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30440347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14
목차
옮긴이 서문
2판 서문
들어가는 말
1부 이론과 방법론
01 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영화와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이해하기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체험
02 분석 영역
내용과 재현
내레이션과 드라마투르기
등장인물과 출연자
영상미학과 형상화
맥락
03 분석의 체계
표준화
분석 단계
보조 수단
결과 활용
결과 발표
2부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분석
04 내용과 재현
플롯과 스토리 I
공간과 시간
상호작용 관계
상황의 틀
05 내레이션과 드라마투르기
플롯과 스토리 II - 수제와 파불라
긴장과 서스펜스
코믹
위협
06 등장인물과 출연자
등장인물과 역할
동일시
공감과 호감
준사회적 상호작용
몰입
07 영상미학과 형상화
카메라
조명
편집과 몽타주
소품
음향과 사운드
음악
시각효과와 특수효과
08 맥락
가퉁과 장르
상호텍스트성
담론
생활 세계
제작과 시장
3부 분석의 예
09 주도 주제와 효과
[터미네이터 2-심판의 날]의 주도 주제
[쥬라기 공원]의 특수효과
[아이 로봇]과 [반지의 제왕]의 컴퓨터 가공인물
10 메타 장르와 하이브리드 TV 포맷
메타 장르로서의 블록버스터 [반지의 제왕]
하이브리드 포맷으로서의 리얼리티 쇼 [빅 브라더]
11 빈틈없는 이야기: 서스펜스 연출-[24]
전망 미디어 융합 시대의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부록
주제별 참고문헌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분석
영화 이론
텔레비전과 미디어 이론
장르 이론
상호텍스트성
담론 이론
생활 세계
영화와 텔레비전 시장
그림 찾아보기
영화와 TV 프로그램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사소통 매체인 영화와 텔레비전에 관한 기존의 이론 틀 안에서 볼 때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의 대상은 단지 구체적인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분석은 그 대상의 텍스트 구조를 관객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하게 된다. 동시에 분석의 코퍼스(Korpus), 즉 영화나 텔레비전 방송 같은 일단의 분석 대상은 공통된 특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탐구될 수도 있다.
_[02 분석 영역] 중에서
[프리티 우먼]에서 창녀인 비비안이 브로커인 에드워드와 함께 그의 회사가 후원하는 폴로게임(polo game)에 참석했을 때, 숏과 신들은 에드워드 주위로 모여드는 명망 높은 신사 숙녀들의 소위 상류사회 세계를 보여 준다. 동시에 카메라와 몽타주는 그 시퀀스를 비비안의 시각에서 전개한다. 그녀는 이 비현실적 세계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카메라와 몽타주는 여주인공의 입장에 맞춰 명확한 가치 평가를 수행한다. 순전히 내용 면에서 보면 이 시퀀스에는 상류사회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비판적인 태도가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카메라와 몽타주를 통해서 비로소 특정한 의미가 강조된다.
_[04 내용과 재현] 중에서
따라서 로앵글은 비춰진 사물이나 인물이 중요하거나 거대하게 보이게 한다.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에서 탐정 샘 스페이드는 갱단의 보스인 캐스퍼 굿맨을 만난다. 스페이드는 자신이 호랑이굴에 들어왔다는 것을 느끼고, 굿맨은 더욱더 강한 자처럼 묘사된다. 비대하게 살진 갱단 보스는 안락의자에 앉아 있으며, 불쌍한 스페이드에게 나쁜 일이 곧 닥치게 될 것 같은 인상적인 영상이 로앵글로 비춰진다(그림 18, 그림 19, 그림 20 참조).
_[07 영상미학과 형상화] 중에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에서 인물의 이러한 성격 깊이를 잘 표현하고 있는 한 장면은 골룸의 캐릭터와 반대되는 측면들이 나타나는 장면이다. 프로도와 샘이 자고 있는 동안 골룸/스미골은 자신의 두 가지 캐릭터를 원망한다. 스스로와의 대화에서 나온 결과로 그는 이 두 호빗족을 죽이기로 결심한다. 스미골과 물에 비치는 그의 또 다른 자아를 번갈아 보여 주는 숏-역숏 장면에서 (두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최소한의 차이들이 드러난다.
_[09 주도 주제와 효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