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서유석, 백훈승, 양해림, 신응철, 이상엽, 이하준, 송석랑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7599537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5-06-08

책 소개

역사철학서로 대부분의 글은 칸트 이후의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양역사철학의 대가를 중심으로 그 동안 여러 철학등재 학술지에 실린 글들을 선별하여 묶은 것이다.

목차

1 역사철학의 기능성과 필요성 -칸트의 역사철학에 대한 Docekal의 해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13
2. 역사철학 비판 14
3. 도체칼의 칸트 역사철학 재해석 17
4. 역사철학의 기능성과 불가피성: 비판적 고찰 25
2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인가? -헤겔의 역사철학-
1. 서론 33
2. 예비적 고찰: ‘wirklich’의 이중적 의미 34
3. 이성적인 것(das Vern?nftige)이란? 36
4. das Wirkliche란? 38
5. 결론 43
3 딜타이(Wilhelm Dilthey)의 역사주의 -이해의 방법론적 원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51
2. 역사주의의 방법론적 원리: 이해(Verstehen) 53
3. 이해의 과제: 감정이입 61
4. 맺음말 72
4 니체의 역사관
1. 머리말 79
2. 비역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 혹은 망각과 회상 82
3. 니체의 역사관 86
4. 학문적 역사의 해로움 94
5. 예술적 역사와 학문적 역사 105
5 마르크스의 역사철학 -엘스터의 재구성(개체론적 맑스주의)을 중심으로-
6 카시러의 역사철학

1. 들어가는 말 135
2. 카시러 역사철학의 형성배경과 그 특징 137
3. 카시러의 역사철학 144
4. 카시러 사상에서 역사철학의 문화철학의 관계 153
5. 카시러 역사철학의 현재적 의의 157
7 호르크하이머: 역사철학비판과 부정적 역사철학
1. 들어가면서 163
2. 역사철학에 관한 비판 164
3. 호르크하이머의 역사철학 175
4. 나오면서 184
8 자연 · 이성 · 역사 -아도르노의 역사철학 모티브-
1. 서론 191
2. 역사형이상학 비판 193
3. 아도르노의 역사철학의 형성과 전개 202
4. 결론에 대신하여: 지구화 시대의 역사철학과 아도르노 213
9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위한 시론 -일상사(日常史)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1. 서론: “역사개념의 퇴락”과 일상사 219
2. 일상사의 인류학적 방법과 해석학적 현상학 222
3. 일상의 “반복과 전유”,그리고 역사의 진실 229
4. 결론: “두텁게 쓰기”와 이해의 로고스 237
10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권 -하버마스의 칸트 『영구평화론』 해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47
2. 세계 시민주의의 출발점 249
3. 헌법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 254
4. 세계시민권: 정치적 세계질서와 세계시민권 258
5. 세계시민권: 국가적 구상과 민주주의적 구상 263
6. 세계정부 없는 세계 내 정책: 세계시민법 266
7. 맺음말: 세계시민권과 세계시민주의의 현대적 의의 271

저자소개

양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훔볼트(Humboldt)대학교 철학과에서 “빌헬름 딜타이의 사회철학: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20년 대전광역시장 인권상” “2022년 대한민국 인권상(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받았다. 지은 책 『딜타이와 해석학적 사회체계』(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2), 『인권과 사회-개정판』(2021),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개정4판』(2020),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사유읽기-개정증보판-』(2020), 『철학자의 시사산책』(2019), 『시사프리즘, 철학으로 한국사회를 읽다』(2018), 『니체와 그리스 비극』(2017), 『기후변화, 에코(ECO)철학으로 응답하다』(2016),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2014), 『한스 요나스의 환경이야기』(2009), 『자크 라캉의 욕망이야기』(2009),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2008), 『에코·바이오테크시대의 책임윤리-과학기술의 진보와 이성』(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05), 『현상학과의 대화』(2003), 『미의 퓨전시대』(2002) 등 20여 권의 단독 저서 및 『인지인문학-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공저, 2015 세종우수학술도서, 2016),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의 인문학』 등 30여 권의 공저가 있다. 논문 “딜타이의 보편적 교육관 연구”, “니체의 허무주의적 데카당스 불교관”,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양과 서양의 생산양식은 어떻게 이루어졌나-마르크스의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중심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의 소외는 극복될 수 있는가?”,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중심으로-”,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언어”,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학”, “해석학과 사회체계: 딜타이와 루만의 이해개념을 중심으로”, “인권과 민주주의-하버마스의 사실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니체의 몸철학-오해된 몸의 복권-” 등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송석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원대학교 창의교양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한(문학사, 문학석사) 후,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실존현상학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목원대학교 창의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목원대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LIC)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해석학회 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근래의 저·역서와 연구논문으로 『정신과학입문』(2015, 역서), 『외모지상주의 깨뜨리기』(2017, 공저), 『인문예술, 세계를 담다』(2022, 공저),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2023, 공저)과 「진리의 정치성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2021), 「이이(李珥)의 이기론과 구체성의 철학 - 실존현상학의 관점에서」(2022), 「갈등의 위상학과 해방의 변증법 - 철학의 시적 인식을 통한 고찰」(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서유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철학과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했고 마르크스 사회과학 방법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프리부르대학교 동유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방문교수로 수학했으며 호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 범한철학회 회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를 역임했으며, 특히 시대와 호흡하려 애쓰는 철학자들의 공동체인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학술 활동에 깊이 관여했다. 자치와 연대, 생태공동체 운동, 차별 없는 사회,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주제로 연구하고 활동한다. 함께 지은 책으로 《처음 만나는 진보》,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철학 오디세이》, 《청년헤겔》(공역), 《변증법적 유물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하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철학 교수로 일한다. 베를린 자유대에서 철학을 주전공으로, 문화사회학과 교육철학을 부전공으로 공부했고 아도르노 철학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과 대학지성IN&OUT 편집기획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해석학회와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막스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비판』,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 『부정과 유토피아: 아도르노의 사회인식론』, 『교양교육 비판』 등이 있다. 이 밖에 『철학이 말하는 예술의 모든 것』(세종우수학술도서),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세종우수교양도서)를 포함해 다수의 인문교양서를 썼다. 더 나은 철학교육을 위해 『지금,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 『#철학』 등의 공저를 낸 바 있다.
펼치기
백훈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주 정부 장학생으로 지겐(Siegen)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헤겔에 있어서의 자기의식과 욕망의 문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99년 지겐 대학교 연구상[Studienpreis]을 수상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명예교수이며, 역서로는 『시간과 시간의식』(간디서원, 2006), 『피히테, 쉘링, 헤겔』(인간사랑, 2008), 『할머니의 이별(Omas Abschied)』(리시오, 공역, 2023), 『하느님이 토끼라면…(Wenn Gott ein Kaninchen ware…)』(리시오, 공역, 2025)이 있고, 동화 같은 헤겔의 철학 에세이 『누가 추상적으로 사유하는가?』(서광사, 2017)를 번역⋅해설하였고 『헤겔과 변증법』(서광사, 2022), 『역사철학 강의』(전북대출판문화원, 2024)를 저술하였다.
펼치기
이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에서 post-Doc.을 마친 후 현재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허무주의와 극복인'이란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고, '니체 철학의 키워드', '니체 유고', '문호과학과 자연과학, '문화학이란 무엇인가', '문화철학이란 무엇인가'를 번역했으며, 문화철학, 해석학, 미학, 미디어철학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신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현존하는 사물들과 과정들은 생성되고 소멸한다. 이러한 세계는 “상호 의존하는 세계이며, 근거 짓고 근거 지워지는 무한한 연관의 세계”다. 이와는 반대로 Wirklichkeit는 현상하는 현존자들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이성적인 것만을, 그리고 이성적으로 되는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모든 것들은 단지 현존의 차원에 속한다. 헤겔은 이러한 진정한 것(dieses Wirkliche)을 “손에 잡히는 것이나 직접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것들과” 혼동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시간적으로 계기하는 것들은 현존하는 사물들이다. 철학은 주어진 것, 현존하는 것을 기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진정한 것 혹은 이성, 이념도 기술해야 한다. 이로 말미암아 철학은 그때그때 마다 주어진 것, 사실적인 것, 단지 현존하는 것에 대해 늘 비판적으로 대립해 있다. 철학은 진정한 것, 이성에 이르는 것을 항상 옹호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