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6325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9-07-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_ 스포츠 지도자의 핵심 역량 ‘코칭’
1. 코칭의 역사와 개념
2. 왜 코칭인가
3. 코칭의 차별성
4. 스포츠 코칭이 유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5. 숨은 능력을 끌어내는 코칭
2장_ 이너게임 vs. 아우터게임
1. 이너게임
2. 일방적인 티칭의 문제
3. 이너게임의 3요소
4. 아우터게임
5. 성장을 촉진하는 아우터게임 ‘피드백’
3장_ 최고의 에너지 관리자 ‘코치’
1. 감정 상태가 성과를 관리한다
2. 생존 모드가 불러온 최악의 상황
3. 생존 모드에서 벗어나는 길
4. 열정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5. 재능이 아니라 노력을 칭찬하라
4장_ 스포츠 심리학과 코칭
1. 동기관리
2. 선수의 주도성
3. 코칭 스킬과 주도성 증진
4. 유기적 통합 이론과 코칭
5. 정서와 변화에 대한 필요성 인식
5장_ 코칭 스킬 훈련
1. 코칭 철학
2. 질문 스킬
3. 경청 스킬
4. 피드백 스킬
5. 코칭은 스킬로 완성된다
6장_ 코칭 프로세스 ‘GROW’
1. 코칭 프로세스
2. Goal : 목표 설정
3. Reality: 현재 상황 파악
4. Option: 대안 탐색
5. Will: 실행계획 수립
7장_ 유명 스포츠 지도자들의 코칭 리더십
1. 신뢰와 소통
2. ‘파파 리더십’ 박항서 감독
3. ‘따뜻한 독종’ 서거원 감독
4. 코치의 두 가지 역할
5. Practice, Practice, 또 Practice
참고문헌 · 254
책속에서
부치 하먼은 세계적인 골퍼 타이거 우즈의 코치다. 어느 기자가 하먼에게 물었다.
“세계 최고의 골퍼에게 당신은 어떻게 코칭을 합니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물론 우즈가 골프를 잘 치니 가르칠 게 없습니다. 하지만 내 일은 우즈에게 많은 질문을 하고, 다음 시합의 이미지를 확실히 그려볼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처럼 코칭은 일방적으로 답을 강요하거나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제 스포츠 분야의 지도자들도 선수들이나 교육생들을 관리하고 감독하기보다는 자발성을 이끌어내고 스스로 정한 목표를 향해 행동할 수 있도록 촉진제 역할을 하는 코치로서의 역할이 필요한 때다.
<1장. 스포츠 지도자의 핵심 역량 ‘코칭’> 중에서
선수는 오히려 전통적인 지시와 통제 학습 방법에 심리적으로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학습의 선택권을 갖게 되면 선수는 거의 저항하지 않는다. 자연계에서 모든 생물은 누군가가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면 그것에 본능적으로 저항한다. 인간도 그렇다. 저항 행동은 때로는 직접적이고 때로는 간접적이지만 어떤 형태든 간에 목표 달성을 방해한다.
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려는 근본적인 욕구가 있다. 그것을 제한하고 빼앗으면 신뢰는 무너진다. 어린아이들도 의사결정권을 빼앗으면 바로 반발한다. 그러나 반대로 자신이 결정을 내린 일에 대해서는 위험도 감수하게 된다. 이 점이 중요하다.
명령과 통제에 익숙해진 선수들은 선택의 자유가 주어질 때 종종 당황스러워한다. 그러나 자신이 어떤 것을 선택해도 코치가 그것에 대해 잘했다거나 잘못했다는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의사결정자로서 자신의 입장을 수용하고 결정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게 된다.
<2장. 이너게임 vs. 아우터게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