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91188605262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24-03-08
책 소개
목차
서문 | 여성 노동자들의 목소리로 듣는 조선소의 ‘노동’과 ‘삶’
“그러니 우리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이에요”
―배에 색을 입혀 바다에 내보내는 도장 노동자 정인숙
“여서 그만두면 딴 데 가도 못 견딘다 생각으로 버텨가 오늘까지 왔어예”
―작업의 끝과 시작,청소 노동자 김순태
“조선소 안에서 나는 어디든 갈 수 있어요”
―쇠와 쇠를 이어 붙이는 용접 노동자 전은하
“중요하지 않은 노동이 있나요?”
―쇠를 깎는 밀링 노동자 김지현
“조금 더 나은 제 삶과 세상을 만들기 위해 목소리를 내고 싶어요”
―작업을 위한 첫길을 내는 비계 발판 노동자 나윤옥
“당해봐라.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작업복과 수건을 매일 새것으로 바꿔내는 세탁 노동자 김영미
“돈을 버는 건지 병을 키우는 건지 모르겠어요”
―모두의 끼니를 책임지는 급식 노동자 공정희
“배 한 척이 만들어지려면 수많은 노동이 필요해요”
―사무동 건물의 청결을 책임지는 미화 노동자 김행복
“이주노동자 없으면 이제 배 만들기 어려워요”
―녹슬지 않게 배에 색을 입히는 도장 노동자 정수빈
“평생 일을 놓아본 적이 없어요”
―노동자들의 생명을 지키는 화기?밀폐감시 노동자 박선경
“다들 가족 먹여 살리려고 아등바등하는 것 같아”
―위험을 감지하고 살피는 밀폐감시 노동자 이현주
집담회 | 조선소,이 사나운 곳에 남겨진 이야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일 마치고 목욕탕 들어오면 ‘아이고 오늘 하루도 더운데 잘 살았다, 잘 넘겼다’, 다 그럽니다. 이런 데 막 보라색에다가 온몸이 컬러다. 징그럽게 받히는 사람도 많아요. 보기만 해도 얼마나 아픈지 짐작이 간다니까. 골병 드는 거지. 돈은 좀 벌지언정 조선소 오면 골병 드는 거 맞아요. 일이 그만큼 힘들어요. 힘듭니다.
여성들은 남편 따라 조선소로 일하러 오는 경우가 많죠. 거제 안에는 남자도 다른 할 일이 별로 없는데 여성은 편의점, 식당 아니면 일할 데가 없으니까요. 제가 서른여덟에 들어왔는데, 대부분 애들 키우고 그 나이 즈음에 들어와서 20년 했다, 15년 했다, 그렇게 되더라고요. 나는 저렇게 오래 다닐 수 있을까 생각도 들었어요.
식당이 없으면 밥을 어떻게 먹어요? 우리 세탁수불이 없어서 근무복을 집에 가서 세탁하려면 얼마나 힘들겠어요? 회사 버스가 없으면 어떻게 출퇴근하겠어요? 철판을 자르고 붙이는 사람들과 우리도 같은 조선소 노동자라는 걸 알리고 싶었어요. 당해봐라.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