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 전쟁

종교 전쟁

(종교에 미래는 있는가?)

김윤성, 장대익, 신재식 (지은이)
사이언스북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 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 전쟁 (종교에 미래는 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3712356
· 쪽수 : 647쪽
· 출판일 : 2009-06-12

책 소개

사이비 과학/사이비 종교 운동이 파고들 틈을 메울 수 있는 과학과 종교 간의 진지한 대화를 다룬 책이다. 전공과 입장이 서로 다른 세 소장 학자가 주고받은 13편의 편지와 10시간에 걸친 좌담 기록으로 이루어졌다. 과학과 종교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메우고 진정한 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주제들을 전면적으로, 아무런 감춤 없이, 그리고 진솔하게 다루고 있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과학, 신학, 종교학의 만남과 진화를 꿈꾸며 장대익

1부 과학이 종교에게
편지 1.1
과학의 시대, 종교가 더 이상 필요할까요? 장대익
편지 1.2
종교와 과학, 원래 이웃사촌입니다 신재식
편지 1.3
종교와 과학의 논쟁, 행복하게 엿듣겠습니다 김윤성

2부 다시 과학이 종교에게
편지 2.1
반성 없는 과학, 중세 기독교와 다를 게 뭔가요? 신재식
편지 2.2
종교는 말살해야 할 정신의 ‘바이러스’일지도 모릅니다 장대익
편지 2.3
실재의 깊이는 종교나 과학보다 깊습니다 김윤성

3부 종교가 과학에게
편지 3.1
종교인은 과학을 어떻게 보나요? 장대익
편지 3.2.1
종교는 과학을 시녀로 보지 않습니다 신재식
편지 3.2.2
과학과 종교의 새로운 공존을 꿈꿔 봅니다 신재식
편지 3.3
9·11이 종교 전쟁의 결과라고요? 아닙니다 김윤성

4부 과학과 종교가 함께
편지 4.1
나의 창조 과학 탈출기 김윤성
편지 4.2
창조 과학과 지적 설계? 그것은 틀린 것조차 아닙니다 장대익
편지 4.3
창조 과학과 지적 설계론, 사이비 종교 운동이 기독교를 잡다 신재식

5부 대화: 과학과 종교의 미래
종교 없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나요? 신재식+김윤성+장대익

책을 마치며
친밀한 타자들의 대화 김윤성

더 읽어야 할 책들/참고 문헌/찾아보기/도판 저작권

저자소개

김윤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디지털영상문화콘텐츠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강사,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강사와 교수를 지냈다. 개항기 개신교 의료선교와 조선 후기 천주교의 금욕 및 순교를 소재로 종교와 몸의 문제를 다룬 학위논문들을 썼으며, 이후로 신화, 종교, 예술, 대중문화, 테크놀로지를 넘나드는 탈경계적 주제들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장대익 (감수)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스타트업칼리지 학장/석좌교수.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으로 학사, 서울대학교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봉직했으며, 한국인지과학회 회장, 구글코리아 앱생태계 포럼 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다윈의 식탁》, 《공감의 반경》 등이 있다.
펼치기
신재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남신학대학교 신학과 조직신학 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장신대 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 드루 대학교에서 신학석사와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1세기 과학 문화와 한국의 종교 다원주의 맥락에서 한국 개신교의 모습을 성찰하고 한국적 신학을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와 다윈의 동행>, <신앙과 이성 사이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종교 전쟁>(공저)이 있고, 번역서로 《신과 진화에 관한 101가지 질문》, 《근대 신학의 이해》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솔직히 저는 요즘 도킨스의 외침이 진실이 아닐까,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적인 정직성을 견지하다 보면 종교는 더 이상 인류에게 필요 없는 밈(meme)같아 보입니다. 유효기간이 지나 버린 밈인데도 사람들이 거기에 뭐가 더 있을 줄 알고 계속 그 주위를 맴도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렇다면 종교는 과학에 의해 대체되거나 아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하는 유물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편지 1.1 과학의 시대, 종교가 더 이상 필요할까? 중에서, 53쪽


장 선생님께서 언급했다시피, 최근 들어 진화론적 입장에서 종교를 바라보는 저작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왔습니다.(조금 전까지 저는 대성당 옆 의자에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을 읽었습니다.) 생물학, 철학, 심리학 , 인류학 등 각 분야에서 제시하는 종교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은 마치 온갖 색깔의 폭죽이 동시에 터지면서 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의 화려한 '절정'이자 '마지막'처럼 느껴집니다. 이것은 이전에 다른 폭죽들이 벌써 이런저런 모습으로 하늘을 밝혔다는 말이죠. 누가 폭죽을 터트렸는지 색깔별로 살펴볼까요? - 편지 1.2 종교와 과학은 원래 이웃사촌입니다 중에서, 75쪽


나름대로 몇 자 적어 보았습니다만, 제 글이 두 분의 편지에 대한 답변이 되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과학과 종교 간의 갈등이나 대화에 대한 관심이 생기는 까닭은 결국 우리 삶에는 서로 구분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복잡하고도 모호한 중첩 지대가 무수히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과 종교는 그러한 중첩 지대의 어디쯤엔가 놓여 있겠죠. 과학과 종교에는 진리의 문제를 둘러싼 나름의 독립된 영역이 있고, 또 서로 중첩되는 많은 영역이 있습니다. - 편지 1.3 종교와 과학의 논의 행복하게 엿듣겠습니다 중에서, 104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