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4647186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2-02-28
책 소개
목차
역자서문?i
한국 독자에게 보내는 글?ii
저자서문?vi
제1부 낭만주의
제1장
·낭만주의의 시작과 헤르더의 출항 3
·문화를 새로이 생각하다 10
·개인주의와 제 민족의 목소리 12
·시간의 흐름 속에 놓인 사물의 흔들림에 관하여 16
제2장
·정치 혁명에서 미학 혁명으로 24
·정치적 좌절과 문학적 과감함 26
·실러가 위대한 유희를 고취시키다 31
·낭만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시작을 준비하다 37
제3장
·출판 붐의 시대 38
·무미건조한 계몽주의와의 결별 43
·기괴함과 경이로움 45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아이러니 52
·멋진 카오스 55
·비평의 시대와 세상의 예술화 59
제4장
피히테 그리고 자아를 찾아 나서는 낭만적 모험 63
·감정의 과잉 75
·무로부터의 창조 76
·낭만적 친교 79
·예나의 전설적인 공동생활 81
·고공비행에 뒤따르는 추락에 대한 두려움 82
제5장
·루드비히 티크 85
·문학 제작소 88
·윌리엄 로벨의 자아 탐닉 89
·문학풍자 91
·글쓰기의 대가와 예술을 숭상하는 바켄로더의 만남 94
·꿈의 실현을 추구하는 두 친구 - 달빛에 빛나는 마법의 밤 그리고 뒤러 시대 96
·어슴푸레한 빛 속의 비너스산 100
·프란츠 슈테른발트의 방랑 103
제6장
·노발리스 108
·슐레겔과의 우정 110
·실러의 병상에서 111
·소피 폰 퀸 113
·사랑과 죽음 116
·초월의 쾌락에 관해 119
·밤의 찬가 121
·산의 신비 124
·기독교 혹은 유럽 127
·신들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유령이 지배한다 130
제7장
·낭만주의의 종교 137
·허구의 신과 슐레겔의 실험들 138
·슐라이어마허의 등장 - 종교란 무한을 느끼고 맛보는 것 140
·선악의 피안(彼岸)에 있는 종교 144
·종교의 거장의 삶에서 153
제8장
·아름다움과 신화 155
·독일 이상주의의 최초의 체계적 강령과 이성의 신화체계 158
·미래의 이성에서 근원의 진리로 그리고 괴레스, 크로이처, 슐레겔과 동방의 발견 161
· 다른 고대 166
·횔덜린의 신들과 신들의 현재와 무상함 168
·이미지 속에서 사라지다 174
제9장
·시적 정치 178
·혁명으로부터 가톨릭 질서로 복귀 179
·낭만적 제국이념 181
·실러와 노발리스의 문화민족관 183
·피히테의 민족이념 184
·나에서 우리로 그리고 사회라는 모태(母胎) 186
·아담 뮬러와 에드먼드 버크 187
·민중성과 하이델베르크 낭만주의 188
·반(反)나폴레옹 해방전쟁 192
·나폴레옹에 대한 증오 195
·증오의 귀재 클라이스트 197
제10장
·평범함에 대한 낭만주의자들의 거부감 202
·계몽된 냉철함 - 합리성과 효율성 203
·예술가의 자부심과 고뇌 - 클라이슬러 205
·속물 비판 208
·다양성의 상실 210
·기하학의 정신 211
·지루함 213
·엄청난 지루함에 대항한 낭만주의적 신 218
·서정적 가정(假定) 219
제11장
·낭만주의적 방랑의 시작과 중단 221
·아이헨도르프의 상쾌한 여행 - 사이렌의 노래 223
·신앙 224
·창가에서 225
·시인과 그 동료들 226
·삶의 문학 228
·경건한 아이러니 231
·타우게니히츠 - 예수의 모습을 한 바보 232
·호프만의 가벼운 터치 233
·뿌리내리지 않고 234
·유희자 235
·공포의 미학 236
·낙원도 지옥도 바로 곁에 237
·브람빌라 공주의 큰 웃음 239
·회의적 몽상가 244
제2부 낭만적인 것
제12장
·이념의 혼란에 대한 회고 247
·낭만주의 비판가 헤겔 249
·세계정신의 명령과 교만한 주체 250
·비더마이어와 청년독일파 252
·참된 현실로의 도정과 폭로 경쟁 256
·천상세계에 대한 비판, 지상과 몸의 발견 그리고 슈트라우스와 포이에르바흐 259
·마르크스 262
·전선 사이의 하이네 265
·낭만파에게 주는 이별노래와 꾀꼬리에 대한 변호 269
·인류의 해방전쟁에 참여한 병사, 그리고 시인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닌 존재 271
제13장
·청년독일파의 바그너 275
·파리의 리엔찌 276
·드레스덴의 낭만주의 혁명가 277
·초기 낭만주의의 꿈 실현 - 새로운 신화 278
·니벨룽겐의 반지 282
·어떻게 자유로운 인간이 신들의 멸망을 초래하는가 283
·반자본주의와 반유대주의 286
·신비로운 체험 288
·트리스탄과 낭만적인 밤 290
·상징주의적인 도취 292
·감각에 대한 총공격 293
제14장
·바그너를 경유한 니체 - 최초로 예술의 세계를 세계일주하다 295
·반낭만적인 시대정신 297
·유물론 299
·리얼리즘, 역사주의 그리고 노동의 세계 300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지배하는 낭만주의 305
·세계언어 음악 306
·니체, 바그너에게서 등을 돌리다 - 구세주로부터 해방 311
·현세에 성실히 머물다 318
·헤라클레이토스와 실러의 유희하는 ‘세계아이’. 320
·아이러니한 저항의 끝 - 붕괴 322
제15장
·삶, 오로지 삶 그리고 청년운동 324
·생활개혁과 란다우어 328
·신비주의의 내습 331
·후고 폰 호프만스탈 333
·라이너 마리아 릴케 337
·슈테판 게오르게 338
·빌헬름 황제의 무대 마술 - 전함을 건조하는 강철 낭만주의 341
·1914년의 이념들과 전쟁 기간 중의 토마스 만 343
·윤리적 분위기, 파우스트적 향기, 십자가, 죽음 그리고 무덤 346
제16장
·마의 산에서 평지로 351
·랑에마르크 352
·두 세계 사이의 방랑자 352
·두 명의 모험가들, 에른스트 융어와 프란츠 융 353
·튀링엔의 댄스 열풍 360
·동방여행 364
·엄격한 즉물주의 367
·위대한 순간 기다리기 370
·공화국 말기의 폭발적인 의고주의 373
·하이데거의 정치적 낭만주의 374
제17장
·비난 받는 낭만주의 376
·나치즘은 얼마나 낭만주의적이었나? 379
·나치 문화기관 내에서 낭만주의에 대한 논쟁 382
·나치 모더니즘 - 강철 같은 낭만주의 383
·제3제국의 낭만주의 384
·뉘른베르크 385
·전사(前史)로서의 낭만주의적 정신 태도 386
·디오니소스적인 삶 또는 생물학주의 387
·세상과의 동떨어짐과 세속의 경건화, 그리고 세상을 파괴하는 광란 389
·‘야만적인 사건’을 고상하게 해석함 - 하이데거의 예 391
·히틀러와 낭만주의의 망상 397
·환상과 진실 399
제18장
·몰락 그리고 몰락에 대한 낭만주의적 해석 -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 401
·야만적인 사건에 대한 고상한 해석 405
·각성 408
·회의적인 세대 408
·제2의 신즉물주의 409
·아방가르드 410
·기술과 대중 412
·아도르노와 겔렌의 논쟁 415
·68학생운동은 얼마만큼 낭만적이었나? 417
·낭만주의와 정치에 대하여 425
인용문헌 | 428
미주 | 448
인물색인 |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