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로타르 미코스 (지은이), 정민영, 백인옥, 임우영, 김혜숙, 서유정, 김형래, 류용상, 김종대, 신혜선, 주미경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600원 -10% 1280원 21,760원 >

책 이미지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30440347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14

목차

옮긴이 서문
2판 서문
들어가는 말

1부 이론과 방법론

01 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영화와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이해하기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체험

02 분석 영역
내용과 재현
내레이션과 드라마투르기
등장인물과 출연자
영상미학과 형상화
맥락

03 분석의 체계
표준화
분석 단계
보조 수단
결과 활용
결과 발표

2부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분석

04 내용과 재현
플롯과 스토리 I
공간과 시간
상호작용 관계
상황의 틀

05 내레이션과 드라마투르기
플롯과 스토리 II - 수제와 파불라
긴장과 서스펜스
코믹
위협

06 등장인물과 출연자
등장인물과 역할
동일시
공감과 호감
준사회적 상호작용
몰입

07 영상미학과 형상화
카메라
조명
편집과 몽타주
소품
음향과 사운드
음악
시각효과와 특수효과

08 맥락

가퉁과 장르
상호텍스트성
담론
생활 세계
제작과 시장

3부 분석의 예

09 주도 주제와 효과

[터미네이터 2-심판의 날]의 주도 주제
[쥬라기 공원]의 특수효과
[아이 로봇]과 [반지의 제왕]의 컴퓨터 가공인물

10 메타 장르와 하이브리드 TV 포맷

메타 장르로서의 블록버스터 [반지의 제왕]
하이브리드 포맷으로서의 리얼리티 쇼 [빅 브라더]

11 빈틈없는 이야기: 서스펜스 연출-[24]

전망 미디어 융합 시대의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부록

주제별 참고문헌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분석
영화 이론
텔레비전과 미디어 이론
장르 이론
상호텍스트성
담론 이론
생활 세계
영화와 텔레비전 시장

그림 찾아보기

영화와 TV 프로그램 찾아보기

저자소개

로타르 미코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대표적 영화 대학인 포츠담의 바벨스베르크 소재 ‘콘라드볼프(Konrad Wolf)영화 및 텔레비전방송대학’ 교수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베를린에서 사회학·심리학·커뮤니케이션학을 공부했으며 도르트문트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관객 연구, 대중문화 연구, 문화 연구, 텔레비전과 사회 변화,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등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독일 대학에서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 분석 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 책 외에 『[반지의 제왕] 3부작-대중문화 현상의 현혹과 매력(Der Herr der Ringe-Trilogie: Attraktion und Faszination eines popularkulturellen Phanomens)』(Alltag, Medien und Kultur)(2007,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민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독문학박사)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에서 현대독일문학을 수학했다. 한국브레히트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카바레>, <하이너 뮐러 극작론>, <하이너 뮐러의 연극세계>(공저), <브레히트 연극 사전>(공저), <청년 브레히트>(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뮐러 희곡선>, <뮐러 산문선>, <로리오 코미디 선집>, 슈테판 츠바이크의 <에라스무스 평전>, 카를 발렌틴 선집 <변두리 극장>, 욘 포세의 <가을날의 꿈 외>, <이름/기타맨>, <저 사람은 알레스>, 독일어 번역인 정진규 시선집 <Tanz der Worte(말씀의 춤)> 등이 있다.
펼치기
백인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콘스탄츠대학교에서 독문학박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신시집』과 『말테의 수기』에 나타난 ‘새로운 눈’의 시학”이다. 주요 저서로 『파우스트, 그는 누구인가?』(2006), 『예술의 시대-예술의 발생과 해체, 그리고 진화』(2009), 주요 역서로 『여자들은 기다림과 씨름한다』(2001), 『번역이론 입문』(2011), 주요 논문으로 “릴케의 『말테의 수기』에 나타난 메타시학성 연구”(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임우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교수로 있으며, 한국괴테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기획조정처장과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학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대학생을 위한 활용 독일어 1, 2》(공저), 《서양문학의 이해》(공저), 《세계문학의 기원》(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괴테 시선 1, 2》, 바켄로더와 티크의 《예술을 사랑하는 어느 수도사의 심정 토로》와 《예술에 관한 판타지》, 오토 바이닝거의 《성과 성격》,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공역), 《괴테사전》(공저),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낭만주의》(공역), 라테군디스 슈톨체의 《번역이론 입문》(공역), 니콜라스 보른의 《이별연습》, 《민중본. 요한 파우스트 박사 이야기》, 《미학연습. 플라톤에서 에코까지. 미학적 생산, 질서, 수용》(공역), 《괴테의 사랑. 슈타인 부인에게 보낸 괴테의 편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1775년 가을에” 흐르는 괴테의 눈물. 사랑의 고통 속에서 솟아나는 활기〉(2016), 〈괴테의 결정적인 시기 1775. “릴리의 시”에 나타난 스물여섯 괴테의 고민〉(2015), 〈흔들리는 호수에 비춰 보는 자기 성찰. 괴테의 시 “취리히 호수 위에서”〉(2014), 〈괴테의 초기 예술론을 통해 본 ‘예술가의 시’ 연구. “예술가의 아침 노래”를 중심으로〉(2013), 〈‘자기변신’의 종말? : 괴테의 찬가 “마부 크로노스에게”〉(2011), 〈“불행한 사람”의 노래 : 괴테의 찬가 “겨울 하르츠 여행” (1777)〉(2008), 〈영상의 문자화.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겹상자 문장’ 연구〉(2007), 〈괴테의 《로마 비가(Romische Elegien)》에 나타난 에로티시즘〉(2007),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 시대》에 나타난 ‘체념(Entsagung)’의 변증법〉(2004), 〈괴테의 초기 송가 “방랑자의 폭풍 노래” 연구. 시인의 영원한 모범 핀다르(Pindar).〉(2002), 〈괴테의 초기 시에 나타난 신화적 인물 연구〉(2001), 〈새로운 신화의 창조?에우리피데스, 라신느, 괴테 그리고 하우프트만의 《이피게니에》 드라마에 나타난 그리스의 ‘이피게니에 신화’ 수용〉(1997)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강의전담교수다. 독일 파사우대학교에서 독문학박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에른스트 톨러의 드라마에 나타난 가치체계의 변화”다. 주요 역서로 『뒤렌마트 희곡선』(2011), 『죽음-유럽 정신사의 기본 개념 2』(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서유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 대학교에서 20세기 여성작가들의 유년기–자서전 연구로 독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역서로 『사로잡힌 영혼』(공역), 『하늘의 문화사』, 『낭만주의: 판타지의 뿌리』(공역),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공역) 등이 있다. 여성문학, 노년문학, 매체와 서사, 문학과 심리, 문학적 인간학을 주제로 한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으며, 문학적 인간학과 관련하여 「‘문학적 인간학’의 개념과 조망」, 「프리드리히 실러의 ‘인류사’ 고찰 – 의학 논문과 인류사 서술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형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대 독일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 독일 보훔대학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역서 『파스빈더와 들뢰즈』, 『들뢰즈의 시네오시스』와 공역서 『거짓말의 언어학』, 『낭만주의』,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 『컬처럴 턴즈』 등이 있으며, 공저로 영화평론집 『내부자들』, 『밀정』, 『택시 운전사』, 『신과 함께』, 『기생충』, 『보헤미안 랩소디』 등 이 있다. 그 외에 미하엘 하네케, 빔 벤더스, R.W. 파스 빈더에 관한 논문 및 들뢰즈의 영화 철학에 관한 다수 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류용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리온 포이히트방어(Lion Feuchtwanger)의 초기 드라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현재는 강원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리온 포이히트방어와 인도』(2004), 『드라마 사전』(2010, 공저), 『번역이론 입문: 번역학 꿰뚫기』(2011, 공역), 『낭만주의: 판타지의 뿌리』(2012, 공역),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2017,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겸임교수이자 한국한나아렌트학회 총무이사다. 핀란드 오울루대학교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일상성의 기술-마틴 발저의 실존적 글쓰기 연구”다. 주요 논문으로 “칸트의 숭고미에 대해”(2014), “헤겔의 『미학 강의』에 나타난 예술의 역사적 동일화”(2014), “말터와 디자인 수사학”(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혜선 (해설)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동 대학원 독일어과를 졸업했다. 이후 김희경 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박사학위 논문 장학생으로 선발되었고, 2012년 독일 본대학교에서 헤르만 헤세와 로베르트 무질, 하인리히 만의 소설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공주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헤르만 헤세 《청춘은 아름다워라》, 공역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교과서》, 《컬처럴 턴즈》 등이 있으며, 공저로 《신화·문화 속 여성의 다매체적 변용》, 《브레히트 연극사전》, 《괴테사전 2》 등이 있다. 학술 연구로는 헤르만 헤세, 로베르트 무질, 하인리히 만, 다니엘 켈만, 아르투어 슈니츨러, 라이너 마리아 릴케 등에 관한 논문이 있다.
펼치기
주미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문화원 어학부 강사다. 성신여자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독일 마인츠대학교에서 독문학박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게오르크 카이저의 희곡작품에 나타난 여성인물 연구”다. 주요 논문은 “마리루이제 플라이써의 『잉골슈타트의 공병들』 연구-1929년 판과 1968년 판의 비교”(2007), “독일어 수업에서의 즉흥연기”(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의사소통 매체인 영화와 텔레비전에 관한 기존의 이론 틀 안에서 볼 때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의 대상은 단지 구체적인 영화와 텔레비전 방송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분석은 그 대상의 텍스트 구조를 관객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하게 된다. 동시에 분석의 코퍼스(Korpus), 즉 영화나 텔레비전 방송 같은 일단의 분석 대상은 공통된 특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탐구될 수도 있다.
_[02 분석 영역] 중에서

[프리티 우먼]에서 창녀인 비비안이 브로커인 에드워드와 함께 그의 회사가 후원하는 폴로게임(polo game)에 참석했을 때, 숏과 신들은 에드워드 주위로 모여드는 명망 높은 신사 숙녀들의 소위 상류사회 세계를 보여 준다. 동시에 카메라와 몽타주는 그 시퀀스를 비비안의 시각에서 전개한다. 그녀는 이 비현실적 세계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카메라와 몽타주는 여주인공의 입장에 맞춰 명확한 가치 평가를 수행한다. 순전히 내용 면에서 보면 이 시퀀스에는 상류사회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비판적인 태도가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카메라와 몽타주를 통해서 비로소 특정한 의미가 강조된다.
_[04 내용과 재현] 중에서

따라서 로앵글은 비춰진 사물이나 인물이 중요하거나 거대하게 보이게 한다.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에서 탐정 샘 스페이드는 갱단의 보스인 캐스퍼 굿맨을 만난다. 스페이드는 자신이 호랑이굴에 들어왔다는 것을 느끼고, 굿맨은 더욱더 강한 자처럼 묘사된다. 비대하게 살진 갱단 보스는 안락의자에 앉아 있으며, 불쌍한 스페이드에게 나쁜 일이 곧 닥치게 될 것 같은 인상적인 영상이 로앵글로 비춰진다(그림 18, 그림 19, 그림 20 참조).
_[07 영상미학과 형상화] 중에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에서 인물의 이러한 성격 깊이를 잘 표현하고 있는 한 장면은 골룸의 캐릭터와 반대되는 측면들이 나타나는 장면이다. 프로도와 샘이 자고 있는 동안 골룸/스미골은 자신의 두 가지 캐릭터를 원망한다. 스스로와의 대화에서 나온 결과로 그는 이 두 호빗족을 죽이기로 결심한다. 스미골과 물에 비치는 그의 또 다른 자아를 번갈아 보여 주는 숏-역숏 장면에서 (두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최소한의 차이들이 드러난다.
_[09 주도 주제와 효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4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