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암선사연구

한암선사연구

고영섭, 변희욱, 윤창화, 김호성, 김광식, 김종진, 한암사상연구원, 이상하, 인경 (지은이)
민족사
32,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250원 -10% 0원
1,620원
27,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암선사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암선사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98742485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5-05-25

책 소개

민족사학술총서 69권. 이 책은 한국불교의 대표적 사표(師表)인 한암선사의 사상과 가르침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암사상' 제1집에서 제4집에 수록된 주요 논문들을 모아 수정, 보완하여 한 권의 책으로 편찬한 것이다.

목차

발간사 … 4

1. 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一生敗闕」 …………………… 윤창화

<요약문> ………………………………………………………………………… 14
Ⅰ. 서두 … ……………………………………………………………………… 15
Ⅱ. 資料의 발견 경위 … ……………………………………………………… 16
Ⅲ. 「一生敗闕」의 作者와 筆寫者 …………………………………………… 18
1. 作 者 …………………………………………………………………… 18
2. 筆寫者 …………………………………………………………………… 19
Ⅳ. 「一生敗闕」 全文 판독 …………………………………………………… 21
1. 原 文 …………………………………………………………………… 21
2. 飜 譯 ……………………………………………………………………… 25
Ⅴ. 「一生敗闕」의 內容 분석과 漢巖의 悟道과정 ………………………… 31
Ⅵ. 呑虛 撰 「漢巖碑銘」과의 相異點 … …………………………………… 50
Ⅶ. 맺는말 … …………………………………………………………………… 52
부록 : 「一生敗闕」 年譜와 「一生敗闕」 필사본 …………………………… 54

2. 方漢岩과 曹溪宗團 ……………………………………………… 김광식

<요약문> ………………………………………………………………………… 62
Ⅰ. 서언 … ……………………………………………………………………… 64
Ⅱ. 조선불교 禪敎兩宗의 교정 ……………………………………………… 66
Ⅲ. 朝鮮佛敎 禪宗의 종정 …………………………………………………… 70
Ⅳ. 조선불교 조계종의 종정 … ……………………………………………… 76
Ⅴ. 대한불교의 종정 …………………………………………………………… 83
Ⅵ. 한암의 종정에 나타난 성격 ……………………………………………… 89
Ⅶ. 결어 … ……………………………………………………………………… 91

3. 한암의 건봉사결사와 念佛參禪無二論 ……………… 김호성

<요약문> ………………………………………………………………………… 96
Ⅰ. 머리말 ……………………………………………………………………… 98
Ⅱ. 『寒巖禪師法語』의 사료적 가치 ………………………………………… 101
Ⅲ. 건봉사, 염불결사에서 수선결사로 ……………………………………… 107
Ⅳ. 염불과 참선의 둘이 아닌 관계 ………………………………………… 115
1. 염불과 참선에 대한 정의 ……………………………………………… 117
2. 염불과 참선의 무이론(無二論) ……………………………………… 121
(1) 자성미타와 염불선 ……………………………………………… 121
(2) 고성염불 비판 ……………………………………………………… 125
Ⅴ. 맺는말 … …………………………………………………………………… 132

4. 漢岩의 一鉢禪 ……………………………………………………… 고영섭

<요약문> ………………………………………………………………………… 140
Ⅰ. 문제와 구상 ………………………………………………………………… 143
1. ‘반고씨 이전’과 ‘참다운 성품’ ……………………………………… 147
2. 천고의 학과 삼춘의 앵무새 ………………………………………… 150
Ⅱ. 율사와 선사의 살림살이 ………………………………………………… 159
1. 質直한 성품과 高明한 학문 ………………………………………… 159
2. 유장한 선풍과 활달한 교풍 ………………………………………… 163
3. 守拙의 살림살이 … …………………………………………………… 171
Ⅲ. 일발선풍의 지형도 ………………………………………………………… 175
1. 一鉢의 함의 … ………………………………………………………… 175
2. 물러나는[藏?] 참여 ………………………………………………… 176
3. 나아가는[巧語] 침묵 ………………………………………………… 180
4. 胸襟과 把?의 활구 …………………………………………………… 183
Ⅳ. 정리와 맺음 ………………………………………………………………… 186
1. 법화와 행리의 응축 …………………………………………………… 186
2. 장종과 교어의 확산 …………………………………………………… 187

5. 漢岩禪師의 서간문 고찰 …………………………………… 윤창화

<요약문> ………………………………………………………………………… 190
Ⅰ. 서두 ………………………………………………………………………… 191
Ⅱ. 서간문의 개요와 성격 …………………………………………………… 192
Ⅲ. 각 서간문 고찰 …………………………………………………………… 194
Ⅳ. 맺는말 ……………………………………………………………………… 250

6. 寒巖禪師의 「參禪曲」 …………………………………………… 김종진

<요약문> ………………………………………………………………………… 254
Ⅰ. 머리말 ……………………………………………………………………… 257
Ⅱ. 서지적 고찰 ………………………………………………………………… 259
1. 『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 ……………………………… 260
2. 『寒巖禪師法語』의 편찬의식과 사회역사적 맥락 ………………… 264
3. 「참선곡」의 작자?발기인?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 268
Ⅲ.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 ………………………………………… 273
1. 「회심곡」 「자책가」 「백발가」와의 상호텍스트성 …………………… 275
2. 『수심결』 및 경허가사와 한암 법문과의 상호텍스트성 … ……… 278
3. 불교가사의 구성 원리와 상호텍스트성 … ………………………… 287
Ⅳ. 맺는말-문화사적 의의 …………………………………………………… 290

7. 漢巖禪師의 看話禪思想 … ……………………………………… 인경

<요약문> ………………………………………………………………………… 294
Ⅰ. 머리말 … …………………………………………………………………… 296
Ⅱ. 전편의 체계와 사상 … …………………………………………………… 297
1. 체계 ……………………………………………………………………… 298
2. 思想 ……………………………………………………………………… 301
Ⅲ. 후편의 체계와 사상 … …………………………………………………… 306
Ⅳ. 맺는말 … …………………………………………………………………… 315

8. 漢巖의 宗祖觀과 道義國師 ………………………………… 김광식

<요약문> ………………………………………………………………………… 318
Ⅰ. 서언 … ……………………………………………………………………… 321
Ⅱ. 1910~1920년대 종조문제의 인식 ……………………………………… 323
Ⅲ. 한암의 종조관 피력 … …………………………………………………… 331
Ⅳ. 결어 … ……………………………………………………………………… 339

9. 鏡虛의 지음자 漢岩 ……………………………………………… 윤창화

<요약문> ………………………………………………………………………… 346
Ⅰ. 서두 … ……………………………………………………………………… 348
Ⅱ. 경허와 한암의 조우(遭遇) ……………………………………………… 348
1. 첫 번째 만남 … ………………………………………………………… 348
2. 두 번째 만남 … ………………………………………………………… 357
3. 세 번째 만남 … ………………………………………………………… 357
Ⅲ. 경허의 인가(印可) ………………………………………………………… 362
Ⅳ. 경허의 지음자 한암 … …………………………………………………… 364
Ⅴ. 한암의 경허 승화(昇華) 작업 …………………………………………… 372
Ⅵ. 맺는말 … …………………………………………………………………… 380

10. 한암의 格外關門과 看話 …………………………………… 변희욱

<요약문> ………………………………………………………………………… 384
Ⅰ. 한암의 선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 …………………………………… 386
Ⅱ. 敎外別傳 …………………………………………………………………… 388
Ⅲ. 無說法門과 격외지 … …………………………………………………… 393
Ⅳ. 一句法門과 간화, 그리고 격외지 … …………………………………… 397
Ⅴ. 경허와 한암의 간화 인연 ………………………………………………… 402
Ⅵ. 관문 ‘경허’와 ‘한암’을 돌파하는 법 … ………………………………… 411
1) 한암이 던진 관문 … ………………………………………………… 411
2) 어떻게 경허와 한암의 선을 새길 것인가? ………………………… 411
3) 어떻게 해야 선지식의 의도에 사무칠 수 있을까? … …………… 414

11. 한암 선사의 선문답과 공안 ……………………………… 윤창화

<요약문> ………………………………………………………………………… 418
Ⅰ. 선문답의 의의와 역할 … ………………………………………………… 420
Ⅱ. 선문답의 성격과 그 분류 ………………………………………………… 423
Ⅲ. 한암 선사의 선문답 … …………………………………………………… 425
Ⅳ. 맺는말 … …………………………………………………………………… 465

12. 한암과 만공의 同異, 그 행적에 나타난 불교관 …… 김광식

<요약문> ………………………………………………………………………… 470
Ⅰ. 서언 … ……………………………………………………………………… 472
Ⅱ. 한암과 만공의 행적 … …………………………………………………… 476
Ⅲ. 한암 및 만공 노선의 성격 … …………………………………………… 481
1. 종단관 …………………………………………………………………… 482
2. 교육관 …………………………………………………………………… 487
3. 개혁관 …………………………………………………………………… 494
Ⅳ. 한암 및 만공 가르침의 특성 … ………………………………………… 501
Ⅴ. 결어 ………………………………………………………………………… 508

13.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와 변모 양상 … …… 이상하

<요약문> ………………………………………………………………………… 512
Ⅰ. 머리말 … …………………………………………………………………… 514
Ⅱ.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 ……………………………………………… 515
Ⅲ. 『경허집』 漢巖筆寫本과 禪學院本의 차이 …………………………… 521
1) 한암필사본에만 있는 작품 …………………………………………… 522
2) 선학원본에만 있는 작품 : 73제 98수 ……………………………… 523
3) 선학원본에서 제목에 글자 출입만 있는 경우 … ………………… 524
4) 제목과 편차가 달라진 경우 … ……………………………………… 525
Ⅳ. 『경허집』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 …………………………………… 529
Ⅴ. 맺는말 … …………………………………………………………………… 538

14. 漢巖과 呑虛의 불교관 … …………………………………… 고영섭

<요약문> ………………………………………………………………………542
I. 문제와 구상 … …………………………………………………………… 545
II. 생사와 해탈의 통로 … …………………………………………………… 549
III. 한암과 탄허 가풍의 동처 ………………………………………………… 555
1. 한암의 일발 선풍 ……………………………………………………… 556
2. 탄허의 향상일로 선풍 ………………………………………………… 563
IV. 한암과 탄허 가풍의 부동처 … ………………………………………… 568
1. 한암의 해탈관 … ……………………………………………………… 569
2. 탄허의 생사관 … ……………………………………………………… 574
V. 오대산문의 살림살이 ……………………………………………………… 580
VI. 정리와 맺음 ………………………………………………………………… 585

저자소개

고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서울 보성고 졸업 동국대학 불교학과(불교학 인도철학) 졸업 동국대학 대학원 석박사(인도불교 한국불교) 졸업 고려대학 철학과 대학원(동양철학 한국철학) 박사수료 미국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연구학자 역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외국인연구원 역임 동국대, 서울대, 서울대대학원, 서울시립대, 강원대, 한림대 외래교수 역임 사)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역임 한국불교사학회 회장 겸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 교수 (현재) 유튜브: 고영섭교수의 문사철대학 한국불교사연구소TV 『한국사상사』, 『한국의 불교사상』, 『한국불교사』, 『한국불학사』(3책), 『붓다와 원효의 철학』,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분황 원효』,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2책), 『분황원효불교사상사』 등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사 관련 논저 다수
펼치기
변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 현재 조계종 수좌회 禪연구원 책임연구원. 『간화선 수행의 성찰과 과제』(조계종출판사, 2007), 『몸, 마음공부의 기반인가 장애인가』 (운주사, 2009), 『마음과 철학: 불교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등을 공저하였다. 번역서로 『평화의 씨앗』(정토출판, 2001)이 있다. 『大慧看話禪연구』(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看話의 철학: 실제와 원리」(『보조사상』, 2010),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교외별전의 해석학」 (『철학사상』, 2015), 「‘拈花微笑’의 재발견」(『동양철학』, 2017), 「선, 낯설게 다가가기: 대혜의 질문으로 되물어보기」(『禪學』, 2018) 외에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펼치기
윤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평창 출신. 1965년 오대산 월정사로 입산하여 약 13년간 출가 생활을 했다. 8년 동안 월정사 조실 탄허 큰스님 시봉을 하면서 학문의 세계와 만나게 되었다. 1972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13회), 1999년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한국고전번역원)을 졸업했다. 1980년 불교 전문출판사인 민족사를 만들어 42년째 불교책을 내고 있다. ‘창화’는 탄허 큰스님으로부터 받은 수계명이다. 논문으로 「해방 후 역경의 성격과 의의」, 「한암의 자전적 구도기 일생패궐」, 「한암 선사의 서간문 고찰」, 「무자화두 십종병에 대한 고찰」, 「경허의 지음자 한암」, 「성철 스님의 오매일여론 비판」, 「경허의 주색과 삼수갑산」 등이 있고, 저서로는 『왕초보, 선 박사 되다』, 『근현대 한국불교 명저 58선』, 『당송시대 선종 사원의 생활과 철학』, 『선불교』, 『불교 사자성어』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인도철학과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가르치고 있다. 일본의 대학 세 곳에서 세 차례 방문연구를 하였다. 그동안 펴낸 책에 대해서는 부록에 정리한 바와 같고, 논문은 「백화도량발원문의 이해에 대한 성찰 ―결락된 부분의 복원에 즈음하여―」을 비롯하여 110여 편을 발표하였다. 2017년 『나무아미타불』을 번역하면서, “신앙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정토로 회향하겠다”고 마음먹었다. 정토불교를 알리고자 ‘편지’를 써서 이메일로 발송하고 있다.
펼치기
김광식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독립기념관 책임연구원, 부천대 교수, 만해마을 연구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근대불교사연구』, 『한국현대불교사연구』 등 50여 권의 저서가 있으며 만해학회 회장, 한국정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유심작품상(학술), 불교평론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 〈불교가사 유통 연구〉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 불교문학의 여러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불교가사의 연행과 전승》, 《불교가사의 계보학 그 문화사적 탐색》, 《한국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근대불교잡지의 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988년 현호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동국대학교에서 ‘몽산덕이夢山德異와 고려 후기 선사상 연구’로 1999년 박사학위 취득했으며 현재 목우선원장을 비롯한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등 소임을 맡아 명상과 상담을 주제로 한 다양한 활동에 진력하고 있다. 특히 목우선원에서 위빠사나와 명상, 간화선을 접목시킨 명상을 통해 후학들을 지도하고 있다. 선의 대중화를 위해 호흡, 느낌 명상, 마음 관찰, 현상 관찰, 내면의 아이 만나기, 간화선이라는 6단계 명상수련 프로그램을 지도하면서 누구나 일상에서 분노를 내려놓고 참나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화두명상에 집중할 수 있다고 강설하고 있다.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과 『쟁점으로 살펴보는 간화선』 등의 저술을 통해 간화선과 관련된 쟁점들을 정리해왔다. 간화선과 관련된 석박사를 거쳐 목우선원을 개원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위빠사나, 명상, 심리상담과 관련된 논문이 50여 편 있다. 지은 책으로는 『몽산덕이와 고려 후기 선사상 연구』 『염지관 명상, 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기』 『현재, 이 순간에 머물기』 등이 있다.
펼치기
한암사상연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상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상임연구원 졸업 조선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수(現) [논문 및 역서] 논문 <한문고전 문집번역의 특성과 문제점>, <≪주자서절요≫가 조선조에 끼친 영향>, <퇴계⋅남명의 시와 대조적인 학문성향> 등 역서 ≪挹翠軒遺稿≫, ≪月沙集≫, ≪容齋集≫, ≪鵝溪遺稿≫, ≪石洲集≫ 등 공역 ≪寒洲 李震相의 主理論 硏究≫, ≪冷淡家計≫, ≪儒學的 思惟와 韓國文化≫(공저) 등
펼치기

책속에서

(<선문답 21조>의) 전편을 보면, 간화선의 사상적인 기초로 동북아시아에 널리 알려진 <기신론>의 생멸심과 진여심이라는 마음의 이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화두의 참구과정을 空寂과 靈知라는 관점에서 해명한 점, 반조와 간화를 상호보완 관계로 이해한 점은 한암선사가 전통적인 한국 간화선 전통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후편은 송대 간화선의 중심된 과제들을 포함하는 나옹화상의 <공부십절목>에 대한 질문과 그에 따른 선사의 대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편에서는 매우 친절한 혹은 쉽게 일상어로 응답을 했다면, 후편은 전문수행에게 쟁점이 된 입문삼구, 삼분단공부, 삼관어 등에 대한 응답으로, 곧장 직입하는 길을 선택한 점에서 분위기가 전편과는 사뭇 다른 형태를 취한다. 이것은 논리적인 설명보다는, 깨닫는 근본자리에서 곧장 본래면목의 당체 그 자체를 드러낸다. 이런 점은 한암선사가 조사선의 가풍을 잘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선문답을 통해 본 한암선사의 禪風은 조사선풍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선문답에서 사용하고 있는 禪語를 보면 ‘아시송뇨(屎送尿),’ ‘적과후장궁(賊過後張弓),’ ‘끽요삼십방(喫了三十棒),’ ‘적양화 적양화(摘楊花 摘楊花),’ ‘석인목계(石人木),’ ‘노봉달도인(路逢達道人)’ 등으로, 주로 唐末五代 조사선에서 사용했던 禪語라는 것이다.


경허는 이어 “서로 알고 지내는 사람은 천하에 가득하지만, 진실로 지음자는 몇 명이나 있겠는가? 아……. 한암이 아니면 내 누구와 더불어 지음자가 되리오(相識滿天下, 知心能幾人. 微遠開士, 吾孰與爲知)”라고 하여 한암을 ‘知心者,’ ‘知音’ 등으로 부르고 있다. 경허화상이 한암을 흠모했던 것은 그의 표현대로 “性行이 질박하고 곧으며 학문이 고명(性行質直, 學問高明)”했기 때문이었다. 그 밖에도 “與之冬寒際, 其相得世(深甚相得也)”라든가, “日夕治行相送, 其煙雲朝暮, 山海遠近者, 盡不無攪動近送之懷.” 등의 표현은 한암과의 이별을 앞둔 심정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