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98769619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4-11-28
책 소개
목차
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우리는 플라스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 여는글
어떤 질문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 내용
플라스틱 – 무엇에 대한 것일까?
1 플라스틱으로 무엇을 만들까? 2 플라스틱은 무엇으로 만들까?
3 플라스틱은 우리에게 어떻게 올까? 4 주변에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있을까?
5 옷에는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들어 있을까?
6 플라스틱은 바다 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7 플라스틱은 육상동물 생명도 위협할까?
8 플라스틱을 적게 쓴 예전 우리 삶은 어땠을까?
9 그동안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생산됐을까? 10 플라스틱은 무엇일까?
11 플라스틱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12 중합체는 어떻게 다를까?
13 첨가제는 무엇일까? 14 플라스틱은 왜 위험할까?
15 화장품 어디에 플라스틱이 들어 있을까? 16 플라스틱은 우리를 병들게 할 수 있을까? 17 내용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8 플라스틱이 음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19 플라스틱은 위생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20 플라스틱 없는 월경은 가능할까? 21 플라스틱은 무엇을 위해 사용될까?
폐기물 – 무엇이 문제일까?
22 지구를 몇 바퀴 감을 수 있을까? 23 페트병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4 세계는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생산할까? 25 발전과 플라스틱 폐기물은 어떻게 연결될까?
26 플라스틱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27 쓰레기더미 위에서 살 수 있을까?
28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쓰레기로 버려질까? 29 소각하고 나면 무엇이 남을까?
30 독일의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31 누가 말레이시아로 쓰레기를 수출할까?
32 제로 웨이스트 도시들은 어떻게 운영될까? 33 페트(PET)는 어떻게 재활용될까?
34 재활용을 가로막는 것은 무엇일까? 35 플라스틱 재활용은 왜 해결책이 될 수 없을까?
36 재사용을 왜 해야 할까? 37 축제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얼마나 줄일 수 있을까?
38 어떤 물건을 생산해야 할까? 39 플라스틱은 누가 발명했을까?
40 플라스틱은 언제 나타났을까? 41 플라스틱은 얼마 동안 사용할까?
42 바다에는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있을까? 43 바다 쓰레기는 어디에 있을까?
44 바다 쓰레기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45 플라스틱은 바닷새를 어떻게 위협할까?
46 새들은 어떻게 뱃속에 플라스틱이 가득한 채 날게 됐을까?
47 바다에서 플라스틱을 없앨 수 있을까? 48 플라스틱은 어떻게 바다로 흘러들어 갈까?
49 미세플라스틱은 어디서 오는 걸까? 50 흙 속 플라스틱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51 플라스틱은 어떻게 흙에 들어간 걸까? 52 우리는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먹고 있을까?
53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있는 걸까? 54 ‘바이오’를 원료로 한 플라스틱이란 무엇일까?
55 라벨은 어떻게 거짓말을 하고 있을까? 56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57 브랜드 조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58 플라스틱으로 누가 이익을 얻을까?
59 프래킹이란 무엇일까? 60 플라스틱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정말 해결책이 있을까?
61 플라스틱 위기를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 62 나라마다 정부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63 플라스틱 협약이 왜 필요할까? 64 우리는 어떻게 정치적으로 활발히 활동할 수 있을까?
65 제로 웨이스트 제품은 어떻게,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 66 바꿔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67 재사용 체계는 어떻게 작동되는 것일까? 68 플라스틱 공장과 함께 살아가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
69 플라스틱 오염과 누가 싸우고 있을까? 70 플라스틱 없는 학교를 만들 수 있을까?
이 용어들의 뜻은 무엇일까? - 용어 사전
우리는 어디에서 이 사실들을 가져왔을까? - 출처
누가 이 책을 만들었을까? - 발행정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플라스틱은 바다 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조사된 바닷새 264종 가운데 68퍼센트 뱃속에 플라스틱이 들어 있었고, 42퍼센트는 플라스틱 올가미에 얽혀 있었다.
해로운 화학물질을 금지하고 그것을 다른 물질로 교체하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 화학물질 군 가운데 일부뿐만 아니라 그 전체를 금지하거나 제한해야 한다. 플라스틱은 4,000개 넘는 수많은 화학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는 제조업자조차 알 수 없는 화학성분들도 많다.
사람들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플라스틱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저임금 여성 노동자들은 세제나 그밖에 화학물질 같은 독소나 오염 물질에 더 자주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