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5542155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8-14
책 소개
목차
책을 시작하며
:: chapter 1. 자율주행 스마트카가 바꾸는 세상
자율주행차에 올인한 글로벌 기업들-승자와 패자가 갈린다
. Interview
- ‘제3의 공간’으로 부상하는 자율주행차와 New 비즈니스 생태계
- ‘더 넥스트 투(The Next Two)’ 프로젝트와 스마트시티
- 자율주행의 도전과 과제: 센싱(Sensing)과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
:: chapter 2. 영화 속 웨어러블 시대가 현실로
월드컵에 등장한 웨어러블
웨어러블이 바꾸는 일상
손목 너머 목걸이, 반지, 신발로 진화
끊임없이 확장되는 웨어러블의 영토
웨어러블의 최대 과제, 배터리를 극복하라
. Interview
- 전자공학 제3의 물결은 ‘모바일 헬스케어’
- 생체 인식·보안 서비스로 기능 진화
:: chapter 3. 꿈의 섬유가 온다: 탄소섬유
자유롭게 변신한다
탄소섬유는 에디슨이 만들었다?
전기차에서 초고층 엘리베이터까지
친환경 시대의 주역으로 부상
급성장하는 시장, 갈 길 바쁜 한국
. Interview
- 탄소산업, 국가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키워가야
- 군사·항공·레저 등 팔방미인 신소재
- 비싼 가격·노동집약 생산 구조 극복해야
:: chapter 4. 지능형 사물인터넷이 바꾸는 미래 사회
사물이 사람을 팔로우 하는 시대로
넥스트 빅 씽(Next Big Thing), 주목 받는 사물인터넷
또 다른 사물인터넷, 산업인터넷
사물인터넷의 그림자
.Interview
- 세상의 모든 것들이 연결되는 날
(Internet of things all connected)
:: chapter 5. 인텔리전트 로봇과 미래를 꿈꾼다
인텔리전트 로봇 산업화 전쟁은 진행형
.Interview
- 10년 앞 내다보고 과감한 투자 나서야
- 로봇 컨버전스 시대 눈앞에 왔다
- 인간과 로봇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
:: chapter 6. 1,000배 빠른 촉감 인터넷 5G 이동통신 시대
5G 이동통신은 무엇인가
5G 이동통신 왜 나왔을까?
촉감 인터넷 시대 온다
5G 시대를 개막한 삼성전자
한국 정부의 5G 추진 전략은?
5G 세상, 과연 장밋빛일까?
:: chapter 7. 빅데이터로 빅 체인지가 시작된다
빅데이터 시대를 선도하는 기업들
빅데이터로 부활한 도요타자동차
국민들의 생활을 바꾼 ‘T맵’
금융정보는 빅데이터의 보고
SI, 의료 등 적용 분야 무궁무진
.Interview
- 사물인터넷-빅데이터 연계 유망
- 데이터 자체의 가치에 중점을 둬야
- 2020년 1조 원대 시장 열린다
:: chapter 8. 조선 강국의 힘 해양 플랜트
해양플랜트 주도하는 대한민국 ‘빅3’ 조선사
오일메이저가 주도한 해양플랜트
.Interview
- LNG 플랜트를 바다 위에 짓는다
- 핵심 엔지니어 확보가 기업 운명을 가른다
- 국내 빅3 수주 경쟁 지양하고 제값 받기 나서야
:: chapter 9. 태양광이 바꾸는 미래 세상의 모습
1시간 태양광으로 지구 경제 1년을 운영한다
태양광 자동차와 인공 태양섬
.Interview
- 일본 태양광 시장 보면 태양광 산업의 미래 게임 룰 보인다
- 스모그 해결을 위해 태양광 투자에 나선 중국
- 무한대의 청정에너지원 태양광 내수시장을 열어라
:: chapter 10.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바꾸는 미래 세상
둘둘 말아서 가지고 다니는 TV 세상이 온다
.Interview
- 뇌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화 상상 속의 미래가 현실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구글이 2010년 처음 선보인 자율주행차(프로젝트명: 구글엑스 100)는 도요타의 프리우스에 첨단 센서를 탑재했고 인공위성으로 인식한 주행 정보와 인공지능 카메라, 레이더 센서를 갖췄다. 한마디로 기존 완성차 기능에 첨단 위치추적장치, 센서기능 등을 대폭 보강한 차세대 스마트카의 개념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비디오카메라가 도로의 주행 상황을 파악하고 내장돼 있는 거리 정보와 GPS를 활용해 위치를 파악한 뒤 스스로 핸들을 운전하고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정하는 시스템이다. 구글카는 이후 1,600km를 운전자의 개입 없이 완전 자율로 운전하는 데 성공했으며 미국 네바다주가 2년 뒤인 2012년 10월 무인자동차 허용법안을 처음 제정하여 운행의 법적 근거도 마련했다. 구글이 특히 강조한 점은 사람이 모는 자동차보다 오히려 안전하다는 사실이다. 네바다주의 법안을 보면 항상 최소한 2명의 사람이 자율주행차에 탑승하고 있어야 하며 그중 1명은 운전보조석에 앉도록 규정돼 있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위험도를 낮춘다는 발상이다. 미국 언론들은 무인차(Un-manned) 또는 드라이버리스(Driverless)라는 개념으로 이 법안을 묘사했다. 하지만 엄격한 의미에서는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상황을 인식해서 주행하는 자율주행(Self-Driving)이라는 개념이 더 알맞다.
- chapter1 자율주행 스마트카가 바꾸는 세상 中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일반화되면서 과거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가능했던 인간과 사물이 대화를 나누는 시대가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주위 모든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사람과 사물 간의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인프라 및 서비스 기술을 뜻한다. 사람,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돼 정보가 만들어지고 수집·공유·활용되는 기술과 서비스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 chapter 4 지능형 사물인터넷이 바꾸는 미래 사회 中
. 금융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는 분야다. 영국 워릭 비즈니스스쿨 연구팀의 구글 검색어를 활용한 주식투자 실험은 ‘빅데이터 금융’의 놀라움을 보여주는 사례다. 연구팀은 구글 검색어 가운데 매출, 실업, 신용, 금속, 외환 등 98개 키워드를 선정해 시장 변화를 관찰했다. 2004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 이 검색어들의 발생 빈도와 시장 변화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다우존스 산업지수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했다. 그 결과 7년간 수익률이 33%에 달했다. 같은 기간 다우존스 산업평균 상승률이 11%였던 것을 감안하면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는 성과다.
- chapter 7 빅데이터로 빅 체인지가 시작된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