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권 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인권 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김홍탁, 박노자, 김창엽, 전경자, 정이나, 이홍정, 이태호, 김도현 (지은이),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엮은이)
도서출판 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권 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권 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인권문제
· ISBN : 9791187342205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22-10-07

책 소개

2021년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가 ‘시민과 함께하는 인권 서로배우기’ 프로그램으로 세 번째 떠난 여행 이야기를 묶은 것이다. 젠더 평등, 민중사, 보건, 어린이, 쿠바, 분단, 미술, 입양을 소재로 인권 문제를 다뤘다.

목차

프롤로그 03
1장 | 인권과 광고기획
크리에이티브 솔루션_젠더 평등의 문제를 찾고 해결책을 제시하다_김홍탁 13
2장 | 인권과 역사
한국민중사에 비추어 본 역사와 인권_박노자 39
3장 | 인권과 보건
인권과 보건, 그리고 공공보건의료 강화_김창엽 71
4장 | 인권과 간호
지역사회에서 함께 자라는 어린이, 돌보는 어른_전경자 91
5장 | 인권과 사회인류학
쿠바 사람들의 권리와 그들이 사는 법_정이나 125
6장 | 인권과 종교
분단된 한반도에서 평화의 길을 묻다_이홍정 149
7장 | 인권과 미술
디지털 이미지의 혼성과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법
-마곡문화관이 기획한 ‘이이남, 빛의 조우’ 전시를 보며_이태호 185
8장 | 인권과 영화
<포겟 미 낫Forget Me Not>의 돌발흔적과 어린 엄마들의 슬픔_김도현 207
에필로그 243

저자소개

이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전남대학교 교수, 전남대학교박물관 관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문화예술대학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한국 은행 화폐 도안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야기 한국미술사』,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후기 초상화』, 『우리시대 우리미술』,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한국 근대 서화의 재발견』, 『조선후기 산수화-옛 그림에 담긴 봄 여름 가을 겨울』, 『조선후기 화 조화-꽃과 새, 풀벌레, 물고기가 사는 세상』,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윤용이·유홍준 공저), 『조선미술사기행: 금강산, 천년의 문화유산을 찾아서』, 『한국의 마애불:하늘과 땅이 동시에 열리는 공간』(이경화·유남해 공저), 『서울산수: 옛그림과 함께 만나는 서울의 아름다움』, 『한국미술사의 라이벌: 감성과 오성 사이』, 『한국미술사의 절정』, 『고구려의 황홀, 디카에 담다: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테일』, 『지리학자, 미술사학자와 함께 육백리 퇴계길을 걷다』(이기봉과 공저), 『금강산을 그리다』(이영수와 공저), 『한강, 그리고 임진강: 정조시절 문인화가 지우재 정수영의 천 리 길 따라』 등이 있다. 《서울산수》, 《고구려를 그리다》 등 개인전을 개최했다. 우현(고유섭)학술상을 수상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다산 숲 아카데미 원장이다.
펼치기
김홍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빌 게이츠 재단 심사위원이자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최고 크리에이터, 김홍탁. 글로벌.디지털 플랫폼 마케팅의 선두주자, 글로벌 마켓을 겨냥한 통합 캠페인과 공유가치 창출의 디지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한민국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데 앞장서 왔다. 국내 최초로 글로벌 광고 무대에 뛰어든 주역으로, 가장 권위 있는 칸 국제광고제Cannes Lions International Festival of Creativity를 비롯해 런던 국제광고제London International Awards, 원쇼 광고제The One Show, D&AD, 뉴욕 페스티벌New York Festivals 등등 세계 유수의 광고제에서 수상 및 심사, 강연한 바 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캠페인 아시아 퍼시픽Campaign Asia Pacific에서 주관하는 '2012 올해의 크리에이터Creator of the Year'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2년 칸 국제광고제에선 빌 게이츠&멜린다 재단이 주최하는 칸 키메라Cannes Chimera 부문('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아이디어'를 선정) 심사위원으로 초청됐으며, 2013년 영국의 디렉터리 빅 원 랭킹스The Directory Big Won Rankings가 선정하는 전 세계 '10대 이그제큐티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Top 10 Executive Creative Directors' 중 아시아인으로 유일하게 랭크된 바 있고, 같은 해 유공광고인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을 비롯하여 가치 창출을 위한 크리에이티브를 주제로 한 대중 강연의 스피커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대학생들이 가장 만나고 싶은 (만나고 싶다면 기꺼이 시간을 내는) 광고인으로도 손꼽힌다. 지은 책으로 『광고, 리비도를 만나다』,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디지털 놀이터』, 옮긴 책으로 『머리 좀 굴려보시죠!』와 『크리에이티브 게릴라』가 있다. 현재 업계를 넘나드는 각 분야 전문가들과의 집단지성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Email: kkhongt@gmail.com Facebook: https://www.facebook.com/hongtack Instagram: instagram.com/marketsofkorea
펼치기
박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코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대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대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당신이 몰랐던 K》 《미아로 산다는 것》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전환의 시대》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조선 사회주의자 열전》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전경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명예교수 저서로 『10대와 통하는 건강 이야기』, 역서로 『코드 그린』, 『가족파트너십 모델』 외 다수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명예교수
펼치기
정이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멕시코 과달라하라 아테마학데바예 국제통상 학사 스페인 살라망카 주립대학교 중남미 지역학 석사 스페인 살라망카 주립대학교 중남미 사회인류학 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역임, 고려대학교 HK연구교수 역임 저서로 『여성연구자, 선을넘다』, 『라틴아메리카, 세계화를 다시 묻다』, 『라틴아 메리카 명저 산책』 외 다수
펼치기
이홍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장로회신학대학원, Birmingham University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아태장신대 총장 역임, 한일장신대학교 선교학과 교수 역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저서로 『선교학개론』,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교회와 신학』, 『함께 한길 함께 갈길』 외 다수
펼치기
김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장로회신학대학원 Birmingham University 선교신학 MPhil 사단법인 뿌리의집 대표
펼치기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15년 4월 빛고을 광주에서 설립했고, 지역사회와 지역교회와 함께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인권교육을 통해 이주민과 선주민, 선주민과 선주민, 이주민과 이주민, 사람과 사람이 평화롭게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며 활동하는 비영리민간단체다. 연구소 대표 박흥순 박사는 영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고, 지금은 연구소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공무원, 시민단체, 주민과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교육에 관심을 둔다. 교육education이란 한방향 소통이 아닌, 페다고지pedagogy란 상호소통에 주목하는 활동가다. 연구소에서 출간한 책으로 『빛고을 광주 우리 안의 다문화 함께하는 다문화』, 『다문화사회 이야기마당』, 『시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이해교육 매뉴얼』, 『발바닥으로 인권을 만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이주민 목소리로 듣는 인권, 함께 만드는 평화』, 『5.18과 이주민, 인권도시 미래』, 『고통에 응답하는 평화로운 화요일』, 『인권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1세기 현재 페미니즘은 성 소수자 인권과 더불어 젠더 평등Gender Equality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제 젠더 평등은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는 운동의 대표적인 용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UN이 정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다섯 번째 항목으로 지정함에 따라 체계적 접근을 통해 솔루션을 제공해야 하는 전 지구적 사명으로 자리잡았다. 한마디로 여성과 성 소수자의 인권 문제를 정의 내리고 해결하는 사회운동의 푯대가 된 것이다.


그러니까 기본적인 인권, 즉 신체 자유나 개인의 인격 존엄과 같은 기본권을 밑으로부터 파업하는 노동자가 요구했던 때가 1920~30년대였다. 인권은 하늘에서 주어지는 것도 아니고 다스리는 사람들이 그냥 내려주는 것도 아니고 말 그대로 처절하게 싸우고 요구해서 결국에 얻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다.


결국 쿠바 사회주의가 지난 반세기 내내 미국 자본주의의 골칫거리인 이유는 그들의 방해와 경제봉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작동하는 사회 시스템이라는 점, 더 나아가 미국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회적 권리를 모든 쿠바 사람들이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