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김경욱, 구재진, 송효정, 이현경, 박우성, 서곡숙, 김병재, 서성희, 송아름, 이호 (지은이), 르몽드 시네마 스쿨 (기획)
르몽드코리아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 분류 : eBook > 예술/대중문화 > 영화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86596388
· 출판일 : 2021-04-05

책 소개

가장 대중적인 영화 장르들, 즉 판타지 영화, SF영화, 코미디 영화, 갱스터 영화, 스릴러 영화, 공포 영화, 로드 무비, 뮤지컬 영화, 드라마(예술가영화), 멜로드라마, 역사 영화, 전쟁 영화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목차

[서문] 장르의 관점에서 영화 보기

판타지 영화, 초현실적 세계의 환상과 망설임 - 서곡숙
1. 판타지 영화와 망설임
2. <사랑과 영혼 Ghost>(1990): 죽음의 지연과 망설임의 욕망
3. <동방불패 東方不敗>(1992): 동성애의 은폐와 변신의 좌절
4. <큐브 Cube>(1997): 현실공간의 변형과 광기의 발현
5. <트와일라잇 Twilight>(2008): 섹슈얼리티의 위협과 권능의 매혹
6. 초현실적 세계의 매혹

SF 영화: 디스토피아적 상상력과 (포스트)휴먼 - 구재진
1. SF 영화가 질문하는 것들
2. <블레이드 러너 Blade Runner>(1982): 인간과 비인간이라는 이분법에 대한 도전
3. <공각기동대 Ghost In The Shell>(1995): 자기동일성의 신화를 넘어서
4. <매트릭스 The Matrix>(1999):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5. <그녀 Her>(2013): 포스트휴먼과의 공존과 인간에 대한 희망
6. SF 영화의 윤리적 지평

코미디 영화, 양날의 칼과 낙관적 세계관 - 서곡숙
1. 코미디 영화의 갈등과 이중성
2. <졸업 The Graduate>(1967): 세대 갈등과 일탈적인 문제 해결
3. <애니 홀 Annie Hall>(1977): 남녀 갈등과 소격효과
4. <미세스 다웃파이어 Mrs. Doubtfire>(1993): 은폐, 위협, 변신 전략과 웃음
5. <언터처블: 1%의 우정 Untouchable>(2011): 계층 갈등과 더블링의 축적
6. 코미디 영화와 낙관적 세계관

갱스터 영화, 시스템 새겨진 파열의 흔적 - 박우성
1. 갱스터 영화, 신화의 붕괴, 영화적 상상력
2. <스카페이스 Scarface>(1983): 고전 갱스터 영화의 전설
3. <대부 Mario Puzo’s The Godfather>(1972): 침체된 갱스터 영화의 부활
4. <신세계 New World>(2012): 한국 갱스터 영화의 신세계
5. <불한당 The Merciless>(2016): 한국 갱스터 영화의 가능성
6. 갱스터 영화, 그 파열의 흔적

전율과 공포의 협주, 스릴러 영화 - 송효정
1. 장르적 특징과 소역사
2. 스파이 스릴러: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1959)
3. 심리 스릴러: <물속의 칼 Knife In The Water>(1962)
4. 범죄 스릴러: <살인의 추억>(2003)
5. 초자연 스릴러: <곡성>(2016)
6. 스릴러와 관음증

공포영화의 장르적 상상력 - 송아름
1. 공포영화가 지시하는 것들
2. <월하의 공동묘지>(1967): 슬픈 공포의 완성
3. <여고괴담>(1998): 피를 드리운 여귀의 복수
4. <스크림 Scream>(1996), <캐빈 인 더 우즈
The Cabin in the Woods>(2012): 장르의 몰락에 대한 경고
5. <이웃집 좀비>(2009): 괴물이 겪는 삶과 공포
6. 요약 및 제언

로드 무비: 길을 떠나는 자들의 이야기 - 이 호
1. 로드 무비의 세 가지 요소
2. <멋진 하루>(2008): 하루의 여행으로 발견하는 연애의 의미
3. <님은 먼 곳에>(2008): 여행을 통해 목적이 구성되는 서사
4. <일라이 The Book of Eli>(2010): 여행자에서 횡단자로
5. 로드 무비 서사의 함정

뮤지컬 랜드 - 김경욱
1. 뮤지컬 영화란
2. <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1939): 고전 영화 시대의 걸작
3.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1952):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최고 걸작
4. <쉘부르의 우산 The Umbrellas Of Cherbourg>(1964)과 모더니즘 영화
5. <어둠 속 의 댄서 Dancer in the Dark>(2000): 포스트모던 뮤지컬 영화
6. <라라랜드 La La Land>(2016): 뮤지컬 영화의 부활
7. 뮤지컬 영화의 미래

예술(가) 영화: 예술의 죽음 이후 예술(가) 영화들 - 이 호
1. 예술(가) 영화라는 용어
2. <물랑 루즈 Moulin Rouge>(2001): 예술가의 신념과 자본의 담론
3. <시>(2010): 아름다움과 타인의 진실
4. <라이프 오브 파이 Life of Pi>(2012): 너의 이야기는 무엇인가
5. 문학에서 예술로, 그리고 영화로

멜로드라마의 변주와 탈주 - 이현경
1. 멜로드라마의 형성과 특징
2. <부운 浮雲>(1955): 정념의 본말
3. <바람에 쓴 편지 Written on the Wind>(1956): 결혼의 이데올로기
4. <사랑니>(2005): 사랑에 관한 판타지
5. <건축학개론>(2012): 첫사랑이라는 신화
6. 멜로드라마의 현재

역사영화 - 서성희
1. 역사영화란
2. 허구적 역사영화 :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2003)
3. 해석적 역사영화 : <왕의 남자>(2005)
4. 상상적 역사영화 : <전우치>(2009)
5. 사실적 역사영화 : <명량>(2014)
6. 마치는 글

전쟁영화 - 김병재
1. 전쟁, 역사 그리고 영화
2. 전쟁 영화의 특징
3. <300>(2006)과 <300: 제국의 부활 Rise of an Empire>(2014)
4. <아버지의 깃발 Flags Of Our Fathers>(2006)과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Letters From Iwo Jima>(2006)
5. <쓰리 킹즈 Three Kings>(1999)와 <그린 존 Green Zone>(2010)
6. 전쟁, 전쟁영화, 상호텍스트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경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동국대와 중앙대에서 영화이론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소위원회 위원, 객원 책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면서, 대학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나쁜 세상의 영화 사회학』(2013),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등이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김경욱의 시네마크리티크」와 「김경욱의 문화톡톡」 을 연재 중이다.
펼치기
김경욱의 다른 책 >
구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세명대학교 영화웹툰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39회 《문학사상》 신인발굴 평론부문에 「육성과 교감-최윤론」이 당선되어 등단, 한국현대소설과 미디어문화콘텐츠를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한국문학의 탈식민과 디아스포라』가 있다.
펼치기
송효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대구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조교수. 제12회 '씨네21' 영화평론상 수상 이후 '씨네21'을 비롯한 여러 매체를 통해 영화비평을 지속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에서 한국근대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자로서는 식민-해방-냉전기 한국영화사, 비교문화, 한국문학 연구에 관심을 둔다. 전주국제영화제, 서울환경영화제,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등의 예심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인디포럼 상임작가 및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연구로는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대괴수 용가리'와 '우주괴인 왕마귀'를 중심으로'와 '다른 방향으로:냉전시대 아시아-태평양전쟁 회고물에 나타난 반둥회의 정신' 등, 공저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1~5)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펼치기
박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학과에서 『이창동 영화의 타자성과 윤리적 재현방식 연구』로 영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반공영화가 반공담론을 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로 영화진흥위원회 우수논문상을, 「주술에 취한 탈역사의 풍경―<워낭소리>론」과 『베트남에서 온 여인―<박쥐>론』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했다. 영화 전문지 <무비위크>와 <매거진M>에서 영화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한국영화학회에서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상명대, 동국대, 대진대, 성신여대, 인하대, 세종대, 경희대에서 영화미학, 영화감독, 영화비평 등의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김병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영화학) 박사. 매일경제, 문화일보 문화부와 YTN 미디어, 이데일리에서 논설실장으로 근무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사무국장, 영진위 예술영화 소위원장, 영상물 등급위원회 영화부문 심의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장을 한 바 있다. 현재는 영화평론을 하고 있으며 시나리오와 희곡을 쓰고 있다.
펼치기
서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영화학박사. 연극영화학과에 입학해 시나리오를 쓰고 단편영화를 만들며 감독을 꿈꾸다, 졸업 후 영화제작사에서 영화 기획과 마케팅 업무를 했다. 경영학과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영화에 대한 기대가 관람 후 지각된 성과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 석사학위를, 영화영상학과에서 「여성 복수영화의 장르적 진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 구경북영화영상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 대표, 대구영상 미디어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강의와 방송과 지면에서 영화와 관련된 말과 글로 영화·영상 생태계를 살리는 일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서성희의 다른 책 >
송아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현대극을 전공하며 1970년대 극작가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현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연극, 영화, TV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극(Drama)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관련 논문을 썼고, 류승완론과 '도희야'에 관한 비평문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했다. 현재 대학에서 연극과 영화에 관한 강의를 진행 중이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영화평론을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영화 역사 속 검열제도』(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으로 등단하였다. 미국AST-WEST CENTER 연구원으로 재직하였고, 경기대와 추계예대에서 문학과 예술에 대해 강의하였다. 계간 『너머』의 편집위원, 계간 『연인』의 편집위원을 맡으면서 영화 평론을 연재하였고, 이를 계기로 영화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현재 한국문인인장박물관 학예실장으로 근무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