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

(신광동.신호남.혁명군.경세종)

태평양객, 호남지호남인, 추용, 진천화 (지은이), 성근제, 백광준, 민정기 (옮긴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19,000원 -5% 0원
카드할인 10%
1,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 (신광동.신호남.혁명군.경세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7986996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1-08-30

책 소개

태평양객(太平洋客)의 <신광동(新廣東)>, 호남지호남인(湖南之湖南人)의 <신호남(新湖南)>, 추용(鄒容)의 <혁명군(革命軍)>, 진천화(陳天華)의 <경세종(警世鐘)> 이렇게 네 편의 글을 완역한 것이다.

목차

옮긴이 서문
해제: <신광동>과 <신호남> 그리고 <혁명군>과 <경세종> -성근제

1부__신광동(新廣東) ― 일명 광동인의 광동(一名廣東人之廣東) -태평양객(太平洋客[歐?甲]) 지음, 성근제 역주
2부__신호남(新湖南) -호남지호남인(湖南之湖南人[楊篤生]) 지음, 차태근 역주
3부__혁명군(革命軍) -추용(鄒容) 지음, 백광준 역주
4부__경세종(警世鐘) -진천화(陳天華) 지음, 민정기 역주

1894~1912년 연도별 주요사건
주요 인물, 단체, 사건 해설

저자소개

태평양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운고(雲高) 또는 운초(雲樵)이며, 운태(雲台), 이암(伊庵), 태평양객(太平洋客), 무애생(無涯生), 해천(海天) 등의 별호와 필명을 사용하였다. 광동성 귀선현[歸善縣: 오늘날의 혜양(惠陽)]이 고향이다. 강유위(康有爲)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청나라 광서 23년(1897)에 <지식보(知識報)>, <시무보(時務報)> 등의 편집을 담당하여 변법의 정신을 전파하는 데 힘쓰는 한편, 호남시무학당(湖南時務學堂)의 교사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무술변법 실패 후 일본으로 건너가 양계초를 도와 <청의보(?議報)> 편집에 참여하였으며, <중국역대혁명설략(中國曆代革命說略)>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1903년에는 <대동일보(大同日報)>의 총편집을 담당하고, <신광동>을 써내어 광동의 독립을 주장하였으나, 후에 손문을 공격한 것으로 인해 배척을 당하였으며, 이후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다가 1909년 귀국하였으나, 강유위와의 관계가 틀어지면서 가택연금에 처해졌다가 1911년 우연한 사고로 목숨을 거두고 말았다. <신광동>, <환구일기(環球日記)> 등의 저서를 남겼
펼치기
호남지호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육린(毓麟)이며 후에 수인(守仁)으로 고쳤다. 호는 숙임(叔壬)이고, 자는 독생(篤生)인데 또 삼호유민(三戶遺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호남 장사(長沙)에서 태어나 광서 23년(1897)에 국자감 학생이 되었다. 무술변법시기에는 <상학보(湘學報)> 시무(時務)란의 편집을 맡았으며, 동시에 호남시무학당(湖南時務學堂)의 교사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1902년 일본에 유학하여 굉문학원(宏文學院)과 와세다 대학에서 수학하였고, 같은 해에 호남 출신 일본 유학생들과 함께 <유학역편(遊學譯編)>을 편찬하였으며, 동시에 <신호남>을 발표하여 호남성의 독립을 고취하였다. 1903년부터는 혁명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1906년에는 상해에서 <신주일보(神州日報)>를 발행하여 주편을 맡았다. 1907년 영국에 유학하였다가 1911년 광주봉기의 실패 이후 시국을 비관하여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펼치기
추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천성 파현[巴縣, 오늘날의 중경(重慶)] 출신으로 본명은 소도(紹陶) 혹은 계문(桂文)이며, 자는 위단(蔚丹)이다. 1902년 자비로 일본에 유학하여 동경동문서원(東京同文書院)에서 수학하였으며, 이때부터 이름을 추용(鄒容)으로 고치고 혁명 활동에 참여하였다. 1903년 장계(張繼), 진독수(陳獨秀)와 함께 당시 청 정부가 파견한 유학생 관리관이었던 요문보(姚文甫)의 변발을 잘라버린 사건을 계기로 강제 귀국 조치된다. 상해로 돌아온 뒤 장병린(章炳麟), 장사교(章士釗) 등과 함께 혁명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만주족을 배척하고 중화공화국의 수립을 주장한 <혁명군>을 출판하였다. <혁명군>은 장병린의 서문과 함께 <소보(蘇報)>에 게재되었는데, 이로 인해 <소보>는 폐간을 당하고, 장병린과 추용은 함께 체포되어 3년 형에 처해졌으며, 추용은 감옥에서 병을 얻어 29세의 나이로 끝내 옥사하고 말았다. 후에 국민당의 남경 정부는 추용은 육군 대장군에 추서하였다. 그의 고향인 중경에서는 새로 닦은 길 하나를 추용로로 이름 붙이고, 추용열사 기념비를 세워 그를 기념하고 있다.
펼치기
진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말의 유명한 혁명 열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호남성 신화현(新化縣) 출신으로 본명은 현숙(顯宿), 자는 성태(星台), 과정(過庭)이라 하였고, 사황(思黃)이라는 별호를 쓰기도 했다. 어려운 집안 사정 때문에 아버지를 도와 장사를 하며 독학하다가 스무 살이 넘어서야 친척의 도움으로 자강서원(資江書院)을 거쳐 신화실학당(新化實學堂), 악록서원(岳麓書院) 등에서 공부했다. 1903년 국비로 일본에 유학하였으며, 도일 후 항러의용대(拒俄義勇隊) 조직에 참여하고, 국민교육회 창설에도 간여하였다. <맹회두(猛回頭)>와 <경세종(警世鐘)>을 써서 배포한 것도 바로 이즈음의 일이다. 1903년 귀국 후 황흥(黃興), 송교인(宋?仁) 등과 함께 장사에서 화흥회(華興會)를 조직하고, 1904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법정대학에 입학했다. 1905년 이후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에 참여하여 기관지 <민보(民報)>의 편집을 담당하였으며 「중국혁명사론(中國革命史論)>, 「중국은 민주주의 정체로 바뀌어야 한다(論中國宜改創民主政體)」등의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05년 12월, 일본 문부성이 유학생들의 정치활동을 규제할 목적으로 공포한 「청국 및 한국 유학생 행동규제 규칙(取締?韓留日學生規則)」으로 인해 촉발된 유학생들 사이의 논쟁에 휘말리면서 장장 오천 자에 달하는 「절명서(?命書)」와 유일학생총회(留日學生總會)에 보내는 서신 한 통을 남기고 12월 8일 새벽 도쿄 오오모리(大森) 만의 바닷물에 투신해 자결하였다.
펼치기
민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국가와 민족들 사이 지식의 형성, 그리고 그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 「상하이 《점석재화보》가 그려 보인 근대전환기의 조선과 일본」 등이 있고, 『언어횡단적 실천』(역), 『동서양의 경계에서 중국을 읽다』(공편), 『중국 현대미술의 길』(공역) 등의 책을 냈다.
펼치기
백광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중국 난징대학 중문과에서 청대(淸代) 후기동성파(後期桐城派)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논문으로 「黎庶昌의 서양 서술과 여행의 발견─《西洋雜誌》를 중심으로」, 「園林과 公園의 사이에서─19세기 중국인의 公園 유람」 등이 있고, 저서로는 『동서양의 경계에서 중국을 읽다』(공저), 역서로는 『동성파 산문집』,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공역), 『만유수 록(漫遊隨錄) 역주』(공역) 등이 있다. 현재 명·청대 문인 및 그 문화와 더불어 근대 시기 동서 교류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백광준의 다른 책 >
성근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8년생. 연세대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문화대혁명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모택동과 신중국 역사 재평가의 정치성」 등이 있으며, 중국 사회주의, 문화대혁명, 소수민족 문제 등에 주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