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린이/비인간의 목소리

어린이/비인간의 목소리

고지혜, 권선경, 이은우, 장영은, 최기숙, 최빛나라, 최은혜, 허윤 (지은이)
보고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린이/비인간의 목소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린이/비인간의 목소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878580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 「호모 아토포스의 인문학」의 일환으로, ‘어린이’와 ‘비인간’을 중심에 놓고 한국 문학과 문화 속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한 성과를 집약한 연구서이다.

목차

호모 아토포스 라이브러리 발간사
책머리에

제1부
비인간의 목소리

배회하는 비인간|최빛나라
1. 들어가며
2. 「모란등기」, 초인간에 의한 (비)인간의 굴복
3. 「목면수전」, 인간의 ‘비인간적’ 횡포
4. 「모란등롱」, 비인간에 대한 ‘인간적’ 대우
5. 나가며


‘일할 수 없는 몸’을 전유하는 페미니스트 SF의 상상력|허윤
1. ‘노동하는 시민’이라는 형상
2. 일할 수 없는 몸을 생산하는 사회
3. 비장애중심주의(ablism)와 역진화의 시간
4. 비인간의 인식론과 성차의 탈자연화
5. ‘일할 수 없는 몸’의 경계를 넘어가기


제2부
어린이라는 주체

‘신대한소년’과 ‘아이들보이’의 문화 생태학|최기숙
1. ‘소년’이라는 근대적 문화 주체
2. ‘신대한소년’, 신문화 주체의 탄생
3. ‘신대한소년’의 문화적 소양과 자질
4. 근대적 신생아, 『아이들보이』의 문화적 역할
5. 근대적 ‘어린이’, ‘어린이 문화’의 서곡


프로문학 진영의 사회주의 아동 만들기|최은혜
1. 예술대중화의 시대, ‘아동 대중’의 발견
2. 과학적·사회주의적 지식의 보급
3. 노동하고 투쟁하는 아동의 정동 형상화
4. 무산 아동 독자의 참여와 실천 독려
5. 결론


트라우마의 반복적 재현과 수행성|장영은
1. 폴란드에 위탁된 한국전쟁 고아들
2. 상처의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3. 침묵과 증언


제3부
미디어의 재현

생명/서사의 탄생과 돌봄을 주관하는 삼신 신격의 특성|이은우
1. 들어가며
2. 기록으로 살펴보는 삼신 신격의 특성
3. 드라마 <도깨비>에 투영된 삼신 신격의 특성
4. 나오며: 삼신 신앙의 계승과 의의


1980년대 이티(E.T.)의 문화사|고지혜
1. 문화현상으로서의 이티(E.T.)
2. 외계인에 대한 호기심과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확산
3. 한국적 토착화를 통한 SF 모험 서사의 확장
4. 1980년대 한국 아동청소년 문화사와 ET콘텐츠


어린이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반영된 무속적 해원구조의 콘텐츠화 양상과 의미|권선경
1. 어린이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주목하는 이유
2. <신비아파트>의 구성적 특성과 무속적 해원구조의 콘텐츠화 양상

3.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반영된 무속적 해원 구조의 콘텐츠화의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수록 논문 출처

저자소개

최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고전문학의 역할과 연결성을 탐구한다. 젠더, 연령, 신분 등의 차이가 규정하는 소수문화, 하위주체의 문화적 실천에 대해 성찰적 시각에서 아이디어 디자인을 한다. 저서로 『계류자들』(2022),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 『처녀귀신』(2011) 등이 있고, 『일곱 시선으로 들여다본 <기생충>의 미학』(2021),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2015), ?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2020),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2022)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최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졸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공저서: 『여성단체들의 독립운동: 농어민 여성들, 여학생들, 근우회 기독교 사회주의 여성 운동가들』, 『혁명을 쓰다: 사회주의 문화정치의 기록과 그 유산들』, 『흙흙청춘: 대한민국에서 청년으로 살아남기』 등
펼치기
장영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초빙교수이다. 여성들이 글을 쓰며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이야기했는지 분석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자서전, 회고록, 일기, 편지, 기행문, 연설문, 소설, 대담 등 다양한 양식의 자기 서사에 주목하고 있다. 저서로 『나혜석, 글 쓰는 여자의 탄생』(엮음, 2018), 『쓰고 싸우고 살아남다』(2020), 『여성, 정치를 하다』(2021), 『변신하는 여자들』(2022), 『글 쓰는 여자들의 특별한 친구』(2023) 등이 있고, 공저로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2018), 『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최빛나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펼치기
고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펼치기
권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교양대학 조교수
펼치기
허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