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인권문제
· ISBN : 9791187342205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22-10-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03
1장 | 인권과 광고기획
크리에이티브 솔루션_젠더 평등의 문제를 찾고 해결책을 제시하다_김홍탁 13
2장 | 인권과 역사
한국민중사에 비추어 본 역사와 인권_박노자 39
3장 | 인권과 보건
인권과 보건, 그리고 공공보건의료 강화_김창엽 71
4장 | 인권과 간호
지역사회에서 함께 자라는 어린이, 돌보는 어른_전경자 91
5장 | 인권과 사회인류학
쿠바 사람들의 권리와 그들이 사는 법_정이나 125
6장 | 인권과 종교
분단된 한반도에서 평화의 길을 묻다_이홍정 149
7장 | 인권과 미술
디지털 이미지의 혼성과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법
-마곡문화관이 기획한 ‘이이남, 빛의 조우’ 전시를 보며_이태호 185
8장 | 인권과 영화
<포겟 미 낫Forget Me Not>의 돌발흔적과 어린 엄마들의 슬픔_김도현 207
에필로그 243
저자소개
책속에서
21세기 현재 페미니즘은 성 소수자 인권과 더불어 젠더 평등Gender Equality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제 젠더 평등은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는 운동의 대표적인 용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UN이 정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다섯 번째 항목으로 지정함에 따라 체계적 접근을 통해 솔루션을 제공해야 하는 전 지구적 사명으로 자리잡았다. 한마디로 여성과 성 소수자의 인권 문제를 정의 내리고 해결하는 사회운동의 푯대가 된 것이다.
그러니까 기본적인 인권, 즉 신체 자유나 개인의 인격 존엄과 같은 기본권을 밑으로부터 파업하는 노동자가 요구했던 때가 1920~30년대였다. 인권은 하늘에서 주어지는 것도 아니고 다스리는 사람들이 그냥 내려주는 것도 아니고 말 그대로 처절하게 싸우고 요구해서 결국에 얻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다.
결국 쿠바 사회주의가 지난 반세기 내내 미국 자본주의의 골칫거리인 이유는 그들의 방해와 경제봉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작동하는 사회 시스템이라는 점, 더 나아가 미국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회적 권리를 모든 쿠바 사람들이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