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042231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01-19
책 소개
목차
연극과 책에 쏟아진 찬사 4
기획의 말 • 조한진희 12
배우 소개 34
1막 조명이 켜지기 전
여섯 개의 창들, 나의 첫 관객 • 홍수영 38
‘쓰고 있고, 쓸 수 있는’ 서사 • 나드 47
석연치 않고, 특별할 것 없는 이야기 • 다리아 63
나의 일상이 공감을 얻을 수 있을까 • 쟤 71
억눌렀던 슬픔이 처음 몸 바깥으로 흘러나올 때 • 안희제 83
첫 봄비 바다를 두드리는 날에는 • 박목우 93
2막 막이 오르고
거울 안에는 가만히 내려앉은 평화가
당신의 얼굴처럼 비춰들고 • 박목우 108
당신의 악역 • 안희제 122
세심한 존중의 무대 만들기 • 쟤 139
감히 이해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 다리아 155
시선들 • 홍수영 168
우리의 삶이 연극이 될 때 • 나드 181
3막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춤추는 삶이 될 때까지 • 나드 210
다시 글을 쓰기로 하며 • 다리아 227
아파도 미안하지 않은 연극 • 안희제 236
모두를 위한 일터는 가능할까 • 쟤 249
싸늘함 속에서도 나는 보았지, 번져가는 꿈결을 • 박목우 264
일상을 건넬 이들의 존재 • 홍수영 276
부록
대본 290
연극 제작기 • 조한진희 326
시민연극〈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가 걸어온 길 338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픈 몸들에게 필요한 것은 다름 아닌 질병권이다. 아픈 몸을 회복하지 않아도 온전한 삶이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이 사회에 작지만 분명한 목소리로 말을 걸고 있는 중이다.
그가 받은 편견을 재현하며 함께 겪는 것만큼 상대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또 있을까. 진정으로 함께 울 수 있었기에 우리 모두는 서로의 친구였다.
건강한 몸은 날씬하고 아름다운 몸과 등치되기도 한다. 반면 질병은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비극의 장치로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을 아플 수밖에 없게 만드는 사회에서 왜 아픈 삶의 스펙트럼은 이리도 눈에 띄지 않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