존재를 위협하는 도전과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목차

1장. 생명 윤리의 개념
진정한 히포크라테스를 위하여(생명 의료 윤리의 개념) - 김일순(연세대)
살아 있음과 인간의 의미(생명공학 윤리의 개념) - 구승회(동국대)

2장. 생명 의료 윤리의 쟁점
인간이 만들어 내는 생명(생식 보조 기술) - 금교영(영남대)
어디부터가 죽음인가(뇌사·심폐사 논쟁) - 김상득(전북대)
살인인가 인권 존중인가(안락사) - 임종식(한양대)
인체는 특별하다(인체의 특이성과 기계론적 치료 불가능성) - 금교영(영남대)

3장. 생명공학 윤리의 쟁점
유전공학과 인류의 미래(유전공학) - 구인회(서강대)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불평등(유전자 조작 농산물) - 박병상(참여연대)
종의 장벽을 허문다(이종 이식) - 이상헌(서강대)
사회 속의 생명 윤리(ELSI 프로그램의 과제) - 윤정로(KAIST 인문사회과학부)

4장. 생명 윤리와 종교
인간에 봉사하는 과학 기술(가톨릭의 생명 윤리) - 이동익(가톨릭대, 신부)
신의 영역을 침범하지 말라(기독교의 생명 윤리) - 맹용길(장신대)
불살생의 방생관(불교의 생명 윤리) - 조용길(동국대)

저자소개

구승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다름슈타트대학에서 1993년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학교와 안동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2005년 현재 동국대학교 윤리문화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책에 <에코필로소피>, <논쟁 - 나치즘의 역사화?>, <아나키.환경.공동체>, <철학의 변형을 향하여>,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생명의 위기 - 21세기 생명윤리의 쟁점>, <정보사회와 인간의 조건> 등이 있고, 옮긴책으로 <칸트와 더불어 철학하기>, <트러스트 -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환경윤리학의 제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금교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독일철학의 한 분야인 현상학적 윤리학과 철학적 인간학을 전공으로 공부하고 1992년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7년부터 영남대학교, 경주대학교, 울산대학교 등에서 연구교수와 시간강사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인격주의 윤리학』, 『생명의 위기』(공저), 『인격교양의 인성교육』 등의 저서와 『인식과 윤리』,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윤리학』,『막스 셸러 철학의 이해』 등의 역서를 펴냈고, M. 셸러 철학의 ‘가치’, ‘감정’, ‘사랑’, ‘인격’을 주제로 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상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응용윤리학 방법론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Post-Doc. 과정과 연구강사를 역임하였고,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케네디윤리학 연구소(Kennedy Institute of Ethics)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윤리, AI 로봇의 윤리, 사회정의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한다. 저서로 『AI 로봇 윤리』(2024), 『알기 쉬운 윤리학』(2013), 『유전자윤리학』(2009), 『생명의료윤리학』(2000)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I 로봇의 책임 공백에 관한 윤리학적 연구」(2024), 「Gen AI와 연구윤리」(2024), 「낙태법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에 관한 ‘윤리 법정’」(2023), 「기계의 메타 윤리학」(2020), 「소수집단 우대조치에 관한 윤리학적 연구」(2017) 등이 있다.
펼치기
맹용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학사, 장로회신학대학 신학사, 미국 Columbia 신학교 (Th. M.), 미국 Emory 대학교 (Ph. D.)1974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역임, 신학교육협의회 회장, 동북아시아 신학교 협의회 회장 역임 •기독교윤리학 입문, 기독교윤리사상, 통합신학을 향하여, 나의 신학, 나의 윤리학 Plus 외 다수
펼치기
임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는 친구를 먹지 않는다.” 친구를 먹지 않았던 극작가 버나드 쇼를 좋아한다.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는 법정스님의 축원을 되뇌인다. “인간에게는 비폭력적이고 힘없는 동물을 죽이고 적대시하는 것은 사탄의 철학이다”는 피타고라스의 언명에 공감한다. 인간의 고통이건 돼지의 고통이건 고통은 고통으로 여긴다. 동물학대범들은 이승의 기억을 안고 축생도로 환생, 자신과 똑 같은 인간을 만나길 기대한다. 좋아하는 겨울이 와도 길고양이들 생각에 마음이 편치 않다.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위스콘신 대학교(Univ. of Wisconsin-Madison) 철학과에서 윤리학과 행위철학 분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와 카이스트에서 강의를 했으며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로 있다. ≪형사법과 살해의도≫, ≪인간, 위대한 기적인가 지상의 악마인가?≫, ≪낙태 논쟁, 보수주의를 낙태하다≫ 등의 저서가 있고 ≪과학의 발전과 윤리적 고민≫을 편집했으며 ≪생명의 위기≫, ≪2020 미래한국≫, ≪지식의 최전선≫ 등의 공저가 있다. 생명과 관련된 윤리적인 물음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죽음과 관련된 형이상학적 물음과 신과 관련된 철학적 물음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간우월주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인간중심 평등주의 철학의 이단자로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김일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명의 위기>
펼치기
김일순의 다른 책 >
이상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칸트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학교 전인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 철학과 포스트휴머니즘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융합 시대의 기술 윤리』, 『철학자의 눈으로 본 첨단 과학과 불교』 등을 썼다.
펼치기
윤정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충청남도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부임하여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해 왔으며, 현재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2014년 한국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여성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 한국생명윤리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등의 학회에서 부회장을 지냈다. 대통령자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부업무평가위원회, BK21·NURI사업관리위원회 등의 위원과 한국과학재단,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의 이사 및 주식회사 KT 이사회 의장을 지냈다. 현재 세계인문학포럼 위원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학협동재단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과학기술과 한국 사회: 구조와 일상의 과학사회학』, 『과학적 사유와 인간 이해: 시대와 새로운 과학』(공저), 『생명과학기술의 이해, 그리고 인간의 삶』(공저), 『생명의 위기: 21세기 생명윤리의 쟁점』(공저), 『정보사회의 이해』(공저), 『모성의 담론과 현실』(공저), 『일본의 도시사회』(공저)가 있고, 편저 『ELSI Issues on Current Biotechnology』 및 역서 『유비쿼터스: 공유와 감시의 두 얼굴』 등이 있다.
펼치기
박병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와 생태 문제를 고민하고 대안을 찾아 헤매는 ‘환경 운동을 하는 생물학자’입니다. ‘풀꽃세상을 위한 모임’ 대표를 지냈습니다. 현재 60+기후행동과 인천환경운동연합의 공동 대표를 맡고 있으며,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입니다. 쓴 책으로는 『선생님, 인류세가 뭐예요?』, 『조곤조곤 생태정의 이야기』, 『어쩌면 가장 위험한 이야기』, 『동물 인문학』, 『탐욕의 울타리』, 『파우스트의 선택』,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 『생태학자 박병상의 우리 동물 이야기』, 『참여로 여는 생태공동체』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가 있습니다.
펼치기
이동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에 사제서품을 받고 청량리교회 보좌신부로 활동했다. 1990년 로마 라테란 대학교 알퐁소대학원에서 윤리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영국 성안셀모 연구소에서 영성지도 및 상담과정 수료하였다. 1991년부터 가톨릭 대학교 윤리신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교황청 생명학술원 교류회원,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생명윤리연구회원,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구인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독일 괴팅엔 대학교에서 철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생명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윤리자문단장,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학술위원장을 맡고 있다.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장, 한국생명윤리학회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조용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명의 위기>
펼치기

책속에서

돼지의 췌장에서 인슐린을 공급받고, 돼지 허파로 호흡하고, 인공 눈으로 세상을 보고, 복제를 통해 얻은 무릎 관절로 걸어 다니는, 노동하지 않고 오직 숨쉬기만 하는 150세의 젊은이를 상상해 보자! 이들이 실로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생(生)의 전과정에서 ‘고통 없음’을 약속받았다고 해서 진정 ‘해방된 삶’일까?

자유와 평등, 관용과 타협이 더 이상 공적 도덕이 되지 못하는 획일화된 고령화 사회에서 400만 년 전 아프리카의 초원의 루시(Lucy)에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스스로 규정해 온 저 위대한 인간성의 이념은 온전히 지탱될 수 있을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행복한 영생을 선사하겠다는 생명공학 기술은 역사 속의 많은 신기술들이 그랬듯이 또 한번의 근거 없는 희망이 되고 말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