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8012188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08-06-3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펴내며
제1부
신라의 발견
- 근대 한국의 민족적 상상물의 식민지적 기원
1 신라, 조선사의 고전적 고대
2 일본 역사학과 고고학이 발견한 신라
3 『 무영탑』,『 원효대사』, 민족의 로맨스
4 신라, 전쟁기의 치명적 상징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1 국사교과서의‘통일신라론’
2 통일신라론의 발명
3 통일신라론의 수용
4 통일신라론의 확립
5 통일신라론의 의의
근대 시각문화 속의 석굴암
1 문화관광지 경주
2 신라의 발견
3 극동의 고전주의와 김복진
4 선조線彫의 미와 최승희
5 식민지 지역성과 비애미 초극의 단초
식민지 조선과‘신라’의 심상지리
1 만한의 발견과 식민지 조선
2 관광사업의 전개와 경주 여행
3 식민지 경성과 왕도 경주
4 경주의 쇠락한‘현재’와 청년의 사명
5 순례의 길, 동원의 길
6 박물관으로서의 신라
한국 근대유행가에 표상된‘신라’
1‘화랑’, [신라의 달밤] 그리고‘고향’
2‘신라’, 역사 속에서 발견된 민족의 고향
3 군국가요와 군가에 나타난‘신라’담론
4 기술복제시대의 예술과 국가
제2부
향가의 근대
- 향가가‘국문학’으로 탄생하기까지
1 머리말 . 발견과‘진정한’발견
2 향가 발견의 전사前史
3 오구라 신페이의 발견과 쓰치다 교손의 발견
4 양주동의 발견과 조윤제의 발견
5 맺음말.향가는‘국문’인가
국민국가와‘화랑도’
- 애국계몽기에서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화랑’담론과 활용양상
1 자기구성과‘전통’의 창조
2 식민지시기의‘화랑도’담론
3 해방 이후 국민국가 건설과‘화랑도’담론
4‘전통’과 정체성의 재구성
단카短歌로 그린 조선의 풍속지風俗誌
-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가 엮은『朝鮮風土歌集』(1935)
1 이치야마 모리오와『朝鮮風土歌集』
2 향토鄕土의 인간사人間史, 이향異鄕과 고향故鄕의 사이
3 경주, 맥수麥穗의 탄식과 적상赤裳의 신라녀
4 신라, 오리엔탈리즘의 성적 욕망이 불러낸 환상
5 단카를 둘러싼 제국의 욕망 그리고 신라 표상
식민지시기 신라고분 조사 현황
1 문제의 소재
2 1902~1906년의 조사
3 1909~1920년의 조사
4 1921~1929년의 조사
5 1931~1936년의 조사
6 식민지 고고학의 한계
식민지시기 일본인들이 발견한‘신라’
1 들어가며
2 야나기 무네요시가 발견한 풍경으로서의‘신라’
3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