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화해와 협력을 위한 역사인식)

와다 하루키, 야마무로 신이치, 조경달, 나카노 사토시, 기바타 요이치, 고토 겐이치, 가와시마 신 (지은이), 이규태, 심재욱, 한철호 (옮긴이)
책과함께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화해와 협력을 위한 역사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86293966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7-12-08

책 소개

일본의 진보적 석학 7인이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거대한 역사의 흐름을 조망한다. 19세기 이후 다양하고 복잡하게 전개되어왔던 동아시아 각국의 근현대사를 서로 관련시켜 총체적으로 들여다본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동아시아의 근대: 19세기
머리말
1. 19세기 전반의 질서 변화
2. 불평등조약의 동시대적 의미
3. 개항장 네트워크의 형성
4.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식민지화
5. 19세기의 사회 변화: 이민, 종교, 군사화
6. 내륙 아시아의 변화
7. 근대국가와 만국공법
8. 일본의 대두와 동아시아
9.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맺음말

2장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19세기 말∼1900년대
1. 청일전쟁 후의 동북아시아
2. 세기말의 제국주의적 아시아 분할
3. 의화단 사건과 러청전쟁
4. 영일동맹 체결에서 러일전쟁 개전으로
5.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6. 포츠머스조약
7. 러일전쟁 후의 동아시아
8. 한국병합

3장 1차 세계대전과 개조: 1910년대
1. 일본의 대국화
2. 무단통치와 3?1운동
3.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조선
4. 신해혁명과 그 영향
5. 5?4운동의 전개
6. 1차 세계대전과 인도
7. 1차 세계대전과 동남아시아

4장 사회주의와 내셔널리즘: 1920년대
1. 세계사 속의 1920년대
2. 동아시아의 1920년대
3. 윌슨의 14개조와 내셔널리즘
4. 국제?비국제 조직과 ‘문화’
5. 위임통치와 식민지
6. 베르사유?워싱턴체제와 동아시아
7. 코민테른과 ‘동방’
8. 소비에트연방 수립과 시베리아
9. 소비에트연방 수립과 중앙아시아
10. 만주를 둘러싼 환경
11. 일본제국과 식민지
12. 중국의 정권 교체
13. 동남아시아의 내셔널리즘
14. 1920년대 동남아시아 경제
15. 1930년대의 전망

5장 새로운 질서의 모색: 1930년대
1. 위기와 모색의 1930년대
2. 생활 개신운동과 농촌 질서의 재편
3. 식민지의 저항과 자치?독립 모색
4. 제국 일본의 전시체제화
5. 중일전쟁과 중국의 정치공간
6. 광역질서의 모색과 ‘경계를 넘나드는’ 인적 교류

6장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대동아공영권’: 1935~1945년
1. 질풍노도 시대의 서막 1935~1937년
2. 중일전쟁 시기의 동아시아
3. 대동아공영권의 시대
맺음말

7장 아시아 전쟁의 시대: 1945~1960년
1. 전쟁 직후의 아시아와 일본
2. 탈식민지화 과정의 시동
3. 냉전의 도래
4. 새로운 지역질서의 모색
5. 신생 아시아 속의 일본
6. 냉전과 탈식민지화의 교착

8장 베트남 전쟁의 시대: 1960~1975년
머리말
1. 베트남전쟁으로 가는 길
2. 미국의 전쟁
3. 동아시아의 전환기
맺음말

9장 경제발전과 민주혁명: 1975~1990년
1. 베트남전쟁 종료 후의 아시아
2. 새로운 대립구도: 2개의 동맹
3. 3개의 국지전쟁
4. 경제발전
5. 신냉전의 움직임
6. 민주혁명
7. 페레스트로이카와 미소냉전의 종언
8. 걸프전쟁과 소련의 종언

10장 공동 토론 - 화해와 협력의 미래로: 1990년 이후
1. 세기전환기의 국제질서
2. 아시아에서의 민주화 조류와 역류
3. 전후처리와 역사인식 문제
4. 동아시아 세계의 행방

맺는 글
참고문헌
연표
옮긴이의 글
집필진 소개

저자소개

와다 하루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명예교수. 1938년 오사카 출생. 도쿄대학 문학부 졸업. 도쿄대학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소장 등 역임. 현재 도쿄대학 명예교수. 전공은 소련·러시아사, 한국 현대사. 한국에서 출간된 주요 공·저서로는 《역사가의 탄생》, 《한일 역사문제의 핵심을 어떻게 풀 것인가?》,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북한 현대사》, 《한일 100년사》, 《위안부 합의 이후 한일 관계》, 《한국과 일본의 역사 인식》, 《러일전쟁 1·2》 등 다수가 있다. 일본에서는 《‘평화국가’의 탄생》, 《어떤 전후 정신의 형성 1938-1965》, 《러시아혁명》, 《스탈린 비판 1953~1956년》, 《니콜라이 러셀》,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북방 영토 문제를 생각한다》, 《한국전쟁전사》, 《러일전쟁 기원과 개전》, 《아시아여성기금과 위안부 문제》, 《조선유사를 원하는가》, 《북미전쟁을 막자》, 《아베 총리는 납치문제를 풀 수 없다》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야마무로 신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중의원 법제국 참사, 도쿄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조수, 도호쿠대학 조교수,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교토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법제관료의 시대》, 《근대 일본의 지와 정치》, 《사상과제로서의 아시아》, 《유라시아의 해변에서》, 《헌법 9조의 사상수맥》, 《러일전쟁의 세기》, 《복합전쟁과 총력전의 단층》, 《일본 헌법 9조와 비폭력 사상》, 《아시아의 사상사맥》, 《아시아 사람의 풍모》, 《현대의 기점 제1차 세계대전》(전4권, 공저) 등이 있다. 이 책 《키메라》로 요시노 사쿠조상을 수상했으며, 그 외에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하세가와 뇨제칸상, 아시아・태평양 특별상, 시바 료타로상을 받았다.
펼치기
조경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도쿄 출생. 일본 주오대학 문학부를 졸업했고,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중퇴했다. 지바대학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조선 근대사ㆍ근대 한일비교사상사다. 저서로 『역사와 진실』(공저, 1997, 치쿠마쇼보), 『이단의 민중반란―동학과 갑오농민전쟁』(1998, 이와나미쇼텐), 『조선 민중운동의 전개―士의 논리와 구제사상』(2002, 이와나미쇼텐),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2008, 유시샤), 『식민지 조선』(편저, 2011, 도쿄도출판), 『비교사적으로 본 근세 일본』(편저, 2011, 도쿄도출판), 『근대 조선과 일본』(2012, 이와나미쇼텐), 『근대 일조 관계사』(편저, 2012, 유시샤) 등이 있다.
펼치기
나카노 사토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생.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교수. 국제관계사(미국-필리핀 관계사) 전공.
펼치기
기바타 요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생. 세이조대학(成城大學) 법학부 교수. 영국 현대사, 국제관계사 전공.
펼치기
고토 겐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와세다대학 명예교수. 『동남아시아로부터 본 근현대 일본-‘남진’·점령·탈식민지화를 둘러싼 역사 인식』(라경수 옮김,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日本の南進と大東亜共栄圏』(めこん, 2022), 『大東亜主義·解説総目録編』(後藤乾一·松浦正孝共編, 龍渓書舎, 2008), 『近代日本と東南アジア』(岩波書店, 1995), 『日本占領期インドネシ ア研究』(龍溪書舎, 1989)
펼치기
가와시마 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東京大学)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교수 박사(문학). 전문 분야는 동아시아 정치외교사, 중국근현대사, 국제정치사. 주요 저서는 『중국 근대외교의 형성(中国近代外交の形成)』 (名古屋大学出版会, 2004. 산토리 학예상), 『중국 프론티어–요동치는 경계에서 생각하다(中国のフロンティア–揺れ動く境界から考える)』 (岩波書店, 2017), 『샌프란시스코 강화와 동아시아(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と東アジア)』 (공저, 東京大学出版会,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규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일장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에서 역사학 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사회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집필한 책으로 《占領改革の國際比較―日本, アジア, ヨ-ロッパ》, 《米ソの朝鮮占領政策と南北分斷體制の形成過程》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일본군 군대위안부》, 《야스쿠니 신사》, 《전쟁인가 평화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한철호 (감수)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20여 년간 재직했으며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역사교과서연구소 소 장을 역임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림대학 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를 연구하면서 한·중·일의 근대화를 비교·분석하고 현재에 끼친 영향을 통찰하는 것을 화두로 삼았다. 주요 논저로 『친미개화파연구』, 『한국 근대 개화 파와 통치기구 연구』, 『한국 근대 주일한국공사의 파견과 활동』,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 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 (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아시아 속의 한일 2천년사』, 『동아시아 근현대사』, 『일본이라는 나라』, 『1905년 한국 보호조약과 식민지 지배책임』, 『미국의 대한 정책, 1834~1950』, 등이 있다. 역사교육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대표 저자로서 중학교 『역사』, 고등학 교 『한국근·현대사』와 『한국사』 교과서를 집필하 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들어가는 글
역사 속에서 형성된 동아시아, 즉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지역세계는 지금 위기를 맞고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북한 문제와 더불어 역사수정주의의 반동이 국가의 정치·외교를 혼미하게 만들며 대외적으로 강경해지고 있는 일본의 문제, 그리고 점차 거대한 힘으로 떠오르면서 미국과의 공동 지배를 목표로 삼는 한편 이웃나라와 충돌하고 내정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중국의 문제, 동아시아에서 정치적·군사적 존재감을 유지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경제질서를 확대하려는 미국의 문제, 미·중·일 3국이 갈등을 빚고 있고 미군기지와 주민의 대립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오키나와 문제, 이러한 문제들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민주주의 혁명을 이룬 국민이 기대하는 헤게모니를 발휘하지 못한 채 고민하고 있는 한국의 문제, 이 모두가 흔들리고 꼬이며 위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 영토 문제는 언제라도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군사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다.
이것은 대체 어떠한 상황인가? 이 현실은 어떤 역사 흐름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인가? 여기에서 어떻게 진행해나갈 것인가? 선택지는 무엇이고 어떤 선택이 바람직한가? 이러한 점들을 생각할 때, 역사를 직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좋은 역사의 방향성을 가지려면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가지는 것, 스스로 자신의 역사상을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 이 책의 저자들이 서술한 동아시아의 근현대사와 문답을 나누고, 여기에서 자신의 동아시아 역사상을 끄집어내길 바란다. 그리고 이 역사상을 자신을 이끌어주는 끈으로 삼아 잃어버린 세월을 향해 돌파하기 바란다. 그럴 때 화해와 평화의 새로운 동아시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맺는 글
이 강좌의 기획도 ‘화해와 협력의 미래’에 대한 낙관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미래가 봉쇄되는 것에 대한 염려와 위기의식에서 출발했다. 1990년대 이후 분열과 통합 사이에서 삐걱거리는 아시아에서의 역사인식 문제는 아카데미즘만이 아니라 아시아 여러 국가의 정치와 여론이 개입된 국가 간의 대립과 배타적 내셔널리즘을 자극하는 불씨가 되었다. 이 강좌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협소한 자국사를 넘어서 역사적인 자료와 실증을 동반한 통사적 총서를 편찬함으로써 하나의 아카데믹 스탠더드를 확립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현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도와 바람에서 기획되었다.


1장 동아시아의 근대: 19세기
동아시아의 19세기는 근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해당한다. 18세기에는 토지가 적고 인구는 많아 자본이 적게 드는 노동집약적인 발전 형태를 가진 동북아시아에 많은 은이 유입되면서 번영기를 맞았다. 인구가 적고 사회 유동성이 높았던 대륙의 동남아시아에서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새로운 국가가 형성된 동북아시아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여러 국가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예컨대 청에서 아편이 유행했던 것처럼, 동아시아에서는 사회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 서양의 대표적인 공업국가였던 영국은 중국 시장을 목표로 삼으면서 해협식민지 등 동남아시아에 거점을 만들어나갔고, 1840년대 초에 청과 아편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그리고 영국이 세계에 제공하고 있던 교통과 통신, 무역 관리, 역병 관리, 결제기능 등의 국제 공공재가 동아시아에도 제공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서양 국가들이 식민지를 구축하여 영역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일본과 시암(지금의 태국)이 서양식 근대국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은 군사력을 강화하여 동아시아에서 최초의 식민지 보유국이 되었으며, 근대 모델을 동아시아에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종교적인 요소를 비롯한 가치관과 세계관을 지닌 기층사회의 자장(磁場)과,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이동 등으로 인해 동아시아의 공통체험으로서 근대는 각각의 기층사회에 스며들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