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정기문, 김한종, 임기환, 김병준, 홍성구, 김중락, 이종서, 박평식 (지은이)
책과함께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9773521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3-05-16

책 소개

현재 역사학의 성장에 비하면 우리 역사교육의 시점은 과거의 성과에 머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취지에 동감한 연구자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집약하고 역사교육의 콘텐츠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목차

책을 내면서

1장 서양고중세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서양고중세 연구의 성과 /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고대사 교육 현황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중세사 교육 현황 / 맺음말

2장 서양근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시대별 한국서양사학의 동향과 성과 / 탈유럽중심주의와 비교사, 교류사, 지구사의 등장
교육과정과 서양근현대사 연구성과의 반영 / 서양사 연구와 교육을 위한 제언 / 맺음말

3장 동양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세계사교과서 서술
머리말 / 중국고대사 연구성과와 교과서 기술 / 교과서의 서술 원칙 분석 / 맺음말

4장 동양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의 세계사 관련 주요 특징
북방 유목민족에 대한 새로운 연구시각과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 맺음말

5장 한국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머리말 / 역사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검토 /최근 한국고대사의 연구동향과 성과
한국고대사 관련 주요 주제와 교과서 서술 방향의 모색 / 맺음말

6장 고려시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머리말 /성취 기준과 집필 기준 분석 / 8종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 맺음말

7장 한국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머리말 / 1960~197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 1980~199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21세기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의 방향 / 맺음말

8장 한국근현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머리말 / 근대 민족운동의 흐름 / 식민지 조선 사회의 성격과 토지조사사업
일제하 민족해방운동 / 해방과 신국가 건설 / 박정희 정부 시기의 경제성장 /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기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서양 사학과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대제의 경제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군산대학교 역사철학부 역사 전공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로마사 전공자로 30여 년간 서양고대사를 공부해 왔습니다. 지은 책으로 《역사 이야기를 읽는 밤》, 《역사학자 정기문의 식사(食史)》, 《역사는 재미 난 이야기라고 믿는 사람들을 위한 역사책》, 《왜 로마 제국은 기독교를 박해했을까?》, 《교회가 가르쳐주지 않은 성경의 역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공간과 시간의 역사》, 《종말의 역사》, 《교양, 다시 읽기》, 《청소년의 역사 1》, 《지식의 재발견》, 《고대 로마인의 생각과 힘》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한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퇴직하여 명예교수이다. 역사교육 연구의 학문적 체계화와 사회적 적용을 목표로 역사인식과 역사적 사고, 역사수업과 교사,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등 역사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문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역사적 상상과 역사교육》,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역사수업의 원리》,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역사교과서 국정화, 왜 문제인가》,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 《학교사로 읽는 일본근현대사》(공역),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거》(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임기환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동북아역사재단, 2022), 「고구려 멸망기 신라의 군사활동」(『한국사학보』 90, 2023), 「고구려와 당 최후의 전쟁 과정 복원 시론」(『한국사학보』 86, 2022), 「한국사 교과서 서사의 비판적 전망」(『역사교육논집』 80, 2022), 「桂婁部의 성립과 國內 遷都 試論」(『역사문화연구』 77, 2021)
펼치기
김중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학부, 석사과정에서 역사를 읽었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역사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사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 영국사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연구분야는 스코틀랜드 교회사, 웨스트민스터 총회, 청교도, 영국혁명, 결투, 마녀 등이다.
펼치기
이종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사를 전공하여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고려~조선시대의 사회사, 사상사, 주거건축사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 있다. 저서로 『고려·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이 있고 다수의 공저가 있으며, 그 외에 「고려후기 이후‘동기’이론의 전개와 혈연의식의 변동」, 「조선 전기와 후기의 혈연의식 비교」, 「홍성 “노은리 고택”의 건축 시기와 가구(架構)의 원형 고찰」등 2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평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이다. 대표논저로 《朝鮮前期商業史硏究》(지식산업사, 1999), 《朝鮮前期 交換經濟와 商人 硏究》(지식산업사, 2009), 〈高麗時期의 開京市廛〉, 〈高麗後期의 開京商業〉, 〈朝鮮初期의 檀君과 古朝鮮 認識〉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