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눌

지눌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동양사상연구원총서 3)

강건기, 길희성, 심재룡, 허흥식, 권기종, 이종익, 박성배, 이덕진, 김호성, 최성렬, 최연식, 김방룡, 인경스님 (지은이), 예문동양사상연구원 (엮은이)
예문서원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00원 -5% 0원
750원
2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눌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동양사상연구원총서 3)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6461483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02-02-10

목차

'한국의 사상사 10人'을 출간하며
일러두기

해제 : 지눌 연구의 어제와 오늘 / 이덕진

제1부 지눌 선 사상 체계의 이해

- '悟'의 문제 / 박성배
- 신비 Paradox를 통하여 본 지눌의 空寂靈知心 / 강건기
- 지눌 선 사상의 구조 / 길희성
- 마음의 해석학 / 인경

제2부 지눌 선 사상의 돈오와 점수에 대하여

- 돈오점수의 새로운 해석 / 김호성
- 보조스님은 證悟를 부정했던가? / 박성배
- 지눌 선 사상에 있어서 돈오의 함의

제3부 지눌 선 사상과 간화선과의 함수관계

- 혜심의 선 사상 연구 / 권기종
- 간화선의 '구자무불성'에 대한 일고찰 / 이덕진

제4부 지눌 선 사상의 교학적 근거

- 보조의 『화엄신론』 이해 / 최성렬
- 보조국사 지눌의 『원돈성불론』 상석 / 심재룡

제5부 지눌 선 사상에 대한 사상적 서지학적 반성

- 보조 찬술의 사상 개요와 그 서지학적 고찰 / 이종익
- 보조국사 비문의 이본과 탁본의 접근 / 허흥식
- 『眞心直說』의 저자에 대한 재고찰 / 최연식
- 『진심직설』의 저서에 대한 고찰 / 김방룡

부록
지눌 관련 연구물 목록
수록 논문 원게재지
필진 소개

저자소개

강건기 (감수)    정보 더보기
1966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 1968년 태국 왕실 초청으로 방콕으로 건너가 2년간 남방불교를 연구했다. 1973년 뉴욕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석사, 1979년 같은 대학에서 <토머스 머튼과 보조 지눌사상의 비교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1988년에 전북불교대학을 설립하여 2006년까지 학장을 역임했다. 2006년 정년퇴임 후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보조사상연구원의 연구위원이기도 하다.
펼치기
길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의 길: 소외를 넘어』, 『일본의 종교 문화와 비판 불교』(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번역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심재룡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에 <한국의 전통사상>,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동양의 지혜와 선>, <중국 불교 철학사>, <부처님이 올 수 없는 땅>, <삶이여 번뇌의 바다여> 등이 있고, 옮긴 책에 <아홉 마당으로 풀어쓴 선>, <연꽃 속의 보석이여: 티베트 불교 길잡이>, <있는 그대로의 자유>, <유배된 자유: 달라이 라마 자서전>, <티베트 성자와 보낸 3일> 등이 있다.
펼치기
허흥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음. 경북대 전임강사를 거쳐 교수를 역임. 이탈리아 나폴리 동양학대학교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소재에서 강의, 북경대학교 연구교수, 운남성 국제학술회의 한국대표, 중국 서남 민족조사 참여. 인도 델리대학, 몽골독립백주년기념, 카자흐스탄 퀼테킨기념일 학술발표. 두계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저작상 인문과학부분 수상, 올해의 책, 우수도서 선정 여러 차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교수. 2017년 현재 명예교수. [중요논저] <高麗科擧制度史硏究>(1981), <高麗社會史硏究>(1981), <高麗佛敎史硏究>(1986), <韓國의 古文書>(1988), <韓國中世佛敎史硏究>(1994), <眞靜國師와 湖山錄>(1995), <高麗로 옮긴 印度의 등불-指空禪賢>(1997),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2004), <고려의 과거제도>(2005), <한국신령의 고향을 찾아서>(2006), <고려에 남긴 휴휴암의 불빛-몽산덕이>(2008), <고려의 동아시아 시문학-百家衣集>(2009), <동아시아의 차와 남전불교>(2013), <한국의 중세문명과 사회사상>(2013), <당현시범과 백가의집 판독?해제>(2016). 編著로 <韓國金石全文(3冊)>(1984), 수필집 <이상향과 보신탕>(2011). 그 밖에 한국금석학, 묘향산과 보현사, 한국불교문헌학, 고려의 墓制와 石棺, 書誌, 畵佛. 會計學, 詩文學에 관한 논문 234편
펼치기
권기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로 있으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원장, 동국대학교 사회교육원 원장 및 한국불교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권기종교수와 함께 하는 생활 속의 불교>, <금강경강의>, <21세기 문명과 불교>(공저), <불교와 인간>(공저), <중국불교사>, <불교와 힌두교> 등 여러 권의 책을 지어내고 번역했다.
펼치기
이종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임제전문학교 및 대정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대정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상고 교사를 거쳐 단국대, 건국대, 동국대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에 <동양철학개설>, <불교학개론>, <조계종학>, <조계종사>, <원효대사의 연구>, <보조국사의 연구>, <고려의 불교철학>, <조계종 중흥론>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梵我一如思想」)를 받았으며 지눌 연구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3년부터 1969년까지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9년 미국으로 건너가, 텍사스 댈러스에 있는 남감리교대학에서 신학공부를 하고,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원효 연구로 박사학위(「원효의대승기신론소연구」)를 받았다. 1977년부터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브룩) 종교학과의 불교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2015년 은퇴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에 <The Korean Buddhist Canon: Descriptive Catalogue>, <The Four-Seven Debate>, <Wonhyo's Commentary on the Treatise on Awakening of Mahayana Faith> 등이 있다.
펼치기
이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친 후 「보조지눌의 선사상 중국불교와 관련하여」로 박사학위관련된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논문으로는 「혜심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와를 취득하였다. 현재 창원문성대학 장례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불교의 선사상과 「신라 말 동리산문에 대한 연구」 및 「간화선의구자무불성에 대한 일고찰」 등 6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또 단행본으로 『보조지눌 연구(해조음)』과 『지눌-한국의 대표사상가 10인(예문서원)』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김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인도철학과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가르치고 있다. 일본의 대학 세 곳에서 세 차례 방문연구를 하였다. 그동안 펴낸 책에 대해서는 부록에 정리한 바와 같고, 논문은 「백화도량발원문의 이해에 대한 성찰 ―결락된 부분의 복원에 즈음하여―」을 비롯하여 110여 편을 발표하였다. 2017년 『나무아미타불』을 번역하면서, “신앙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정토로 회향하겠다”고 마음먹었다. 정토불교를 알리고자 ‘편지’를 써서 이메일로 발송하고 있다.
펼치기
최성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이수하였다. 인하대학교 철학과 강사를 거쳐, 2002년 현재 조선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철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에 <한국불교인물사상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최연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전주 출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균여均如의 화엄사상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일본학술진흥회 외국인특별연구원(Post-doc.)을 마치고,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목포대학교 및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 고대 및 중세 동아시아 불교사상을 연구하고 있으며, 불교관련 고문헌과 금석문, 고문서 등의 자료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검토하고 있다. 저서 및 번역서로 『校勘 大乘四論玄義記』, 『역주 일승법계도원통기』, 『불교의 중국정복』,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禪의 역사』, 『대승불교와 동아시아』 등이 있다.
펼치기
김방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전북 김제 출생으로 전북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원광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북경대학의 연구학자를 역임하였다. 보조사상연구원의 실장과 불학연구소의 상임연구원을 역임하고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 《한국사상가 10인-지눌(공저)》(예문서원, 2002)과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보고사, 2006) 등 다수가 있으며, 논문으로 〈보조지눌과 태고보우의 선사상 비교〉, 〈간화선과 화엄 회통인가 단절인가〉등 4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988년 현호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동국대학교에서 ‘몽산덕이夢山德異와 고려 후기 선사상 연구’로 1999년 박사학위 취득했으며 현재 목우선원장을 비롯한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등 소임을 맡아 명상과 상담을 주제로 한 다양한 활동에 진력하고 있다. 특히 목우선원에서 위빠사나와 명상, 간화선을 접목시킨 명상을 통해 후학들을 지도하고 있다. 선의 대중화를 위해 호흡, 느낌 명상, 마음 관찰, 현상 관찰, 내면의 아이 만나기, 간화선이라는 6단계 명상수련 프로그램을 지도하면서 누구나 일상에서 분노를 내려놓고 참나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화두명상에 집중할 수 있다고 강설하고 있다.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과 『쟁점으로 살펴보는 간화선』 등의 저술을 통해 간화선과 관련된 쟁점들을 정리해왔다. 간화선과 관련된 석박사를 거쳐 목우선원을 개원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위빠사나, 명상, 심리상담과 관련된 논문이 50여 편 있다. 지은 책으로는 『몽산덕이와 고려 후기 선사상 연구』 『염지관 명상, 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기』 『현재, 이 순간에 머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