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는 이어져 있다

우리는 이어져 있다

(‘남성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넘어서)

안희제, 이솔, 신필규, 이한, 박정훈 (지은이)
와온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는 이어져 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는 이어져 있다 (‘남성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넘어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남성학/남성문제
· ISBN : 979119676748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2-04-04

책 소개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어 온 남성 페미니스트 서사에서 비켜나기 위한 시도다. 우리를 움직이고, 끝내 나아가게 하는 말과 질문은 무엇일까?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남성 페미니스트’라는(그리고 ‘한국남자’라는) 자의식 너머의 이야기를 고민한다.

목차

엮은이의 말 5

질병과 가족에 관한 전략들 _안희제

세 명의 타인 13 | 환자 아들 15 | 아픔을 일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기 22 | 아버지만의 방 29 | 할아버지 고쳐 쓰기 33 | 다이소 인조식물과 꼬막비빔밥 40 | 서로 다른 삶의 경로가 부딪힐 때 45 | 개인적인 전략이 가져오는 균열 49

폭력으로부터 배운 정직한 마음의 태도 _이솔

세상에 불행이 존재하는 이유 57 | 가정, 폭력을 배운 첫 번째 세계 60 | 학교에서 배운 것 62 | 폭력은 평범한 일 68 | 폭력으로 가득 찬 세계 72 | 저항하는 용기 78 | 고통에서 찾아낸 언어 84 | 타인이 나의 일부가 되는 감각 87 | 알기에, 외면할 수 없는 마음 91 | 우리는 이어져 있다 94

세상 어딘가에, 내 자리가 있었다 _신필규

남성도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을까? 101 | 멸시의 그 단어, ‘젠더’ 103 | 우연과도 같은 만남, 페미니즘 106 | ‘여성’단체의 ‘남성’ 회원으로 112 |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소개하다 115 | 남성 동성애자로서 자리 찾기 118 | 페미니스트가 되는 건 중요한 일이 아니다 127 | 달라지는 지형을 끊임없이 달려 나가며 129

우리가 함께하는 방법들 _이한

땅콩과 아몬드 137 | 어쩌다 마주친 페미니즘 142 | 폭주하는 남성성 열차에서 탈출하기 146 | 관계들의 변화 152 | 이성, 연애, 사랑 157 | 조금씩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 161

이런 (남성) 페미니스트도 괜찮을까? _박정훈

나의 페미니즘을 찾아서 167 | 나무위키에 있는 내 이름 171 | 어쩌다 ‘남페미’는 조신해졌을까? 176 | ‘스윗’하지도, 무해하지도 않은 181 | 더 나은 우정은 가능하다 185

저자소개

박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마이뉴스≫ 기자로 일하면서 젠더 부문 기사를 쓰고 편집하고 있다. 법무부 디지털성범죄 등 대응 TF 전문위원이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기자협회보 정기 칼럼 ‘스페셜리스트ᐨ젠더 부문’ 담당 필자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가부장제에 균열을 내는 대안적 남성성을 제시하는 책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2021),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2019)이 있다.
펼치기
박정훈의 다른 책 >
안희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인류학을 공부하는 작가이자 연구자. 자신의 아픈 몸과 주변적 위치에서 대중문화를 더 나은 논의로 이어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한다. 《시사IN》, 홈리스뉴스, 웹진 이음, 《기획회의》, 《문화일보》 등에 글을 썼다. 지은 책으로는 『망설이는 사랑』 『난치의 상상력』 『식물의 시간』 『아픈 몸, 무대에 서다』(공저) 『우리는 이어져 있다』(공저) 『몸이 말이 될 때』(공저) 등이 있다. 가벼운 공감이 만들어내는 무해한 거리보다는 정확한 통감이 만들어내는 따가운 감각이 더 나은 관계와 사회를 만드는 길이라고, 더 많은 사람과 더 많은 이야기를 아프게 느낄 때 비로소 더 나은 ‘우리’가 만들어진다고 믿는다. 서로의 안팎을 조심스럽게 오가는 일을 잘하고 싶다. 인스타그램 @neezeh
펼치기
이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구자이자 활동가. 글과 연구로 간신히 벌어먹고 산다. 감각을 열고 질문을 던지며 언어를 찾는 일을 좋아한다. 늘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려는 열망으로 살고 있다.
펼치기
신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온뒤무지개재단 활동가. 퀴어 유튜브 채널 큐플래닛의 기획자 겸 진행자이기도 하다. 올해로 11년째 여성단체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운이 좋게도 아프면 쉴 수 있는 가정환경에서 자랐지만, 과연 그건 좋은 일이었을까? 자주 아프고 낫지 않는 질병을 겪는 나에게 환자 역할을 적용하면 사실상 내가 할 수 있는 건 ‘계속 쉬기’뿐이다. 여기서 두 가지 문제가 생긴다. 하나는 나를 제외한 가족 구성원들이 집안일을 전담하게 된다는 것, 다른 하나는 내가 점점 스스로 집안일을 할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 간다는 것이다.


‘집안일을 모두가 함께 분담해야 한다’는 말 자체는 단순하고, 또 당연하다. 하지만 실제로 집안일을 나누고 그것을 이어 나가는 일, 그걸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화하고 설득하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과정이었다. 그건 무엇보다도 각자의 삶의 경로 안에서 집안일이라는 것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즉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