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조선 지식인의 비평 노트](/img_thumb2/978899240977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240977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5-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평탄함을 얻지 못한 자의 울부짖음 -김시습 비평
비평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 -비평론
자신의 마음과 뜻을 드러낸 시 -정인홍 비평
살아 있을 때 간행한 문집 -문집 비평
일찍이 보지 못한 기이한 문장 -조식 비평
문장에 깃든 기운과 담긴 뜻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대승 비평
글 짓는 어려움을 잘 알았던 연암 -박지원 비평
성난 사자가 돌을 긁는 듯 -한석봉 비평
항아리 덮개에나 쓸 글이라고 비난받을까봐 그만두겠는가 -장유 자평
행동이 논리만 못한 사람과 논리가 행동만 못한 사람 -문장가 비평
세상 사람들이 꺼린 백사의 만인시 -이항복 비평
퇴계가 시를 잘 짓지 못했다? -이황 비평
속마음을 감추고 익살스러운 말과 기괴한 행동을 보인 이지함 -이지함 비평
왼손으로 네모를 그리면서 오른손으로 동그라미를 그릴 수는 없다 -이수광 비평
문장의 차이는 세상과 더불어 오르내리는 기운에 따라 다르다 -장유 비평
너무 많아 넘치거나 지나치게 간략한 것 모두 잘못이다 -명문장집 비평
나라를 빛낸 가문 평강 채씨 -평강 채씨 비평
천자문은 어린아이들이 배우기에 적당하지 않다 -『천자문』비평
잡스럽고 천박한 글이라도 반드시 얻을 것이 있다 -『잡찬』비평
귀신의 안목을 갖춘 비평가 -김수온 비평
비교할 만한 문인이 드물다 -유몽인 자평
인간의 경지를 넘어선 묵란화 -흥선대원군 비평
글의 좋고 나쁨은 말을 잘 꾸미는 데 있지 않다 -시 비평
비천한 백성의 노래가 사대부의 시보다 훌륭하다 -민요 비평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나 소설이 존재하는 이유 -『태평광기』비평
문장에 자연의 이치를 담은 목은 이색 -이색 비평
조선의 학문적 뿌리, 포은 정몽주 -정몽주 비평
박지원이 중국에서 태어났더라면 -박지원 비평
신하의 절개와 의로움을 밝힐 수 있는 근본 뿌리 -길재 비평
옛사람의 문장을 뛰어넘다 -이숭인 비평
옛 문장을 근거 삼아 오늘의 문장을 비평하지 말라 -문장 비평
순수하고 독실한 자질을 갖추다 -김세규 비평
보여 주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비평론
나 스스로를 비평한다 -허목 자평
제봉 고경명은 용과 같은 사람이다 -고경명 비평
역사를 기록하는 붓끝이 부리는 조화 -역사가 비평
하늘과는 통하면서, 사람과는 통할 수 없단 말인가 -현옹 비평
다른 사람이 지은 글을 비평하는 올바른 방법 -비평론
시가 사람을 궁색하게 만든다는 주장에 대한 변론 -시 비평
옛사람의 교훈에 정신을 빼앗기다 -이덕무 비평
모든 것을 잊고 한 가지에 미쳐야만 이룰 수 있다 -기예가 비평
허공의 꽃이나 물속에 잠긴 달 -허난설헌 비평
붉은 까마귀라 해도 좋고 푸른 까마귀라 해도 좋다 -시 비평
우리 명문장가의 계보를 밝힌다 -명문장가 비평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의 글을 비평한다 -제자백가 비평
기상의 화려함만 취해 시를 지으면 시의 품격을 이룰 수 없다 -시평
겉모양은 아름답지만 속은 텅 빈 책과 겉은 하잘것없어도 속은 꽉 찬 책 -소천암 비평
나의 스승 손곡산인을 말한다 -이달 비평
가려 뽑아 엮은 우리나라 명문장 -문선 비평
은을 철이라고 생각한들 -이지함 비평
고려 시대에 전해오는 여성 시는 단 한 편뿐 -고려의 여성 시 비평
문장에만 매달리면 광대나 다름없어진다 -장유 비평
시란 책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유희경 비평
우리나라 문장의 선구자, 최치원 -최치원 비평
볼 줄 아는 눈, 들을 줄 아는 귀 -문장 비평
나는 유자후의 바탕이 글보다 못하다고 본다 -유자후 비평
돌이 처음부터 끝까지 옥을 완성한다 -안석 비평
전傳이란 한 인물이 눈에 선하게 그려져야 한다 -자기 비평
시란 바람이 물체를 움직이듯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시 비평
그가 나의 그림을 알아주니 다행이다 -그림 비평
음악이 바르면 마음이 바르게 된다 -음악 비평
말하지 않는 것이 없어 왕이 꺼렸다 -정습명 비평
봄볕과 같이 따스한 사람 -인물 비평
지금 또 이 글을 해석해서 인쇄하시니 -서책 비평
평생 눈에 갖다 바쳤던 것을 입에 갖다 바칠 수밖에 -미술 비평
술에 등급이 있다면 -술 비평
이름을 대신할 것을 생각하다 -인물 비평
입맛을 다시다 -음식 비평
저의 뜻을 아십니다 -건축 비평
지리산에 올라 보면 -산 비평
친구에게 배우다 -인물 비평
책속에서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문장의 기운이 예전에 비해 훨씬 크게 일어났고, 또한 문장을 일로 삼은 선비들도 손가락으로 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
그러나 그동안 문장으로 대가(大家)를 이룬 사람은 자못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성종 임금 때는 점필재 김종직이 홀로 거닐었고, 선조 임금 때에는 간이 최립이 높은 문장의 경지에 올랐다. 유림(儒林)의 기대를 짊어진 현헌 신흠과 문단의 명성을 거머쥔 월사 이정귀는 홍문관과 예문관에 있을 때 지은 작품들이 모두 아름다웠다.
이때 계곡 장유가 또한 뒤늦게나마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 글을 지었는데, 겨룰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뛰어났다.
나는 일찍이 계곡 장유를 목은 이색과 비교해 말한 적이 있다. 문장의 규모는 목은만 못하지만 정확하고 치밀한 점은 계곡이 더 뛰어났다.
또 문장의 멋은 목은에 약간 뒤떨어지지만 이치를 밝히는 데 이르러서는 계곡이 더 나았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세상과 더불어 오르내리는 기운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것 이다.
옛날 양나라의 소명태자는 “도연명의 ‘백옥白玉’ 같은 작품에 나타나는 작은 결함은 단지 한가롭고 멋스러운 마음에서 나온 한 구실일 뿐이다.”라고 했다.
이 말은 음미해 볼 만하다. 그런데 지금 계곡을 나무라는 사람들은 왜 그토록 심하단 말인가? 개탄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김상헌, 『계곡집』 ‘계곡집에 붙여’
백 장의 습작이 있은 후에 작품 하나가 나오고
천 편의 작품이 있은 후에 걸작 하나가 나옵니다.
걸작이 못 된 나머지는 맡은 바 소임을 다했을 뿐입니다.
같은 분류의 한자를 미루어 배우지 않으면 넓게 통달하지 못하는 것이 이러하다. 이 때문에 마침내 『천자문』을 모두 배운 다음에도 한 글자도 모르는 웃지 못 할 일이 벌어진다. 『천자문』은 전답을 표시하거나 과거시험 때 글을 말아 올리는 종이로나 필요할 뿐이다. 어떻게 어린 아이를 가르치는 책 가운데 끼어들 수 있겠는가? 반드시 『이아』나 『설문』을 가르치던 옛 제도를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없다면, 서거정이 지은 『유합』을 가르치는 편이 훨씬 더 낫다.
-정약용, 『다산시문집』 ‘『천자문』에 대한 비평’
많이들 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요?
오래도록 해 오던 것이 바른 길일까요?
질문이 없으면 답도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지은 문장을 보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 사람은 스스로도 글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사람의 문장을 보고 헐뜯고 깎아내리는 일을 즐겨하는 사람은 스스로도 별로 아는 것이 없는 사람에 불과하다. 들은 것이 적고 아는 것이 부족한 사대부는 다른 사람을 헐뜯고 배척하는 일을 두고 안목이 높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문장을 비평하면서도, 그 사람이 마음속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내가 지은 글이 그 사람의 글보다 훌륭할 때 비평하면 받아들인다. 그 사람이 지은 글이 내가 일찍이 저지른 실수로 다시 하지 않게 된 것이라면, 그 비평을 마음속으로 받아들인다. 또한 그 사람이 글의 뿌리, 근거로 삼고 있는 것을 내가 이미 환하게 꿰뚫고서 하나하나 따져 깨뜨리고 아울러 근거로 삼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비평한다면 마음속으로 받아들인다. 이 세 가지 방법으로 능숙하게 비평할 수 있는 사람은 ‘거장’이라고 할 수 있다.
-홍길주, 『수여난필속』
거장은 대중과 호흡하되 아부하지 않습니다.
거장은 대중을 선도하되 군림하지 않습니다.
거장은 대중을 사랑하되 기생하지 않습니다.
거장은 대중을 존중하되 의식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