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학과 감성 교육

한국학과 감성 교육

(시각.문화.현장)

최기숙, 이진형, 소영현, 서동진, 김해옥, 조민정 (지은이)
앨피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학과 감성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학과 감성 교육 (시각.문화.현장)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7430285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8-06-25

책 소개

연세대 국학연구원 HK사업단 ‘감성/문화팀’이 7년간 진행한 연구의 네 번째 결과물은 ‘감성 교육’이다. 감정의 인문학, 감성사회, 집단감성의 계보로 이어진 감성을 매개로 한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현실적인 문화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문 - 한국학의 성찰적 재구성과 감성 연구의 교육적 실천을 위하여

1부 세계화 시대의 인권과 윤리: 디아스포라 감성

귀환의 역설, <최척전>을 통해 본 ‘귀환 없는 이주’ 불능성의 감각 _ 최기숙

이주와 이산: 상상의 전승과 시선의 정치
‘이주/이산’의 ‘조건/맥락’과 동력, 사회적 상상
‘이주/이산’의 경험 자산: 공감 능력?자기철학?희망 의지
귀환의 역설: ‘가족/젠더’ 서사의 탈/신화화

식민지 조선의 디아스포라와 그 미담美談 _ 이진형
식민지 조선인, 또는 디아스포라
근대화=식민화된 세계의 토착민
‘착실’의 윤리와 디아스포라적 감성
디아스포라적 개입: 죽음 또는 내파內波
제국주의의 지속 불가능성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_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
탈국경의 일상화, 약탈 체제의 복잡화
비가시화 혹은 분할통치: 내화하는 국경, 분할되는 인종
젠더-계급-인종의 복합적 위계구조와 순도의 계열화
자매애의 불가능성, 내적 격차의 모성 봉합술
포스트 민주화 시대로의 이행을 위하여

유커游客와 싼커散客, 탈식민적 아시아의 정동지리학 _ 서동진
이동하는 사람들: ‘디아스포라’에서 ‘유커’까지
장소, 이동, 서사
응시하는 관광객, 그리고 그 이후
새로운 정동지리학적 상상력을 위하여

2부 일상과 노동 현장의 감성 경험과 역사·사회적 성찰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 _ 최기숙

위기와 불안의 시대, 희망의 윤리는 가능한가
불안 사회와 ‘개인-주체’의 대응: 쾌락적 정보 교환과 감정 억류
조선 후기 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고통의 수사와 성찰성 : 젠더?주체?공감화
상상된 죽음, 자술自述된 고통의 수사
희망할 권리와 인문학의 의무

감정 연구의 도전 _ 소영현
감정으로의 전환
감정/연구의 지형
감정 연구의 도전

드라마 <미생>과 <송곳>의 집단감성과 문화 교육 _ 김해옥
드라마의 비평적 읽기와 문화 교육
미디어의 소통 방식과 문화적 감성
홉스테드의 문화 이해와 집단감성
<미생>과 <송곳>의 집단감성과 조직문화 교육
다양성의 시대와 미디어의 역할

영화 <카트>의 감성 경험과 사회적 성찰 _ 김해옥
<카트>의 감성 체험으로서의 스펙터클
리얼리즘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카트>
영화 속의 스펙터클
서사 구조와 여성 노동운동 의례로서의 스펙터클
가부장적 질서를 교란하며 연대하는 도구 ‘카트’
인물관계도를 통해 본 여성 주인공의 전형성
집단감성과 사회적 성찰

사회 조직 변화와 노동의 인식 양상 변화 _ 조민정
최근세 자료에 비친 노동과 노동자 인식은?
최근세 시기 정치·사회적 지형 변화
언어적 기호에 투영된 노동?노동자 인식
최근세 자료의 어휘에 투영된 노동·노동자 인식

맞장구 표현으로 본 상호작용 연구 _ 조민정
상호작용성을 표상하는 기호, 응답표현
‘응답표현’의 범위, 그리고 이들의 사용 빈도는?
응답표현이란 무엇이고 어떤 특징을 갖는가?
응답표현이 담화에서 갖는 기능은?
후속 연구를 기약하며

저자소개

최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고전문학의 역할과 연결성을 탐구한다. 젠더, 연령, 신분 등의 차이가 규정하는 소수문화, 하위주체의 문화적 실천에 대해 성찰적 시각에서 아이디어 디자인을 한다. 저서로 『계류자들』(2022),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 『처녀귀신』(2011) 등이 있고, 『일곱 시선으로 들여다본 <기생충>의 미학』(2021),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2015), ?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2020),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2022)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진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바흐친의 산문학》(공역), 《각색 이론의 모든 것》(공역),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혼종성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해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강사
펼치기
조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