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생태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생태

오충현, 장영환, 박종식, 김영주, 민태영, 이명권, 강응섭, 박수영 (지은이)
열린서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000원 -10% 500원 8,500원 >

책 이미지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생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생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89186210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23-01-10

목차

격려사_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원명 주지스님
오충현_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위기
장영환_사찰림의 생태계 서비스
박종식_생태학을 위한 선불교의 변론과 제안
김영주_불교의 우주론과 생태 이해
민태영_식물에 대한 의식 변화와 불교의 생태 담론이 만나면 지구를 구할 수 있을 것인가?
이명권_노자의 생명철학
강응섭_자연에 떠도는 정신의 생태 매개로서의 몸에 관한 고찰
박수영_라다크의 과거는 우리의 미래가 될 수 있는가?

저자소개

강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개신교대학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 정신분석상담학 교수이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다. 그 외에 신학과 정신분석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명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였고, 감리교 신학대학원 및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크리스천헤럴드> 편집장, 관동대학교에서 ‘종교간의 대화’ 강의, 그 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중국문학 석사학위 후, 길림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노자 연구로 박사학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재직,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을 역임. 그 후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동양철학을 강의함. 현재 코리안아쉬람대표 및 K-종교인문연구소 소장으로서 코리안아쉬람TV/유튜브를 통해 “이명권의 동양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인문계간지 『산넘고 물건너』 발행인이다. 저서로는 『우파니샤드』, 『베다』, 『노자왈 예수 가라사대』, 『예수 석가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가 있다. 공저로는 『오늘날 우리에게 해탈은 무엇인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종말론』,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 『평화와 통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종교와 정치』 등이 있다. 역서로는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영성』, 『간디 명상록』, 『마틴 루터 킹』, 디완찬드 아히르의 『암베드카르』, 세샤기리 라오의 『간디와 비교종교』, 한스 큉의 『위대한 그리스도 사상가들』(공역),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역)이 있다.
펼치기
민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여 관련 업종에서 근무하다 식물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불교 경전에 수록된 식물들을 인도와 네팔의 식물을 중심으로 정리해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보고서와 자료집으로만 존재하였던 경전 속의 식물과 관련한 불교 최초의 학위 논문이었다. 동국대학교에서 대승 경전에 나타난 식물의 식물학적 실체와 교학적 의미를 불교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연구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동 학위 논문으로 제8회 대원불교문화상(학위논문 부문)을 수상하였다. 또 「대승 경전에 나타난 식물들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한 교법(敎法)이해 모형 연구」로 제6회 불광 전법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인문학술연구 교수이자 한국불교식물연구원(www.kbpi.org)원장으로 불교 경전과 불교 사서에 수록된 식물의 자원식물학적, 종교적 활용과 식물문화콘텐츠 개발 등 식물을 통한 다양한 방식의 불교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비주얼 인문학의 실현-『삼국유사』 속 식물문화원형을 바탕으로 조성하는 역사테마식물원」, 「『법화경』에서 ‘공덕의 과보’로 나타나는‘천화’의 의미 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서로 『경전 속 불교 식물-자비의 향기를 전하다.』(네이버 지식백과 정보제공 도서)와 『마음을 밝히는 붓다의 식물 108가지』가 있다.
펼치기
오충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에서 조경학을 전공하고 환경생태학으로 공학박사 과정을 마쳤다. 1992년부터 서울시 도시계획국에서 도시환경 보전 업무를 진행하였고, 2004년부터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로 도시생태계 복원, 보호지역 관리,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공원위원회 위원, 생물권보전지역 한국위원회 위원, 국가 산림복지위원회 위원, 서울시 녹색시민위원회 생태분과위원장, 국가 지속발전위원회 환경분과 위원장, 한국 환경생태학회 학회장 등의 활동을 해오고 있다. 현재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소장, 한국 사찰림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환경생태학』, 『자연자원의 이해』, 『산림과학 개론』, 『숲과 삶』 등의 저서와 『새만금 농생명용지 생태계서비스 연구』,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시행을 위한 지역제 연구』 등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지질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공기업에서 직장생활을 하였다. 이후 KAIST 비즈니스 스쿨에서 경영학석사과정(MBA)을 공부하였고, 동국대에서 불교학으로 석사, 인도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저로는 산스끄리뜨어의 기원에 대한 “Proto-Indo-European 오그먼트의 기원과 역할: 오그먼트는 어떻게 과거를 지시하는가?”(인도철학 42집), 빠니니 문법의 구조를 분석한 “『아슈따디아이』 따디따(taddhita) 부분의 구조”(인도연구 21권1호), 바르뜨리하리의 인도사상사적 위치를 다룬 “바르뜨리하리(Bhartṛhari)의 재조명”(남아시아연구 25권1호), 힌두이즘의 기원 문제를 다룬 “힌두이즘의 기원에 대한 재조명: 힌두교는 동인도회사(EIC)의 발명품인가”(인도철학 57집),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공저)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에서 연구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박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랑잡승을 자임하는 만종공일(卍宗空日)은 서울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서 책을 보았다. 20대의 젊은 시절 산업현장을 떠돌았으며, 30대에 백두산 언저리에서 발해와 고구려 유적지와 항일독립투쟁의 현장을 찾아 돌아다녔다. 또한 공동체에 관심을 갖고 지내며 덕유산 자락에서 자연농법과 영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하였다. 40대에 출가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자락의 절집과 남해 바닷가의 아란야에서 지냈다. 2020년 겨울 이래, 서울 봉은사에서 교육 및 포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동국대학교 객원교수로서 한국불교학회 등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로는 문명비평에 초점을 둔 불교미학 검토, 생명현상을 검토하는 불교의학 연구, 선어록에 대한 신선한 해석작업 등이다. 홀로 차(茶) 마시기를 즐기며 달빛 좋은 날이면 주위 사람들에게도 향이 깊은 차를 내주곤 한다. <나라다 박띠수뜨라의 박띠사상연구> <치선병비요경의 불교의학 연구> 등의 학위논문이 있으며, 저서로는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장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 동아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IMF 시기인 1998년에 서울의 조경회사에 취직하여 조경시공과 설계를 배웠다, 조경설계와 시공을 하는 ㈜스마일그룹과 산림 관련 숲길, 산사태예방 등을 설계 및 시공하는 산오름(주)를 창립한 후 서울을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인의 소개로 (사)한국사찰림연구소 종수 이사장 스님과의 인연으로 (사)한국사찰림연구소 경관사업단장을 맡게 되었다. 종수 스님께 ‘효원’이라는 법명을 받아 유발상좌(有髮上佐)가 되었으며, 이후 생태문화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하는 상명대학교 구본학 교수를 만나게 되어 상명대학교 대학원에 입학 후 “사찰림의 생태문화적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조계산 송광사를 중심으로)”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곧바로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본사를 중심으로 “사찰림 공간환경 특성 및 생태계 문화서비스 평가지표 연구”로 ‘사찰림 1호’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공일 스님의 소개로 K-종교인문연구소 이명권 소장과 인연이 되어 “종교와 생태”(공저)에 참여하게 되었다. 사찰림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서는 산림청의 ‘산림탄소상쇄제도’와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가치평가’가 매우 중요한 분야라 판단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으며, 사찰림을 공익적 기능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복지국가 실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에서 수학(數學)을 전공하고, 강원대학교에서 경영학(經營學) 석사과정을 마친 후에, 동국대학교에서 동양철학(東洋哲學) 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국내외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한 환경마케팅에 관한 연구」, 「『궁달이시』의 ‘천인유분’과 ‘시명관’에 관한 연구」, 「왕충의 비판유학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육군학사장교로 임관하여 대위로 전역(예비역 소령) 후에, 외국계 금융회사에서 17년간 지점장으로 근무하고, 명예퇴직을 하였다. 2015년 오대산 월정사에 ‘단기출가’를 계기로 불교에 귀의하여 봉은사의 기초학당과 불교대학을 수료 후에, 재가불자(在家佛者)로서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사(布敎師)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186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