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7151451
· 쪽수 : 341쪽
· 출판일 : 2005-06-10
책 소개
목차
서문
총론:1910년대 일제의 동화정책과 '매일신보'_ 조성운
1. 머리말
2. 1910년대 일제의 식민지 동화정책
3. 이 책의 내용 소개
4. 맺음말
'매일신보'를 통해 본 1910년대 일본시찰단_ 조성운
1. 머리말
2. 시찰단 파견의 배경
3. 시찰단의 구성과 경로
4. 시찰단의 성격
5. 맺음말
1910년대 식민지조선에 구현된 위생정책_ 정혜경/김혜숙
1. 머리말
2. 법령과 제도를 통해 본 1910년대 위생정책
3. 잡지를 통해 본 1910년대 위생론
4. '매일신보'를 통해 본 위생정책
5. 맺음말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교육정책 연구_ 정혜정
1. 머리말
2. 일제의 보통학교 교육정책의 중점 방향
3. 보통학교 교과서 정책
4. 맺음말
1910년대 조선에서의 일본 불교 포교활동과 성격_ 성주현
1. 머리말
2. 조동종의 조선불교통합운동
3. 정토진종 대곡파와 본파의 포교
4. 임제종의 포교와 선당 건립
5. 일련종과 정토종의 포교
6. 일본 불교의 성격
7. 맺음말
1910년대 조선귀족의 실태_ 심재욱
1. 머리말
2. 조선귀족의 선정
3. 조선귀족의 활동
4. 조선귀족 이용의 한계
5. 맺음말
1910년대 '매일신보'에 나타난 중앙시험소의 요업정책_ 엄승희
1. 머리말
2. 중앙시험소 설립의 배경과 목적
3. 시험소에서 실시한 정책의 양상
4. 1910년대 한국 요업 개발에 미친 영향
5. 맺음말
1910년대 '매일신보'의 선만일원화론 연구_ 박성진
1. 머리말
2. 1910년대 일제의 대외정책 추이
3. 선만일원화론의 구조
4. 맺음말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렇듯 '매일신보'가 '조선귀족'을 조선민족의 대표라 추켜세우며 인민의 모범이 될 것을 요구한 것은 이들을 이용해 사회의 안정을 이루고 지배체제의 조속한 정착을 도모하고자 한 의도가 깔려 있다. 즉 이들은 일제 강점과 이를 통해 나타난 이른바 '신시정'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계층이기 때문에 체제순응적일 수밖에 없었고,
'매일신보'의 주장처럼 이들이 여러 사회사업을 전개하여 민중의 추종 대상이 되는 '사회의 모범'이 되고 민중이 이를 모델로 삼아 따르게 된다면 이는 곧 민중이 식민지배 체제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조선귀족'을 통한 일제의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알게 해주는 대목이라 할 것이다. - 본문 20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