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대안)

정혜경, 김철규, 박동범, 윤병선, 김흥주, 송인주, 송원규, 안윤숙, 이해진, 이현진 (지은이)
따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3918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한국의 농업과 먹거리를 한국의 연구자들이 분석한 책. 한국 농식품체계가 위치해 있는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을 짚어보고 현재 상황을 진단한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안 농식품운동의 주요 쟁점과 현황을 점검하면서 대안적 먹거리체계의 가능성과 실천과제를 검토한다.

목차

책을 내며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4

1부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1장 현대사회의 먹거리와 농업: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 ·김철규
들어가며 … 17
현대 농식품체계와 사회학적 상상력 … 18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 21
세계화와 기업식량체제 … 24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개념 … 26
맺음말: 먹거리시민과 먹거리정치 … 33

2장 한국 농업근대화의 사회정치적 기원과 귀결 ·박동범
들어가며 … 36
근대식민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의 자본주의적 재조직화 … 38
발전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근대화’ 구상의 국제적 확산 … 45
세계화 프로젝트의 흥망과 대안농업의 지구정치 … 54
나가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64

2부 한국 농식품체계의 특징
3장 한국 농업의 전개와 농업·농촌의 변화 ·송원규
한국 농업의 전개 … 71
한국 농업의 산업화와 농업·농촌의 변화 … 75
한국 농업구조 변화의 결과: 농업·농촌의 위기 … 81
농업·농촌의 새로운 움직임 … 87

4장 식품산업과 한국의 기업식량체계 ·송인주
자본주의와 식품산업 … 90
기업식량체계와 식품안전 문제 … 93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 과정 … 105
기업식량체계와 한국사회의 먹거리불안 … 118

5장 한국사회의 먹거리아노미와 한식문화 ·정혜경
음식과 문화 … 126
현대의 음식문화 아노미 … 128
한국 음식문화의 변화와 먹거리정책의 대응 … 138
대안음식으로서 ‘한식’의 가치 … 145
한국 음식문화의 미래 … 149

3부 먹거리체계의 대안을 찾아서
6장 먹거리정치: 담론과 실천 ·이해진
왜 먹거리정치인가? … 155
식량안보 담론의 정치 … 162
식량주권 운동의 정치 … 170
식품안전과 소비의 정치 … 176
먹거리시민권 정치와 주체 형성 … 183
대안 먹거리정치를 향해 … 190

7장 먹거리복지와 공공급식 ·김흥주 · 안윤숙 · 이현진
먹거리복지란 무엇인가 … 196
먹거리양극화 문제 … 201
공공급식의 실태와 문제 … 208
실천과제 … 222

8장 한국의 대안 농식품운동 ·윤병선
문제제기 … 226
대안농업 운동 … 229
생활협동조합 운동 … 233
로컬푸드 운동 … 237
새로운 시도들과 대안 농식품운동 … 242

지은이 소개 … 246
찾아보기 … 248

저자소개

정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늘 소설 읽기를 좋아하다 소설 속 음식 이야기를 엮은 이 책으로 꿈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객원교수로 음식 인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회장과 대한가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학에서 서구 영양학을 공부했지만 한식 요리를 배우면서 한국 음식 문화와 역사 그리고 과학성에 매료되었다. 30년 이상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한국의 밥, 채소, 고기와 생선, 장, 전통주 문화에 관한 연구와 고조리서 연구, 종가음식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음식 연구를 지속해 왔다. 이 밖에도 한식의 과학화를 위해 김치 품질 측정기, 기능성 솔잎 맛김, 한방맥주, 닭발을 이용한 전약 제조 등 제품 특허를 받기도 했다. 《서울의 음식문화》를 시작으로 《한국음식 오디세이》(2007 세종도서 교양부문), 《천년 한식 견문록》, 《정혜경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 음식 이야기》, 《조선 왕실의 밥상》(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등을 썼고, ‘음식 4부작’으로 《밥의 인문학》(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채소의 인문학》(2018 국립도서관 사서 추천), 《고기의 인문학》(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다음식의 인문학》을 펴냈다. 이 밖에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세계의 한식을 맛보다》 등 식문화에 관한 글을 여럿 썼으며 공저로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인에게 장은 무엇인가》, 《한국인에게 막걸리는 무엇인가》, 《식생활 문화》, 《선비의 멋 규방의 맛》, 《한국 음식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중구에서 태어난 서울 토박이다. 농업의 ‘농’ 자도 모르다가 농업?농촌?농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유학 중 미국의 대외 정책과 농지개혁 관련 석사학위 논문을 쓰면서부터다. 계속해서 남한 자본주의 발전과 농업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거시적 시각에서 농업 문제를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보다 미시적인 먹거리 문제로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인의 먹거리 소비 변화가 세계 식량체제 및 남한 개발주의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사회사적으로 풀어가는 중이다. 앞으로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의 먹거리 소비 변화를 사회변동의 틀에서 비교하는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먹는가가 전체 먹거리체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으며, 강의를 통해서 ‘생각하며 먹기’와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학회 감사, 아시아농촌사회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술로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공저, 2017), 《석유식량의 종언》(공역, 2016),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2015, 공저), 《환경사회학: 자연과 사회의 만남》(공저, 2015), 《새로운 농촌사회학》(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박동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사회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지역먹거리/로컬푸드의 사회정치적 저변이 두터워짐으로써, 개인과 지역 주민들의 살림살이가 개별 국민국가 사이를 가로질러 광역적·지구적 규모로 어떻게 바뀌고 더 나아질 수 있을지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시간의 비교사회학》(공역)이 있다.
펼치기
윤병선 (도움글)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경제통상학과 교수이며, 유엔농민권리선언포럼 대표를 역임했다. 저서로 《농업과 먹거리의 정치경제학》(울력, 2015), 《푸드플랜―농업과 먹거리의 대안 모색》(울력, 2020), 《농민권리선언의 이해》(한국농정, 2022)가 있으며, 공역서로 《이윤에 굶주린 자들》(울력, 2006)(Fred Magdoff eds, Hungry for profit, Monthly Review, 2000), 《농업과 먹거리의 사회학》(따비, 2013)(Micheal Carolan, Sociology of Food and Agriculture, Routledge,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흥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학사, 석사, 박사) 현재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교수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2021~현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사회공헌인증심의위원회 위원(2019~현재)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먹거리지속가능성연구단장(2010~2021) 한국사회복지학회 운영이사(2011~2012) 서울시 친환경무상급식심의위원회 부위원장(2012~2015)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관 현장평가위원(제5기, 제6기, 제7기) 기초 푸드뱅크사업 현장평가위원(2012년) 전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2015~2019) 저역서: 새로운 농촌사회학(2012), 사회복지조사방법론(2021), 사회적경제와 공공성(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펼치기
송인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박사로 원광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에 있으며, 시간강사를 겸하고 있다. 현대 농업/생태/기술체계의 역사적 변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논문으로 〈농업의 산업화와 한국의 ‘축산혁명’〉,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 쟁점과 성격〉, 〈소비주의 식생활양식의 형성: 미국의 대량육식 문화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송원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농식품경제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세계 농식품체계의 문제와 식량주권 운동 등 대안적 농업·먹거리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글로 《먹거리반란》(공역)과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공저), 그리고 논문 〈세계농식품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먹거리위기〉 등이 있다.
펼치기
안윤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이자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강의교수(지역사회복지론, 청소년복지론)이다. 소년사법과 소년보호시설에 관심이 있으며, 논문 〈보호소년 위탁 아동복지시설에 관한 연구〉, 〈소년보호처분의 문제와 개선방안〉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해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산학연구처 조교수(사회학)이다. 먹거리정치와 먹거리시민권, 먹거리위험의 개인화, 사회적경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 《새로운 농촌사회학》(공저) 등과 역서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공역), 그리고 논문 〈소비자에서 먹거리시민으로〉, 〈한국의 사회적경제-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지역사회조직 활동에 관심이 있으며 사회적경제에서의 사회복지의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 석사학위 논문 《지역 생협복지운동 사례연구》와 〈푸드뱅크 사업과 먹거리 연대, 그 가능성과 한계〉, 〈친환경 생산 농민의 사회적 특성과 유형에 관한연구〉, 〈생협복지의 의미와 실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