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9362992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3-02-08
책 소개
목차
머리글_격동의 시대와 탄허의 불교정신
1장_오대한 문수화엄 신앙의 특수성 고찰 | 염중섭(자현)
Ⅰ. 서론 - 성산聖山의 특수성과 원융사상
Ⅱ. 자장慈藏의 문수화엄 신앙
1. 자장의 계율戒律과 신이영응神異靈應
2. 중국오대산과 문수화엄
3. 한국오대산의 당위성
Ⅲ. 보천寶川의 문수화엄 신앙
1. 보천과 효명의 오대산 정착
2. 보천의 오대산 신앙체계
Ⅳ. 결론 - 오대산의 원융전통과 탄허택성呑虛宅成
2장_탄허택성의 생애와 사상 | 고영섭
Ⅰ. 문제와 구상
Ⅱ. 탄허택성의 불교사적 지위
1. 산악신앙의 계승자
2. 오대산문의 확립자
3. 전통의 복원과 인재의 양성자
4. 과거로 본 미래의 예지자
Ⅲ. 탄허택성의 불학사적 위상
1. 불교와 유교의 회통자
2. 불교와 도교의 소통자
3. 화엄선의 계승자
4. 불도유 삼교의 통섭자
Ⅳ. 정리와 과제
3장_한암과 탄허의 동이점 고찰 | 윤창화
Ⅰ. 서론
Ⅱ. 한암과 탄허의 공통점-동同
1. 유학자 출신
2. 선교겸수禪敎兼修, 선교일치禪敎一致
Ⅲ. 간화선看話禪, 보조선普照禪, 화엄경론華嚴經論, 화엄선華嚴禪 지향
Ⅳ. 한암과 탄허의 특성-이異
1. 한암 - 교학에서 선으로
2. 탄허 - 선에서 교학으로
Ⅴ. 한암과 탄허의 선교겸수와 당송 선종사원의 제도
Ⅵ. 맺는말
4장_탄허택성의 화엄사상 | 임상희
Ⅰ. 머리말
Ⅱ. 탄허택성의 화엄경관
1. 「화엄경」의 설시說時와 교판론敎判論
2. 삼주인과三周因果와 이종상도二種常道
Ⅲ. 통현 화엄의 수용과 전개
1. 보광명지普光明智와 일진법계一眞法界
2. 삼성원융三聖圓融과 일승보살도一乘菩薩道
Ⅳ. 맺음말
5장_탄허의 시대인식과 종교관 | 김광식
Ⅰ. 서언
Ⅱ. 입산 이전, 재가에서의 수학1913∼1934 - 민족의식, 구도의 열정
Ⅲ. 오대산 한암 회상에서 수행1934~1950 - 유불선을 회통
Ⅳ. 오대산과 영은사에서 역경 및 인재양성1951~1965 - 전통불교의 복원
Ⅴ. 도회지에서 역경을 완수, 도의교육을 강조1966~1983
Ⅵ. 결어
6장_탄허 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 김성철
Ⅰ. 한국의 정치적 암흑기에 풍미했던 탄허의 도참설
Ⅱ. 탄허의 출가 전 학문적 이력과 도참설의 근거
Ⅲ. 탄허의 도참설, 그 허와 실에 대한 종합적 분석
Ⅳ. 탄허의 도참사상 . 선의 가득한 당위의 미래학
부록
참고문헌
탄허 스님 관련자료 목록
저자 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오대산의 문수화엄에 기반한 원융적 관점은, 개창자인 자장에 의해 비롯되어 확립자인 보천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므로 원융관에 입각한 문수화엄 신앙에 대한 고찰은, 남한 유일의 성산인 오대산불교를 올바로 이해하는 중요한 입각점이 된다고 하겠다.
그리고 오대산 문수화엄과 동양사상의 원융적인 전통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근현대의 오대산 인물이 바로 탄허택성이다. 탄허 스님은 제국주의가 붕괴되고 새로운 가치관이 요구되던 격동기의 시대를 살면서 시대를 넘어서는 해법을 추구하신 분이다.
오대산의 탄허는 가야산의 성철과 함께 지난 20세기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지성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월정사를 무대로 포효한 탄허택성은 문수도량 ‘오대산의 사자’였고, 해인사를 무대로 포효한 퇴옹성철은 법보종찰 ‘가야산의 호랑이’였다. 그리하여 교敎를 주로 하면서도 선禪을 소홀히 하지 않은 탄허와 선을 주로 하면서도 교를 소홀히 하지 않은 성철은 동시대를 함께 호흡하면서 교선일
치敎禪一致 혹은 선교겸학禪敎兼學으로 언표되는 한국불교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