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86596081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8-12-10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서문 관계의 예측불가성 성일권
총론 영화와 관계 서성의
제1부 사람과 사람 관계
제1장 인생은 짧아 사랑을 해라 아가씨야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서곡숙
제2장 모녀 관계: 엄마와 딸에 관한 영화 보고서 - '레이디 버드'를 시작으로 서성희
제3장 패배한 선생님에게 바치는 송가 - '마리포사' 정동섭
제4장 산문의 바다에서 시를 길어 올리다 - 두 편의 '렛 미 인' 최재훈
제2부 관계 맺기
제5장 모종의 가족들 - '45년 후'와 '도쿄 소나타' 손시내
제6장 정동의 현상학, ‘관계 맺음’의 형이상학 -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론 안숭범
제7장 성스러운 이야기 혹은 이갈리아 예수의 길을 따라서 - '소공녀' 정재형
제3부 관계와 환경
제8장 관계의 본질, 개인의 욕망과 정치적인 것의 사이 공간을 떠돌다 - '더 랍스터'론 남병수
제9장 그녀와 그녀가 만나는 시간 - '미씽: 사라진 여자', '허스토리' 이수향
제10장 가까움에 대한 열정과 멂에 대한 희원 - '롤러코스터' 이 호
제4부 메타 관계
제11장 ‘구겨진’ 영화를 ‘빳빳이’ 펴는 힘: ‘불한당원’이 증명한 영화 관객의 존재론 - '불한당' 송아름
제12장 발레를 수용한 기록영화 - '댄싱 베토벤' 장석용
제13장 영화와 현실의 새로운 관계를 위한 몇 가지 비평 - '엣지 오브 투모로우'와 '인터스텔라' 사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2장 모녀관계: 엄마와 딸에 관한 영화 보고서-영화 '레이디 버드'를 시작으로, 서성희 영화평론가
“모녀 관계를 선명하게 그린'레이디 버드'(Lady Bird,2018)를 보면서 엄마와 딸의 관계에 관한 영화들이 떠올랐다. 그러면서 모녀 관계를 그린 영화를 통해 엄마와 딸의 관계라는 이름으로 가슴속에 묵직하게 들어앉은 돌덩이를 잘게 부수고 속 시원히 털어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한 마디로 이 글은 모녀 관계에 관한 영화적 해석이다”
제3장 패배한 선생님에게 바치는 송가-'마리포사', 정동섭 영화평론가
“'마리포사'는 주인공 몬초의 성장영화로도 볼 수 있다. 우리말 제목 ‘마리포사’는 나비를 의미하고 원제에서도 나비가 언급되는데, 나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변화와 성장의 아이콘이다. 몬초의 변화 및 성장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은 그레오리오 선생님이다. 영화는 그레오리오 선생님을 통해 이전의 교육과 공화정의 교육을 자연스럽게 대비시킨다. 가장 큰 차이는 폭력의 유무이다.”
제4장 산문의 바다에서 시를 길어 올리다-두 편의 '렛미인', 최재훈 영화평론가
“린드크비스트 작가는 결손 가정에서 외톨이로 지내는 열두 살 소년의 성장기 앞에 나타난 영원히 열두 살로 살아야만 하는 200살 뱀파이어가 관계를 맺는 이야기를 통해 상대방을 긍정함으로, 스스로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소년의 성장담을 그려낸다. 살기 위해 살인을 해야 하는 절박한 뱀파이어의 그 눅진거리는 피곤함을 인간 사이의 관계, 뱀파이어와 인간 사이의 관계로 촘촘하게 얽으며 소통과 마찰 사이의 관계망을 품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