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89643010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PART 1. 교육과 교육학의 토대
Chapter 1. 교육철학·사학 :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과 역사의 눈 황금중
1. 교육철학: ‘철학의 눈’으로 교육현상 보기 _ 5
➊ 교육철학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 _ 5
➋ ‘철학의 눈’과 교육철학 _ 6
2. 교육사학: ‘역사의 눈’으로 교육현상 보기 _ 12
➊ 교육사학의 개념 _ 12
➋ ‘역사의 눈’과 교육사학 _ 14
3.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그리고 교육사상사 _ 18
➊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_ 18
➋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접점으로서의 교육사상사 _ 20
4. 역사 속의 교육철학의 조류들 _ 23
➊ 진보주의(Progressivism)_ 26
➋ 본질주의(Essentialism)_ 29
➌ 항존주의(Perennialism) _ 32
➍ 비판이론(Critical theory)_ 35
➎ 실존주의(Existentialism) _ 38
➏ 자연주의(Naturalism) _ 42
➐ 마음주의(Mindfulism) _ 46
Chapter 2. 교육인류학: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현상에 대한 탐구 박순용
1. 교육인류학의 특징과 기원: 인류학과 교육의 만남, 그 이상 _ 55
➊ 19세기 _ 59
➋ 20세기 초·중반 _ 60
➌ 20세기 후반(1980년대~1990년대) _ 61
➍ 21세기 현재 _ 62
2. 인류학의 문제의식과 교육현장 새로 보기 _ 64
3. 문화기술지 연구의 접근방식과 활용: 왜 애쓰노그래피인가? _ 67
4. 결론: 교육인류학의 과제와 미래 _ 70
Chapter 3. 교육심리학 : 교육에 내재하는 인간 행동과 사고에 대한 과학적 탐구이희승
1. 교육심리학 이해하기 _ 79
➊ 교육심리학이란? -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인가, 심리학의 응용분야인가? _ 79
➋ 교육심리학의 역할 - 교사에게 교육심리학이란? _ 82
➌ 교육심리학자의 역할 - 여러분도 아마추어 교육심리학자! 교육심리학자가 당신과 다른 이유 _ 86
2.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_ 90
➊ 기술연구(Descriptive studies) _ 90
➋ 상관연구(Correlational studies) _ 92
➌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ies) _ 94
3. 교육심리학 연구 살펴보기 _ 98
➊ 기대 및 신념과 학습 _ 98
➋ 시험과 학습 _ 101
➌ 개인차와 학습: 학습양식 원리 _ 107
4. 결론 _ 110
Chapter 4. 교육과정: 교육 설계도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탐구홍원표
1. 복합적 개념으로서의 교육과정 _ 119
➊ 교육과정의 복합적 의미 _ 119
➋ 교육과정의 다양한 영역 _ 121
➌ 교육과정의 다층적 수준 _ 123
2. 교육과정 연구의 두 가지 접근 _ 126
➊ 교육과정 개발 _ 126
➋ 교육과정의 위기와 상반된 대응 _ 131
3. 우리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_ 135
➊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_ 135
➋ 최근의 교육과정 흐름 _ 138
➌ 우리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과제 _ 141
4. 결론 _ 144
Chapter 5. 교육평가: 정보수집과 교육적 의사결정 과정이규민
1. 교육평가의 개념 _ 152
2.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1: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 _ 155
➊ 규준참조방식과 준거참조방식 _ 155
➋ 준거참조방식과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 _ 157
➌ 북마크 기준설정 방법 _ 159
3.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2: 컴퓨터화 검사의 실용화 _ 162
➊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_ 162
➋ 컴퓨터화 검사의 상용화 _ 166
4.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3: 수행평가의 활성화 _ 170
➊ 수행평가의 대두 _ 170
➋ 수행평가의 유형과 특성 _ 172
5. 결론 _ 175
PART 2. 교육과 교육학의 실천적 확장
Chapter 6. 교육행정: 교수-학습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필수적 지원 활동
김혜숙
1. 교육행정의 본질과 중요성 _ 183
➊ 일상에서 조우하는 교육행정의 모습 _ 183
➋ 교육행정의 본질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_ 185
➌ 교육행정은 언제부터 어떤 배경에서 대두되었나? _ 187
2. 교육행정의 개념 _ 189
➊ 다양한 교육행정의 정의: 조건정비적 관점의 강화가 필요하다 _ 189
➋ 교육행정은 교육의 특수성에 기반해야 한다 _ 192
➌ 균형성은 교육행정의 중요한 운영 원리이다 _ 194
3.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_ 196
➊ 고전이론: 과학적 관리를 추구한 교육행정 _ 196
➋ 민주적 교육행정의 모체, 인간관계론 _ 199
➌ 교육행정학을 성립시킨 행동과학론 _ 200
➍ 해석론과 새로운 비전통적 관점들 _ 201
4. 교육행정의 현재와 미래 _ 203
➊ 학문으로서의 교육행정학 _ 203
➋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대세 관점이 되다 _ 205
➌ 교육행정에 포함되는 세부 분야들 _ 208
➍ 교육행정의 발전적 미래를 위하여 _ 211
Chapter 7. 교육공학: 교수학습에의 체제접근 이명근
1. 교육공학의 태동 _ 219
2. 현대 교육공학의 발전 _ 222
3. 교육공학과 교수설계 _ 229
➊ 교수설계 _ 233
➋ 학습조건 설계이론의 적용 _ 247
4. 도전과 전망 _ 248
Chapter 8. 상담교육: 치유와 성장을 지향하는 상담전문가 양성 서영석
1. 상담은 사회적 현상이다! _ 259
2. 상담은 소통이다! _ 261
3. 상담은 내담자에게 의존하는 효과적인 촉진자이다! _ 262
4. 상담사의 지향 _ 264
➊ 공감: 내담자의 심리정서적 고통을 경청과 이해로 함께 버텨주기
_ 265
➋ 진솔성: 가면이 아닌 솔직함으로, 과장하지 않은 채 전문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기 _ 267
➌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사람을 수용하기 _ 269
5. 상담사의 전문적 역량 _ 271
➊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지식 _ 273
➋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기술 _ 274
➌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태도 _ 275
➍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옹호 _ 277
➎ 수행으로서의 상담 역량 _ 280
6. 결론: 상담, 생존과 도약을 위한 과제 _ 280
➊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지식기반 확충 _ 281
➋ 우리 몸에 맞는 상담 윤리 마련 _ 283
➌ 역량 있는 상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자격제도 정비 _ 285
Chapter 9. 고등교육: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 이병식
1. 고등교육의 기초 _ 293
➊ 고등교육의 의미와 경계 _ 294
➋ 고등교육의 목적 _ 295
➌ 고등교육의 변화 _ 296
➍ 고등교육의 가치와 역할 _ 298
2. 현대 대학의 이해 _ 300
➊ 복잡한 조직 _ 300
➋ 전쟁터 같은 교육과정 curriculum _ 302
➌ 멀티플레이어 교수의 특권 _ 304
➍ 모호한 테크놀로지 _ 305
3. 고등교육학 –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 _ 308
➊ 대학총장을 위한 학문? _ 309
➋ 왜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 _ 309
➌ 어떤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 _ 310
➍ 대학원에서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_ 311
➎ 고등교육 지식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_ 313
➏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지식을 나누는가 _ 316
4. 결론 _ 317
부록 A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독특함 _ 318
➊ 보편화: 모든 사람을 위한 고등교육을 지향하며 _ 318
➋ 민영화: 높은 사립대학 의존도와 교육비 사부담 _ 320
➌ 정부주도(통제)형 _ 321
부록 B 어떤 책을 더 읽어볼까? _ 322
Chapter 10. 인적자원개발: 일터에서의 학습과 실천 오석영
1. 인적자원개발이란 무엇인가? _ 333
➊ 인적자원개발의 정의 _ 333
➋ 인적자원개발과 관련 영역과의 관계 _ 339
2. 인적자원개발의 실천영역 _ 342
➊ 개인개발 _ 342
➋ 조직개발 _ 350
➌ 경력개발 _ 358
3. 결론 _ 364
Chapter 11. 일의 교육학: 평생학습시대의 일과 배움 장원섭
1. 평생학습의 시대 _ 371
➊ 경제사회적 변화 _ 371
➋ 학교교육의 위기 _ 375
➌ 평생교육의 전개 _ 377
2. 일의 교육학 _ 385
➊ 일하는 존재로서 인간 _ 385
➋ 교육과 일의 관계 _ 388
➌ 일의 교육 _ 392
3. ‘오래된 미래’를 향한 일과 배움 _ 399
➊ 효율이 아닌 의미의 시대 _ 399
➋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 장인 _ 401
➌ 장인성 형성의 평생학습 _ 402
Chapter 12. 비교교육학: 비교교육을 통해서 본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성원
1. 비교교육,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_ 414
➊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필요성 _ 414
➋ 비교분석의 본질과 의미 _ 415
➌ 교육학의 ‘로컬’한 접근방법: 무엇을 왜 비교하는가? _ 416
➍ 국제와 비교의 상호 보완적 관계 _ 418
2. 비교교육학의 자리매김 _ 419
➊ 비교교육학의 역사적 발전과 변화 _ 419
➋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_ 422
➌ 비교교육학의 대표적 정의와 기본 영역 _ 424
3. 비교교육학의 최신 이론과 연구 동향 _ 426
➊ 국제교육개발 _ 427
➋ 교육환경과 문화 비교연구 _ 430
➌ 교육정책의 비교연구 _ 433
4. 비교교육학 연구의 쟁점 _ 436
➊ 국가 중심적 분석법의 한계 _ 436
➋ 비교연구자의 역량과 자질 _ 438
➌ 비교적 접근방법 _ 439
5. 결론 _ 442
PART 3. 교육연구의 방법론적 이해
Chapter 13. 교육평가와 양적연구방법: 교육에의 과학적 접근 강상진
1. 교육평가 개요 _ 451
➊ 교육평가와 교육학 _ 451
➋ 교육학의 과학적 탐구와 변수 _ 453
➌ 교육평가의 세부전공과 학문적 특징 _ 455
2. 양적연구방법의 내용 _ 457
➊ 연구방법 _ 458
➋ 통계방법 _ 468
3. 양적연구방법의 연구영역과 전망 _ 480
➊ 교육연구의 특수성과 교육통계학 _ 480
➋ 양적연구방법의 연구영역 _ 482
➌ 양적연구방법의 전망 _ 485
Chapter 14. 교육의 질적연구방법: 연구철학과 유용성박순용
1. 질적 연구의 역사: 포스트정초주의와 질적 연구의 확산 _ 491
2. 질적 연구의 정의와 특징 _ 496
➊ 질적 연구의 정의 _ 496
➋ 질적 연구의 특징: 양적 연구와의 비교 _ 498
➌ 질적 연구의 한계와 이에 대한 보완 노력 _ 502
3. 질적 연구에서의 글쓰기 _ 504
4. 질적 탐구를 위한 접근방법 _ 507
➊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 _ 508
➋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 _ 509
➌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_ 509
➍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 _ 510
➎ 사례연구(case study research) _ 511
◆ 색인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