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피터 오스터비르, 데이비드 A. 소넨펠드 (지은이), 정혜경, 김철규, SSK 먹거리와 지속가능성 연구팀, 김흥주, 박민수, 송인주 (옮긴이)
따비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843917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5-06-20

책 소개

저자는 지구화 시대의 먹거리 생산과 공급이 해결해야 할 이슈는 무엇인지, 다음 세대까지 먹여 살릴 수 있는 지속가능성은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지, 현재의 먹거리체계를 변혁할 수 있는 주체들은 누구인지 살펴본다.

목차

옮긴이 서문 1 4

1장 서론
들어가며 ··········17
배경 ··········19
개관 ··········21
나가며 ··········28

1부 ·개념적 배경

2장 지구화, 먹거리 생산과 소비
들어가며 ··········33
지구화 ··········34
먹거리의 지구화에 대한 핵심적인 개념틀 ··········40
정치경제학과 네트워크 시각 결합하기 ··········52
나가며 ··········64

3장 먹거리 생산과 소비의 지속가능성
들어가며 ··········66
현대의 농업과 환경: 개념적 배경 ··········67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점 ··········71
현대 농업과 지속가능성: 몇 가지 문제점 ··········77
환경영향의 측정: 전과정평가 ··········90
생태발자국 ··········97
나가며 ··········98

4장 세계 네트워크 사회에서 먹거리 규제하기
들어가며 ··········101
국민국가와 식품규제 ··········102
국제 먹거리 체제들: WTO ··········109
다중 행위자 협력 ··········114
다중 행위자 거버넌스 개념화하기 ··········118
먹거리거버넌스에 있어서 사회적 행위자들의 역할 변화 ··········123
나가며 ··········126

2부 ·사례 연구

5장 먹거리공급과 기후변화
들어가며 ··········131
먹거리공급과 기후변화의 관계에 관한 배경정보 ··········133
개발도상국에서 예상되는 기후변화 영향 ··········139
농업, 먹거리,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정책도구 ··········142
이산화탄소 감축전략이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영향 ··········156
나가며 ··········157

6장 로컬푸드 공급
들어가며 ··········161
로컬푸드의 확산 ··········163
로컬푸드를 지지하는 논의들 ··········177
비판적인 관점 ··········184
나가며 ··········192

7장 공정무역: 시장에서 소비자신뢰를 주고받기
들어가며 ··········195
역사적 배경 ··········196
공정무역의 목표와 표준 ··········199
공정무역 먹거리 판매와 소비자들 ··········211
공정무역의 영향 ··········217
공정무역의 도전 ··········220
나가며 ··········224

8장 지속가능한 수산물공급
들어가며 ··········227
지구적 수산업공급 ··········228
수산업관리 ··········235
나가며 ··········256

3부 ·미래 전망

9장 지속가능한 먹거리공급을 위한 생산자의 역할
들어가며 ··········261
먹거리 생산자, 먹거리정치 그리고 먹거리 공급사슬 ··········262
산업적 먹거리로부터 멀어지기 ··········271
유기농업 ··········273
소농과 국제 먹거리무역: 축복인가 저주인가? ··········284
나가며 ··········289

10장 먹거리공급의 구조조정: 슈퍼마켓과 지속가능성
들어가며 ··········292
슈퍼마켓의 성장 ··········293
기업의 소매권력 ··········296
다각적 소매전략 ··········303
슈퍼마켓과 신선과채의 수출 ··········315
기업의 사회적 책임 ··········318
나가며 ··········321

11장 지속가능한 먹거리공급에서 소비자의 참여
들어가며 ··········324
지구적 현대성에서의 먹거리소비 ··········326
사회이론에서 먹거리소비 ··········328
지속가능한 먹거리소비 ··········338
지속가능한 먹거리소비 장려하기 ··········343
지속가능한 식단 ··········353
나가며 ··········355

12장 결론
들어가며 ··········357
연구의 1차적 결과 ··········358
먹거리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의제 ··········374
미래의 먹거리 의제에서 사회과학의 기여 ··········385
마치며 ··········387

참고문헌 ··········389
찾아보기 ··········424
옮긴이 소개 ··········430

저자소개

피터 오스터비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교 사회과학부 환경정책그룹 부교수로, 동 대학교에서 2005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지구화와 먹거리 생산 및 소비의 지속가능성으로, 특히 라벨링(표시제)이나 인증을 포함하여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농식품의 글로벌 공공·민간 거버넌스에 관심을 갖고 있다. 과거와 달리 정부규제만으로 농식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에서 민간과 시민사회 행위자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데, 그런 변화가 공급사슬의 조직화나 여러 사회행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A. 소넨펠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대학의 사회학 및 환경정책 전공 교수이다. 1996년 산타크루즈의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워싱턴주립대학교의 지역환경 연구부교수를 지냈다. 와게닝겐대학교 환경정책연구센터의 환경정책그룹 정기 객원교수이기도 하다. 환경사회과학, 발전사회학(동남아시아), 역사·현지조사방법론 등을 전공했고, 산림산업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Ecological Modernisation Around the World: Perspectives and Critical Debates(2000), Challenging the Chip(2006)의 공동편집자다.
펼치기
정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늘 소설 읽기를 좋아하다 소설 속 음식 이야기를 엮은 이 책으로 꿈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객원교수로 음식 인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회장과 대한가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학에서 서구 영양학을 공부했지만 한식 요리를 배우면서 한국 음식 문화와 역사 그리고 과학성에 매료되었다. 30년 이상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한국의 밥, 채소, 고기와 생선, 장, 전통주 문화에 관한 연구와 고조리서 연구, 종가음식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음식 연구를 지속해 왔다. 이 밖에도 한식의 과학화를 위해 김치 품질 측정기, 기능성 솔잎 맛김, 한방맥주, 닭발을 이용한 전약 제조 등 제품 특허를 받기도 했다. 《서울의 음식문화》를 시작으로 《한국음식 오디세이》(2007 세종도서 교양부문), 《천년 한식 견문록》, 《정혜경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 음식 이야기》, 《조선 왕실의 밥상》(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등을 썼고, ‘음식 4부작’으로 《밥의 인문학》(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채소의 인문학》(2018 국립도서관 사서 추천), 《고기의 인문학》(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다음식의 인문학》을 펴냈다. 이 밖에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세계의 한식을 맛보다》 등 식문화에 관한 글을 여럿 썼으며 공저로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인에게 장은 무엇인가》, 《한국인에게 막걸리는 무엇인가》, 《식생활 문화》, 《선비의 멋 규방의 맛》, 《한국 음식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중구에서 태어난 서울 토박이다. 농업의 ‘농’ 자도 모르다가 농업?농촌?농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유학 중 미국의 대외 정책과 농지개혁 관련 석사학위 논문을 쓰면서부터다. 계속해서 남한 자본주의 발전과 농업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거시적 시각에서 농업 문제를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보다 미시적인 먹거리 문제로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인의 먹거리 소비 변화가 세계 식량체제 및 남한 개발주의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사회사적으로 풀어가는 중이다. 앞으로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의 먹거리 소비 변화를 사회변동의 틀에서 비교하는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먹는가가 전체 먹거리체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으며, 강의를 통해서 ‘생각하며 먹기’와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학회 감사, 아시아농촌사회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술로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공저, 2017), 《석유식량의 종언》(공역, 2016),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2015, 공저), 《환경사회학: 자연과 사회의 만남》(공저, 2015), 《새로운 농촌사회학》(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SSK 먹거리와 지속가능성 연구팀 (옮긴이)    정보 더보기
SSK(Social Science Korea)는 한국 사회과학의 국가사회 발전에 대한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학술연구지원사업이다. SSK 먹거리 지속가능성 연구단(단장 김흥주 원광대 교수)은 먹거리를 둘러싼 문제들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 교수 5명, 외국인 교수 3명, 전임연구교수 2명, 연구보조원 5명, 행정인력 1명 등 총 16명의 전문인력이 연구단을 구성하고 있다(www.susfood.kr).
펼치기
김흥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학사, 석사, 박사) 현재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교수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2021~현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사회공헌인증심의위원회 위원(2019~현재)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먹거리지속가능성연구단장(2010~2021) 한국사회복지학회 운영이사(2011~2012) 서울시 친환경무상급식심의위원회 부위원장(2012~2015)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관 현장평가위원(제5기, 제6기, 제7기) 기초 푸드뱅크사업 현장평가위원(2012년) 전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2015~2019) 저역서: 새로운 농촌사회학(2012), 사회복지조사방법론(2021), 사회적경제와 공공성(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펼치기
박민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또한 강원도 홍천에 있는 밝은누리움터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밝은누리움터에는 대안중학교인 생동중학교와 고등대학통합과정인 삼일학림이 있다. 국가, 자본의 힘을 벗어난 삶을 구성한 자치운동과 마을공동체 운동에 관심이 있다.
펼치기
송인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박사로 원광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에 있으며, 시간강사를 겸하고 있다. 현대 농업/생태/기술체계의 역사적 변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논문으로 〈농업의 산업화와 한국의 ‘축산혁명’〉,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 쟁점과 성격〉, 〈소비주의 식생활양식의 형성: 미국의 대량육식 문화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