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98184719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25-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글 • 3
옮긴이 서문 • 6
‘천천히, 신중하게 의미나 행동을 정립한다’는 자폐관 • 14
1장 몸 내부의 목소리를 듣다: 배가 고픈 것일까?
1. 신체의 자기소개 • 22
2. 행동의 스타트 버튼 • 31
3. 구체적인 행동으로의 정립 • 40
4. 오늘 추운가요? • 47
5. 감기인가, 우울한 건가, 아니면 피곤한 건가 • 52
2장 외부 세계의 목소리를 듣다: 세계와의 접촉
1. 감각포화란 무엇인가 • 60
2. ‘신체 외부의 자극’의 포화: 시각포화의 예 • 62
3. ‘사물의 자기소개’의 포화: 청각포화의 예 • 68
4. ‘어포던스’의 포화 • 71
5. 목소리가 넘쳐흐르는 일상 • 72
6. ‘감각 과민’, ‘감각 둔화’라는 단어의 재검토 • 75
3장 꿈인가 생시인가
1. 꿈 침입 • 84
2. 꿈으로의 입구 • 87
3. 꿈의 세계 • 89
4. 꿈 이후 • 99
4장 흔들리는 타자상, 풀어지는 자기상: 성가신 ‘침입’
1. 동작의 침입: <행동의 정립 패턴의 침입> 첫 번째 유형 • 107
2. 캐릭터의 침입: <행동의 정립 패턴의 침입> 두 번째 유형 • 110
3. <행동의 정립 패턴>과 <의미의 정립 패턴>의 관계 • 114
4. 타자상의 요동: <의미의 정립 패턴의 침입> 첫 번째 유형 • 117
5. 자기상의 해이: <의미의 정립 패턴의 침입> 두 번째 유형 • 119
6. ‘평범한 척’, 즉 ‘사교’의 곤란 • 120
5장 목소리를 대신할 것을 찾아서: 말을 거둠으로써 자유로워지다
1. 나와 목소리와의 이야기: 수어를 얻기까지 • 128
2. 말하지 못하는 감각 • 137
3. 들을 수 없는 사람들의 문화에 근거한 지원 • 145
4. 수어로 노래부르기 • 160
6장 꿈에서 현실로
1. 동양 의학과의 접점 • 170
2. 식후의 신체변화 • 172
3. 소리로의 공간파악 • 175
4. 달빛의 효과 • 177
5. 풀과 나무의 목소리 • 181
7장 ‘소외된 존재들’끼리의 이어짐: 공동 저작에 관하여
1. 뇌성마비 당사자의 경험을 거듭하며 • 190
2. 변의의 ‘정립되지 않음’ • 192
3. 전동 휠체어와 ‘어포던스’ • 196
4. 재활 중의 ‘꿈 침입’ • 199
5. 자취로 ‘사물과 이어지다’ • 203
6. ‘소외된’ 당사자끼리 이어지다 • 207
끝맺으며: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 • 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