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Paris 1 Panth?on-Sorbonne 대학교 박사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 통일연구소장, 이승만연구원장 역임
[주요 논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및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을 받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을 비롯 “Two Koreas in International History”,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공저)』, 『한국외 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한국사(공저, 국사편찬위원회)』, 『푸랜시스카 사진의 한국사 I』 등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ssues and Studies, Korea Observer, Pacific Focus, 『韓國硏究論叢』 (復旦大學韓國硏究中心) 등에 게재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이수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정치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와 국제평화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제지역연구소 연구위원을 맡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국외교정책사: 루스벨트에서 레이건까지>, 주요 논문으로 「정상외교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2002), 「9·11 뉴욕테러와 21세기 신전쟁」(2002), 「군사분야 혁명과 나토(NATO)의 방위능력구상: 동맹의 전력구조에 대한 함의」(2002) 외 다수.
펼치기
김계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홍익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에서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석사 학위를, 독일 함부르크대학교(Universitat Hamburg) 철학·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강원대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강의를 하는 한편, 아태평화재단 책임연구위원과 선임연구위원, 부산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부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지역연구소 전임연구원 등으로 재직했다.
소규모의 농사를 짓는 마을 구성원들이 자급자족하면서 자발적으로 마을 공동의 일에 참여하고 서로 돕는 전통을 갖고 있었던 곳에서 태어나 자랐다. 간디가 얘기하는 일종의 공화국인 ‘마을 스와라지’는 수십 년 전 까지는 이 땅의 일부 농촌에도 존재하였다. 학교를 다닌 도시가 1970년대 반독재민주화운동과 1980년대 생명운동의 중심지라서 이후 세계관과 가치관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독일 유학 시절 ‘자연·환경보호에 있어 연방수도’로 선정된 도시의 환경보호 시스템과 정책을 직접 보고 체험하였으며, 독일 녹색당 연구의 권위자인 요아힘 라쉬케(Joachim Raschke) 교수가 진행하는 고급세미나(Oberseminar)에 참여하여 독일 환경운동과 녹색당 정치에 대해 공부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집필했다. 단독저서로는 <유럽의 민주주의: 발전과정과 현실>, <한국 정치를 읽는 22개의 키워드: 신자유주의부터 포퓰리즘까지>, <시네마 폴리티카: 영화로 읽는 정치적 삶과 세계>, <누가 저 베헤모스를 만들었을까: 한국 권위주의의 기원에 대한 정치적 고찰>이, 공저로는 <세계화 시대의 정치학>(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왜 민족음악인가? 다시 읽는 유럽의 민족주의와 음악>, <왜 시민주권인가?>, <정치교육의 이해>, <시민주권과 민주시민교육>, <남북한 통합의 새로운 이해>, <유럽질서의 이해: 구조적 지속과 변화>, <정치적 현실주의의 이론과 역사>, <유럽연합체제의 이해>, <국제사회의 이해>, <북한, 그리고 동북아> 등이 있다.
펼치기
진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정치학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영국 켄트대학교(국제정치학 석사), 영국 워릭대학교(정치학 박사)에서 공부했다. 최근에는 정치교육, 민주시민교육, 주권자교육, 다문화교육, 시민주권교육 등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대표 저서 및 공저로는 「세계화 시대의 정치학」,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한국의 국제정치경제」, 「정치교육의 이해」, 「왜 시민주권인가?」 「시민주권과 민주시민교육」, 「국제사회의 이해」,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이데올로기, 민주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박래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정치학으로 석사학위를 마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서양현대사, 특히 독일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단국대학교와 경기대학교에 출강하였고, 현재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주)레네테크 상무이사 겸 (주)한국솔라파크 대표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툴루즈(Toulouse) 2대학에서 ‘프랑스 68운동’ 관련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파리 10대학에서 ‘프랑스 제국주의’ 관련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 서』(2009, 엮음), 『제국의 시선, 문화의 기억』(2017)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1930년, ‘프랑스령 알제리’ 백주년」(2022), 「‘14-18 전쟁’과 프랑스의 흑인 병사 이미지 : 실재, 상상(계), 그리고 재현」(2022), 「전쟁의 고통과 상흔 -제1차 세계대전과 프랑스 ‘안면 부상병(Gueules cassees)’-」(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최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前) 한국정치학회 회장, (前) 한국유럽학회 회장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정치학 박사
전공 분야: 국제정치, 유럽정치, 비교정치
대표 논저: “What Kind of Power is the EU? The EU’s Policies toward North Korea’s WMD Programs and the Debate about EU’s Role in the Security Arena”(2019, 공저), 「지역의 선택: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의 국내정치와 지역무역협정 정책」(2018, 공저), 「하니문의 동학(動學)과 구조의 정학(靜學):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변화와 연속성」(2018),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 이론, 제도, 실천』(2018, 책임편저), 『호모 쿨투랄리스, 문화적 인간과 인간적 문화』(2018, 책임편저)
펼치기
이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Marburg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연세대와 서울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