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뇌과학/인지심리학
· ISBN : 979116050294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7-10-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생애 첫 호기심의 무한한 가능성
1장. 호기심 제대로 이해하기
호기심을 느낀다는 것
느낌이 행동이 되는 과정
지식을 탐색하는 이유
호기심은 어떻게 발전하는가
반응에 대한 개인차
2장. 지적 탐험의 시작
아기들이 호기심 덩어리인 이유
무엇을 → 어떻게 → 왜
유아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
유아들은 탐험을 좋아한다
3장. 대화라는 커다란 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에서 질문으로
아기의 질문
언어는 지문과 같다
활동 반경과 대화 상대의 확대
4장. 되고 안 되는 것의 기준
부모는 아이의 가이드
교사의 등장
사건과 사물에 대한 아이의 반응
반응을 둘러싼 복잡한 문제들
2부. 헝그리 마인드 교실 혁명
5장. 호기심 덩어리, 학교에 가다
학교는 과연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는가
호기심이 표출되는 과정
교실 가장자리에서 벌어지는 일들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6장. 학습 욕구에 불붙이기
흥미가 갖는 힘
두 가지 종류의 흥미
7장. 잡담도 능력이다
인간이 가장 보편적으로 궁금해하는 것
잡담의 첫 번째 단추
간접적인 지식의 가치
인간관계에서 유용한 무기
모든 아이가 수다쟁이는 아니다
8장. 혼자 시간을 보낸다는 것
정보를 수집하는 본능
픽션의 세계
고독이 즐거워지는 순간
시간의 역할
9장. 지식에 굶주리게 하라
불확실성 받아들이기
‘두근두근’ 수업
호기심을 키워주는 교사란
수업에서 호기심을 유발하는 네 가지 요령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호기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면 영아와 유아들이 너나없이 지니고 있는 강렬한 호기심이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에게서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 이유가 설명된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호기심이 지적 성취의 핵심축이라는 사실은 최근 들어 분명하게 밝혀지고 있다.
호기심이 왕성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많은 것을 배우고, 같은 사람이라도 호기심이 유발될 때 더 많은 것을 배운다. 이 두 명제는 서로 다르지만 둘 다 진실이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아이들의 호기심을 키워주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알아내는 것은 시급한 과제일 수밖에 없다.
-프롤로그
인간에게는 이른바 인식론적 호기심이라는 것이 있다. 아기들은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했는가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왜, 어떻게까지도 알려고 한다.
생후 9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아이들은 물건들이 어떤 모양이고, 어떤 맛이 나고, 어떤 소리를 내는지, 어떤 기능이 있고 사람이 어떻게 조작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탐욕스럽게 수집한다. 그리고 사물들이 그런 식으로 작동하는 이유를 알아내려고 노력하기 시작한다.
-2장. 지적 탐험의 시작
우리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교사가 얼마나 자주 웃고 격려의 말을 많이 하는가와 교실 안에 있는 아이들이 표출하는 호기심의 정도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아이들이 상자를 부지런히 탐색하는 교실과 아이들이 상자에 좀처럼 손을 대지 않는 교실의 차이는 성적이 아닌 교사에게 있었다. 교사가 웃은 횟수와 교사가 호기심 상자에 관해 긍정적인 언급을 한 횟수, 그리고 아이들이 표출한 호기심 사이에는 확실한 연결고리가 있었다.
-4장. 되고 안 되는 것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